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5.3.18.

숲집놀이터 293. 사람 쪽



우리말 ‘바보’는 워낙 ‘밥보’를 가리키는 낱말이고, ‘밥벌레’하고 같다. 바보·밥보는 ‘애벌레’라 여기는 마음을 담은 사랑스러운 낱말이다. “바보가 사랑스러운 말이라구?” 하며 놀라는가? 놀랄 일이 없다. ‘딸바보·아들바보’는 어떤 사랑인지 바라보자. ‘책바보·책벌레’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생각하자. ‘애벌레·밥벌레’는 아직 신나게 잎(밥)을 먹어야 할 때이다. 앞으로 철이 들기 앞서 실컷 놀고 실컷 자고 실컷 먹어야 한다. 그야말로 끝없이 먹고 쉬고 자고 놀다가 어느 날 비로소 고요히 잠들어 고치를 트는 애벌레이다. 고치에서 한참 자는 동안 풀빛몸을 녹이고, 바야흐로 날개가 돋아서 가만히 거듭난다. 사람이 왜 애벌레하고 같겠는가? 어릴적에는 밥보·밥벌레로 실컷 먹고 신나게 놀아야, 바야흐로 천천히 철이 들면서 어른으로 일어선다. 못 놀거나 안 논 채 어린날을 보냈다면, 애벌레스럽게 살아내지 않은 터라 그만 날개돋이를 못 하기 일쑤이다.


요즈음 어린이나 젊은이가 그만 ‘극우 꼴통’으로 기울기도 한다고 나무라거나 걱정하는 목소리가 꽤 높다만, 왜 걱정해야 하는가? 아이들이 어릴적에 못 놀았잖은가? 아이들이 어릴적에 어버이사랑을 얼마나 받았는지 보라! 아이들을 그저 어린이집과 배움터(학교)에 맡긴 채 아이들 얼굴을 거의 못 보지 않았는가? 아이들은 “한창 밥보·애벌레로 뛰놀고 자고 쉬고 먹어야 할 때”를 하나도 못 누리면서 배움불굿(입시지옥)에 시달리지 않았는가? “책이라도 느긋이 읽을 틈조차 없이 불굿(지옥)에서 헤매고 갇혀야 하는 아이들”인데, 이 아이들이 제대로 삶을 바라보거나 살림을 짓거나 사랑을 나눌 수 있을까?


사랑을 품고 자란 아이들은 밥보에서 어른으로 부드러이 거듭난다. 애벌레로 살아내야 나비로 거듭난다. 나비는 그저 나비이다. 왼날개와 오른날개가 똑같은 몸빛인 나비요, 더듬이도 발도 눈도 왼오른이 똑같다. 아이들이 밥보로 뛰놀면서 신나게 자라야, 왼발과 오른발이 고르다. 왼손과 오른손을 두루 다룰 줄 아는 몸으로 커야, 비로소 이 아이들은 ‘어른’으로 일어선다.


누가 나더러 “최종규 씨는 왼쪽(좌파)이요, 아니면 오른쪽(우파)이요? 둘 가운데 어느 쪽이요?” 하고 따지거나 묻는다면, 나는 늘 빙그레 웃으면서 “저는 사람입니다. 저는 늘 사람 쪽에 섭니다. 사랑으로 살림을 하면서 숲빛으로 아이곁에서 하루를 노래하고 그리는, 그저 사람 쪽입니다.” 하고 이야기를 들려준다.


나는 ‘가운데(중도파)’도 아니다. 그저 ‘사람’이요, “사람 쪽에 서면서 아이하고 어깨동무하는 작은어른으로 시골에서 숲을 노래하는 아저씨”이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파리 책
파올라 비탈레 지음, 로사나 보수 그림, 김지우 옮김, 김경연 감수 / 원더박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3.18.

그림책시렁 1467


《해파리 책》

 파올라 비탈레 글

 로사나 보수 그림

 김지우 옮김

 원더박스

 2023.6.30.



  우리가 먹는 모든 낟알과 열매는 처음에는 ‘꽃’입니다. 낟알(곡식)과 열매를 먹을 적에 “꽃을 먹는구나.” 하고 알아볼 수 있다면, 풀이나 나무에 맺은 꽃한테 한결 사근사근 다가가서 “네가 벌과 나비와 개미를 부르면서 놀고 싶겠지? 그런데 네가 꽃을 피우니 나도 이렇게 왔어. 반가워.” 하는 마음으로 한두 송이 톡 따서 누립니다. 낟알과 열매인 모습으로 바뀐 숨빛뿐 아니라, 처음에 돋아낸 꽃송이를 그대로 마주하면서 밥살림으로 누려 본다면, 온누리 누구나 따사롭고 아늑히 사랑씨앗을 배울 만하다고 느껴요. 《해파리 책》은 해파리를 풀어내려는 줄거리입니다. 다만, ‘이웃으로 보기’이기보다는 ‘과학으로 뜯어살피기’를 하는 터라, 어쩐지 ‘해파리 마음’은 하나도 못 건드리는 채 ‘해파리 몸’만 짚습니다. 그러나 해파리한테 머리가 없을까요? 해파리한테 마음이 없을까요? 사람하고 똑같이 생긴 손발이나 머리가 있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나무도 돌도 물방울도 마음이 있어요. 어른끼리 읽는 책이라 하더라도 ‘해파리 마음’부터 마주할 노릇이고, 어린이한테 베푸는 책이라면 더더욱 ‘해파리 마음’으로 다가설 일입니다. 우리가 쌀과 밀과 해파리를 먹더라도, ‘쌀알 마음’과 ‘해파리 마음’을 등돌리거나 “쌀알이나 해파리한테 무슨 마음이 있다구?” 하고 여긴다면, ‘과학’이 아닌 ‘기계’일 뿐입니다.


