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수목한계선



 수목한계선에 진입 중이다 → 나무끝금에 들어선다

 수목한계선에서 서식한다 → 나무금에서 산다


수목한계선(樹木限界線) : [지구] 수목이 생존할 수 있는 한계선. 건조 기후와 습윤 기후, 한대 기후와 아한대 기후의 경계가 된다 = 교목한계선



  나무가 살아갈 수 있는 끝금이 있다면 ‘나무금·나무끝’이나 ‘나무끝줄·나무끝금’으로 나타낼 만합니다. 수수하게 ‘나무터·나무터전’이라 할 수 있고요. ㅍㄹㄴ



수목한계선 부근까지 내려오다 멈칫

→ 나무금 언저리까지 오다 멈칫

→ 나무끝줄 옆까지 오다 멈칫

《붉은빛이 여전합니까》(손택수, 창비, 2020) 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횡재 橫財


 횡재를 만났다 → 뜻밖떡을 만났다 / 단비를 만났다 / 얻었다

 횡재를 얻은 것이다 → 뜻밖에 얻는다 / 얻어걸린다

 횡재하는 날이었다 → 뜻밖에 얻는 날이었다 / 건지는 날이었다


  ‘횡재(橫財)’는 “뜻밖에 재물을 얻음. 또는 그 재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뜻밖에 얻다”로 손볼 만하고 ‘뜻밖떡·뜻밖일’ 같은 말을 지어 볼 만합니다. ‘뜻밖에’라고만 해도 되고, ‘기쁘다·반갑다·달갑다’나 ‘떡’이라 할 만합니다. ‘누리다·뿌듯하다·즐겁다·즐기다’나 ‘신나다·신바람·어깻바람’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어화둥둥·어허둥둥·하하·하하하·하하호호’나 ‘얻다·얻어걸리다·이게 웬 떡’이라 할 수 있고, ‘건지다·좋다·주워먹다·줍다’라 해도 되어요. ‘꽃비·꽃보라·단비’나 ‘싸다·크다·대단하다’라 할 수 있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횡재’를 세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ㅍㄹㄴ



횡재(橫在) : 가로 놓임

횡재(橫材) : [건설] = 가로재

횡재(橫災) : 뜻밖에 재난을 당함. 또는 그 재난



정말 횡재하는 거라고요

→ 참말 뜻밖에 얻었다고요

→ 참말 건진 셈이라고요

→ 참말 기쁘다고요

→ 참말 크다고요

《우리는 꿈꿀 거예요!》(윤지영·김수경, 분홍고래, 2016) 117쪽


공중에 떠 있는 것만으로도 횡재한 거라 생각하라고

→ 하늘에 뜨기만 해도 대단한 노릇이라 생각하라고

→ 하늘에 떴으니 반갑게 생각하라고

《지구빙해사기 하》(다니구치 지로/장지연 옮김, 미우, 2016) 43쪽


파리든 도쿄든 가게 앞에서 횡재하는 물건이 나뒹굴고 있는 법이다

→ 파리든 도쿄든 가게 앞에서 뜻밖에 얻는 살림이 나뒹군다

→ 파리든 도쿄든 가게 앞에서 건지는 살림이 나뒹굴게 마련이다

→ 파리든 도쿄든 가게 앞에서 얻어걸리는 살림이 나뒹굴곤 한다

《황야의 헌책방》(모리오카 요시유키/송태욱 옮김, 한뼘책방, 2018) 175쪽


종로2가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황지우 시선집을 이천구백 원에 샀다. 횡재다

→ 종로2길 알라딘 헌책집에서 황지우 노래책을 이천구백 원에 샀다. 주웠다

→ 종로2길 알라딘 손길책집에서 황지우 노래책을 이천구백 원에 샀다. 싸다

《갈수록 자연이 되어가는 여자》(김상미, 문학동네, 2022) 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4. 받는 기쁨을



  오늘로 나흘째 영남초등학교 어린씨를 만나서 노래쓰기 이야기꽃을 폈다. 이제 하루를 더 펴면 마친다. 사흘 동안 여러 이야기꽃을 펴면서 이곳 시골아이들이 “받는 기쁨”을 누릴 틈(기회)을 베풀어야겠다고 느꼈다. 손글씨 노래를 모두한테 하나씩 써줄까 하다가, 이러기에는 밭고 조금 버거워서 책을 하나씩 주기로 한다. 스물네 아이한테 하나씩, 길잡이 여섯 분한테 하나씩, 모두 서른 자락을 등짐으로 나른다.


  너희는 책을 받을 일이 드물 수 있지만, 이렇게 책을 거쳐서 손빛과 마음을 받을 수 있단다. 너희는 언제나 스스로 빛나는 숨결이야. 큰길과 큰꿈이 아닌, 작은씨앗을 작은손에 품고서 작은숲을 일구는 작은하루를 살아가기를 바라.


