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거리감 距離感
거리감을 느낄 수 없도록 → 멀다고 느낄 수 없도록
거리감이 있다 → 아득하다 / 까마득하다
거리감을 느끼다 → 다르다고 느끼다
거리감을 주다 → 남남 같다 / 등돌리다 / 가르는 듯하다
‘거리감(距離感)’은 “1. 어떤 대상과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있다고 느끼는 느낌 2.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간격이 있다는 느낌. 보통 친숙하지 않아 서로 마음을 트고 지낼 수 없는 서먹서먹한 느낌을 이른다”처럼 풀이를 하는군요. ‘멀다·멀디멀다·머나멀다·뜨악하다’나 ‘까마득하다·아득하다·아스라하다·서먹하다·데면데면’으로 손질합니다. ‘남·남남·남나라·남누리’나 ‘다르다·다른꽃·다른결’로 손질하고, ‘또다르다·따로·따로따로·외따로’로 손질합니다. ‘떨어지다·동떨어지다·뒤떨어지다·떨어뜨리다’나 ‘가르다·나누다·등돌리다·등지다’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예술가는 그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오직 신화적인 거리감(距離感)을 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었을 뿐이다
→ 꽃바치는 이를 나타내려고 오직 믿음길로 이 틈을 그릴 수 있을 뿐이다
→ 멋잡이는 이를 나타내려고 오직 옛이야기로 이 사이를 그릴 수 있을 뿐이다
《피카소의 게르니카》(J.L.페리에/김화영 옮김, 열화당, 1979) 52쪽
눈을 감고 있어도 거리감은 확실히 느껴진다
→ 눈을 감아도 틈은 또렷이 느낀다
→ 눈을 감아도 얼마나 먼지 낱낱이 느낀다
→ 눈을 감아도 가깝거나 먼 곳을 바로 느낀다
《유리가면 48》(미우치 스즈에/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2) 69쪽
거리감을 느꼈다
→ 멀다고 느꼈다
→ 멀구나 싶었다
→ 동떨어지네 싶다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줌파 라히리/이승수 옮김, 마음산책, 2015) 103쪽
‘내 삶의 주인은 나’라고 했을 때는 잘 와닿지 않았는데 ‘나는 생활인이다’라고 마음속으로 선언하는 것은 비교적 거리감이 없었다
→ ‘내가 삶지기’라고 할 때는 잘 안 와닿는데 ‘나는 살림꾼이다’라고 할 때에는 제법 와닿았다
→ ‘내가 삶을 짓는다’고 할 때는 잘 안 와닿는데 ‘나는 살아간다’라고 할 때에는 꽤 와닿았다
《동네 헌책방에서 이반 일리치를 읽다》(윤성근, 산지니, 2018) 10쪽
높임말을 쓰면 거리감이 느껴지고 낮춤말은 가깝지만 거칠게 느껴져요
→ 높임말을 쓰면 멀다고 느끼고, 낮춤말은 가깝지만 거칠다고 느껴요
→ 높임말은 멀다고 느끼고, 낮춤말은 가깝지만 거칠다고 느껴요
《생각이 깊어지는 열세 살 우리말 공부》(변택주, 원더박스, 2025) 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