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학교 책읽기


 도시에는 작은학교가 없다. 도시에서는 작은학교를 세우지 않는다. 도시에는 작은 동네조차 없다. 도시부터 작은 삶터가 아니다. 작은 삶터 아닌 큰 삶터요, 자꾸자꾸 더 커지려는 삶터인 도시이다. 이러한 도시에서는 예전부터 있던 학교는 건물을 새로 키우고, 새로 짓는 학교는 우람하다. 작지 않은 큰 학교라 한다면, 이 큰 학교는 무엇을 바라보는 배움터가 될까. 작지 않은 큰 학교일 때에는, 이 큰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은 서로서로 어떻게 얽히거나 어우러지면서 지내야 할까. 작지 않은 학교를 다니는데 작은 사람들 작은 마음을 얼마나 읽거나 맞잡을 수 있는가. 커다란 학교를 다니는데 서로 더 커지려고 부딪히거나 다투거나 겨룰밖에 없지 않을까. 작은학교가 아니라면 작은 사랑 깃든 작은 책을 읽을 수 없고, 큰학교라면 작은 사람 작은 이야기 서린 조그마한 책을 알아볼 수 없지 않겠는가.

 충청북도 시골자락 살림집을 옮기려고 더 깊은 시골자락 새 터전을 찾아 여러 날 식구들과 함께 돌아다녔다. 우리 집 살림은 얼마 안 되지만, 우리 집 책이 좀 많다. 몇 만 권에 이르는 책을 건사하자면 여느 집이나 건물로는 턱없이 모자라다. 문닫은 시골마을 작은학교쯤 되어야 숨통을 튼다.

 문을 닫은 시골마을 작은학교는 쓸쓸하다. 작은학교가 문을 닫는다면, 작은학교 깃들던 마을에 아이들이 줄어들었다는 뜻이요, 아이와 어른 모두 도시로 떠났다는 소리이다. 시골마을에 사람들이 남지 않는다는 얘기이다. 어느 작은학교는 누군가 ‘깊은 시골에 깃든 기숙사 입시학원’으로 꾸려 이모저모 시설이 잘 남는다. 어느 작은학교는 마을에서 누군가 몰래 깃들어 토끼우리를 마련하고 운동장에 밭을 일군다. 어느 작은학교는 관사에 슬그머니 들어와 사는 사람이 교실마다 갖은 물건을 쌓는다. 어느 작은학교는 마을사람이 온갖 물건과 연장을 가득 쟁인다.

 네 식구 깃든 충청북도 멧골자락 학교를 떠올린다. 덩그러이 남는 건물은 으레 창고처럼 쓰이고, 휑뎅그렁하게 비는 운동장은 주차장처럼 쓰인다. 아이들 발길이 끊긴 곳에 어른들 자동차가 들어선다. 아이들은 시골에서조차 마음껏 뛰놀 흙땅을 잃고, 어른들은 신나게 내달릴 아스팔트길이나 시멘트길을 얻는다. 흙을 밟으며 찾아가서 흙을 누리던 작은학교가 자취를 감추는 한국땅은 그저 슬프다. (4344.10.2.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도랑물 빨래


 부산과 고흥을 열흘에 걸쳐 돌다가 거창을 지나서 충주 멧골자락 살림집으로 돌아온다. 더 오래 머물며 새 보금자리를 얻어 다시 이곳으로 돌아오지 않으려 했지만, 우리가 손에 쥔 돈으로는 선뜻 어찌저찌 마음을 굳히지 못하고 만다.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를 놓고 하루쯤 망설인 뒤, 나 혼자 고흥으로 찾아가서 집과 땅을 마련한 다음, 고치고 손질해서 사람이 들 만하도록 해서 옮겨야지 하고 생각한다. 아이들과 옆지기가 바깥잠을 오래 자는 바람에 몹시 힘들어 하기에 충주 멧골자락 살림집에서 며칠이라도 쉬려고 한다. 그런데, 열흘 비운 집에 돌아오니 물이 나오지 않는다. 전기가 끊어지지 않았는데 물이 나오지 않는다. 양수기를 요모조모 들여다보고 만지작거리지만 도무지 물이 나오지 않는다. 누가 양수기를 어떻게 건드렸을까. 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이 멧골집에서 아이들과 옆지기가 어떻게 지내야 하는가. 어쨌든 하룻밤 고단하게 잔다. 아침에 일어나서 생각하기로 한다. 새벽녘, 홀로 조용히 일어나서 집 앞 도랑물에 기저귀를 빨래한다. 두 장째 빨래할 때에 손이 얼어붙는다. 시월하고 이틀째인데, 멧골자락 도랑물은 이토록 시리구나. 오줌으로 옴팡 젖은 기저귀 여섯 장을 가까스레 헹군다. 마당 빨랫줄에 넌다. 일요일인 오늘 읍내로 가서 어찌저찌 해 보아도 안 되면 물을 쓸 수 있는 어디로든 옮겨 지내야 한다. 집식구들이 몹시 힘들겠구나. (4344.10.2.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 I LOVE 그림책
리처드 스캐리 글.그림, 황윤영 옮김 / 보물창고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보다 사랑과 삶과 꿈을 배울 오늘 하루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99] 리처드 스캐리,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보물창고,2008)


 아이들은 저희랑 살가이 지내는 사람들 말씨를 찬찬히 받아먹으면서 자랍니다. 아이를 낳은 어버이가 고운 말을 쓰면 고운 말을 받아먹고, 아이를 낳은 어버이가 미운 말을 쓰면 미운 말을 받아먹습니다. 아이들은 저희 어버이가 사랑을 베풀면 사랑을 받아먹고, 아이들은 저희 어버이가 미움을 베풀면 미움을 받아먹습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가 화학첨가물이 가득 든 먹을거리를 차려서 먹이면, 아이들은 화학첨가물을 가득 받아먹습니다. 아이들 어버이가 예방주사에 어떤 화학조합물이 들었는가 헤아리지 않고 맞히면, 아이들은 몸이 아프지 않아도 화학조합물 때문에 몸이 무너지거나 망가집니다.