  너희가 나중에 고흥을 떠나고 보면, 이 작은 시골학교로 누가 이야기꽃을 펴러 찾아오는 일이 얼마나 드물고 뜸한지 알 수 있어. 너희가 이야기씨앗을 누리도록 다리를 놓은 길잡이가 있은 줄 알아볼 날을 기다릴게. 이 작은학교 곁에 멧새가 얼마나 많이 깃드는지 아직 모를 수 있는데, 너희는 온슾과 온들과 온하늘이 베푸는 사랑을 푸르게 누리는 나날이란다.


  하루하루 받고 누리고 맞이하는 사랑씨랑 살림씨를 속으로 품어 봐. 너희 모두 “머잖아 나비로 깨어날 고치를 튼 애벌레”일 테니, 기쁘게 배우고서 익히는 오늘길을 뚜벅뚜벅 같이 걷기를 바라. 바람을 바라보면서 파랗게 바라기에 이루는 길이야. 너도 나도 바람씨인걸. 느긋이 자고 넉넉히 먹고 신나게 놀고 실컷 말하고 천천히 읽으면서, 우리가 저마다 다르기에 나란히 서는 하늘빛인 줄 생각하자. 생각하기에 샘물처럼 빛나는 사람이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영어] 퀘스트quest



퀘스트 : x

quest : 1. 탐구, 탐색 2. 탐구[탐색]하다

クエスト(quest) : 퀘스트



영어 ‘퀘스트’는 우리말로 ‘가다·찾다·품다’나 ‘길·길눈·길꽃’으로 고쳐씁니다. ‘곬·몫·모가치’나 ‘일·제할일·앞가림’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할거리·할일·해낼거리·해낼일’이나 ‘삶길·사는길’로 고쳐써도 되어요. ㅍㄹㄴ



다음 퀘스트로 바로 가면 점수가 두 배인데

→ 다음으로 바로가면 두 곱을 받는데

→ 다음길로 바로가면 두 곱을 얻는데

《마지막 레벨 업》(윤영주, 창비, 2021) 1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길드guild



길드(guild) : [역사] 중세 시대에, 상공업자들이 만든 상호 부조적인 동업 조합. 서유럽의 도시에서 발달하여 11세기에서 12세기에는 중세 영주의 권력에 대항하면서 도시의 정치적·경제적 실권을 쥐었으나, 근대 산업의 발달과 함께 16세기 이후에 쇠퇴하였다

guild : 1. (직업·관심·목적이 같은 사람들의) 협회[조합] 2. 길드(중세 시대 기능인들의 조합)

ギルド(guild) : 1. 길드 2. 중세 유럽에서 설립된 상공업자의 조합. 일반적으로는 동업자 조합



우리 낱말책에 실린 영어 ‘길드’를 돌아봅니다. 요즈음에는 이 영어를 아주 다른 자리에서 씁니다. 이모저모 본다면 ‘두레·둘·두빛’이나 ‘모둠·모음·울력·품앗이’나 ‘모둠일터·모둠일판·모둠터·모둠판’으로 나타낼 만합니다. ‘일두레·일모임’이나 ‘살림두레·살림누리·살림그물·살림모임’이나 ‘살림마당·살림마을·살림울·살림판·살림품앗이’라 할 만하고요. ‘삶두레·삶누리·삶그물·삶모임’이나 ‘삶마당·삶마을·삶울·삶판·삶품앗이’라 해도 어울리고, ‘아우르다·아울길·아울빛·아울꽃·아울누리’나 ‘어우르다·어우러지다·얼크러지다’나 ‘어울리다·어울길·어울빛·어울꽃·어울누리’라 하면 되어요. ‘짝·짝꿍·짝님·짝지·짝맺다·짝짓다’라 할 수 있습니다. ‘깁다·기우다·땋다’나 ‘여미다·엮다·짜맞추다’라 해도 어울려요. ‘맞다·맞붙다·마주붙다·맞추다·맞춤’이나 ‘꾸리다·꾸려가다·동이다·동여매다’로 나타내고, ‘묶다·붙다’나 ‘하나·하나꽃·하나되다·핫·한곳·한데’로 나타냅니다. ‘한몸마음·한마음몸·한아름’이나 ‘달라붙다·달붙다·들러붙다·들붙다’나 ‘꿰맞추다·꿰매다·끼워맞추다·둘러맞추다’라 해도 되어요.



왜 길드에 안 들어가?

→ 왜 두레에 안 들어가?

→ 왜 모둠에 안 들어가?

《마지막 레벨 업》(윤영주, 창비, 2021) 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