+


“해파리에는 뇌가 없어요(7쪽).”처럼 적지만, 틀렸다. 사람하고 골(뇌)이 다를 뿐이다.


#Il Giardino Delle Meduse #Paola Vitale #Rossana Bossu


ㅍㄹㄴ


《해파리 책》(파올라 비탈레·로사나 보수/김지우 옮김, 원더박스, 2023)


가끔 해수면으로 갑자기 떠오르곤

→ 가끔 물낯으로 갑자기 떠오르곤

→ 가끔 바다낯으로 갑자기 떠오르곤

4쪽


해파리의 생김새는 참 독특해서

→ 해파리는 참 유난하게 생겨서

→ 해파리는 참 다르게 생겨서

5쪽


해파리의 몸통은 세 개의 층으로 덮여 있어요

→ 해파리는 몸통을 세 겹으로 덮어요

→ 해파리는 몸통을 세 켜로 덮어요

6쪽


일부 신경세포가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답니다

→ 여러 빛줄기를 그물처럼 잇는답니다

→ 몇몇 빛톨을 그물처럼 잇습니다

7쪽


수컷 해파리의 유성생식을 통해 생겨난 알이 분열하여

→ 수컷 해파리와 암수맺이로 낳은 알이 갈리며

→ 수컷 해파리와 서로맺이로 낳은 알이 나뉘어

13쪽


해파리로 색다른 요리를 만들어 볼까요

→ 해파리로 다르게 밥을 차려 볼까요

→ 해파리로 남달리 맛을 내어 볼까요

28쪽


마트에서 사 온 말린 해파리를

→ 가게에서 사온 말린 해파리를

28쪽


키친타월로 꾹꾹 눌러 물기를 없애요

→ 부엌천으로 꾹꾹 눌러 물을 훔쳐요

→ 부엌종이로 꾹꾹 눌러 물을 빼요

28쪽


여러 개의 폴립으로 무성생식을 한 뒤, 한두 달 만에 성체로 자라나서

→ 여러 돌기로 그냥맺이를 한 뒤, 한두 달 만에 커서

→ 여러 돌기로 혼맺이를 한 뒤, 한두 달 만에 자라나서

30쪽


아주 작은 갑각류를 먹고 삽니다

→ 아주 작은 딱지짐승을 먹고삽니다

→ 아주 작은 마디짐승을 먹고삽니다

32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무성생식



 무성생식으로 종자를 맺는다 → 그냥 씨앗을 맺는다

 무성생식으로 번식이 가능하다면 → 혼맺이로 퍼질 수 있다면


무성생식(無性生殖) : [생명] 암수 배우자의 융합 없이 이루어지는 생식. 개체가 갈라지거나, 싹이 나거나 땅속줄기에서 나와 두 개 이상의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것으로, 단세포 생물과 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암수가 한마음과 한몸으로 맺지 않을 적에는 ‘그냥맺이’를 하는 삶입니다. 둘 가운데 하나가 혼자 맺는 길이니 ‘혼맺이·혼자맺이’입니다. ‘홀맺이·홀로맺이’요, ‘홑맺이’이기도 합니다. ㅍㄹㄴ



여러 개의 폴립으로 무성생식을 한 뒤, 한두 달 만에 성체로 자라나서

→ 여러 돌기로 그냥맺이를 한 뒤, 한두 달 만에 커서

→ 여러 돌기로 혼맺이를 한 뒤, 한두 달 만에 자라나서

《해파리 책》(파올라 비탈레·로사나 보수김지우 옮김, 원더박스, 2023) 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유성생식



 유성생식의 방식을 사용한다 → 암수맺이를 한다

 유성생식으로 자손을 번식한다 → 서로맺이로 아이를 낳는다


유성생식(有性生殖) : [생명] 암수의 두 배우자가 합일한 접합체에서 새로운 생명체가 발생하는 생식법. 대개의 다세포 생물에서 볼 수 있다 ≒ 유성번식



  암수로 맺을 적에는 ‘암수맺이·암수사랑’이라 할 만합니다. 풀꽃나무라면 이러한 이름이 어울릴 테고, 뭇숨결을 아우를 적에는 ‘서로맺이·서로사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ㅍㄹㄴ



수컷 해파리의 유성생식을 통해 생겨난 알이 분열하여

→ 수컷 해파리와 암수맺이로 낳은 알이 갈리며

→ 수컷 해파리와 서로맺이로 낳은 알이 나뉘어

《해파리 책》(파올라 비탈레·로사나 보수김지우 옮김, 원더박스, 2023) 1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키친타월kitchen towel



키친타월(kitchen towel) : 주방 도구를 닦는 데에 쓰는 휴지

kitchen towel : 키친타월(부엌용 휴지)

キチンタオル(일본조어 kitchen + towel) : 키친타월, 주방 도구를 닦는 데 쓰는 휴지(일종의 행주)



부엌에서 흔히 쓰는 ‘키친타월·키친타올’이란 이름은 일본에서 지은 낱말입니다. 그래서 일본에서나 이런 이름일 뿐인데, 우리는 우리말로 안 옮기고 그냥 일본영어를 받아들였습니다. 이제라도 ‘부엌종이’로 옮길 수 있을까요? 또는 이제부터 ‘부엌천’으로 옮길 수 있나요? ㅍㄹㄴ



키친타월로 꾹꾹 눌러 물기를 없애요

→ 부엌천으로 꾹꾹 눌러 물을 훔쳐요

→ 부엌종이로 꾹꾹 눌러 물을 빼요

《해파리 책》(파올라 비탈레·로사나 보수김지우 옮김, 원더박스, 2023) 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