 아이를 따사로이 돌보며 지내는 보금자리가 도시에 있으면, 아이들은 도시 내음과 빛깔과 소리를 고스란히 맞아들입니다. 아이를 포근하게 보살피며 살아가는 둥지가 시골에 있으면, 아이들은 시골 내음과 빛깔과 소리를 차근차근 맞아들입니다.

 아이들이 하는 말은 어른들이 하는 말입니다. 아이들이 먹는 밥은 어른들이 먹는 밥입니다. 아이들이 사는 집은 어른들이 사는 집입니다.

 아이들이 입는 옷은 어른들이 입는 옷이요, 아이들이 타는 자가용은 어른들이 타는 자가용이에요. 아이들이 걷는 길은 어른들이 걷는 길이며, 아이들이 만지작거리는 손전화나 손셈틀은 어른들이 만지작거리는 손전화나 손셈틀이랍니다.

 아이들한테 따로 무엇을 맞추어 주는 일은 없습니다. 어른들 스스로 즐기거나 누리거나 살아가는 그대로 아이들한테 차근차근 이어갑니다. 어른들부터 착하게 살아가는 터전을 아낄 때에 아이들은 착하게 살아가는 터전을 아낍니다. 어른들부터 참다이 어깨동무하는 벗님을 사랑할 때에 아이들은 참다이 어깨동무하는 벗님을 사랑해요. 어른들부터 아름다이 어우러지는 꿈길을 좋아할 때에 아이들 또한 아름다이 어우러지는 꿈길을 좋아해요.

 리처드 스캐리 님이 빚은 그림책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보물창고,2008)를 아이랑 읽습니다. 아이는 퍽 어린 나날부터 이 그림책을 무릎에 올려놓고 읽었습니다. 그런데, 우리 아이는 한글판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에 앞서 《BEST WORD BOOK EVER》를 먼저 읽었고, 《IL LIBRO DELLE PAROLE》을 읽었습니다.

 헌책방마실을 하면서 리처드 스캐리 님 그림책을 열 몇 가지 장만했거든요. 그린이가 누구인지 모르던 지난날 기꺼이 장만했는데, 영어판에다가 또 어느 나라 말인지 모를 리처드 스캐리 님 그림책을 들추면서 ‘말은 못 알아듣’겠지만 ‘그림과 얼거리와 엮음새와 줄거리가 좋’구나 하고 느꼈어요. 나라밖 그림책 두 가지와 다른 ‘리처드 스캐리 초기 그림책 선집’ 열 권은 그림만 보면서도 포근하며 따사로운 빛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 혼인해서 아이를 낳으면 온식구가 즐거이 펼칠 만하겠구나 하고 생각하기 앞서, 혼자 살아가던 지난날 이 그림책을 손에 쥔 내 마음이 포근하면서 따사로울 수 있었기에 기쁘게 읽었어요.

 우리 집 아이는 한글을 읽지 못합니다. 네 살 아이인 만큼 한글을 뗄 수 없습니다. 아이는 다섯 살이나 여섯 살까지도 한글을 모르리라 생각합니다. 나와 옆지기는 아이한테 구태여 한글을 일찌감치 가르치고 싶지 않습니다.

 아이가 일곱 살이 된다 한들 아이 스스로 한글을 깨치리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쩌면 예닐곱 살 무렵에는 길거리 간판을 궁금히 여기면서 몇 가지 배울는지 몰라요. 말이든 글이든 아이 스스로 궁금하게 여기면서 꼭 바랄 때에 익힐 테니까요.

 무릎에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를 올려놓고 펼치는 아이는 두 살 적에는 그냥 그림만 들여다보았고, 세 살 적에는 하나하나 물어 보거나 아이가 아는 무언가를 손가락으로 짚으면서 이름을 외칩니다. 네 살이 된 아이는 어머니랑 아버지한테 그림마다 무엇인가를 가르치곤 합니다. 아까 읽을 때에는 듣고 익히다가도 다시 들추면 잊습니다. 용하게 잘 익혀서 아버지한테 가르치기도 하지만, 듣고 또 들어도 모르는 이름이 있어요.

 삶을 배우는 아이들입니다. 낱말이나 지식을 배우는 아이들이 아닙니다. 사랑을 익히는 아이들입니다. 정보나 문화나 사회나 상식을 익히는 아이들이 아닙니다. 꿈을 살찌우는 아이들입니다. 대학교나 돈이나 이름값을 살찌우는 아이들이 아닙니다.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를 읽는 아이들은 낱말을 퍽 일찍 배우거나 익힐 수 있다 하는데, 아이들은 낱말에 앞서 낱말마다 깃든 이야기를 익힙니다. 낱말마다 서린 삶과 사랑과 꿈을 받아먹습니다.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는 지식그림책이 아닌 그림책이기 때문에 우리 아이가 사랑해요. 온갖 정보가 담겼다거나 영어를 배우도록 이끌어서 우리 아이가 사랑하지 않습니다. (4344.10.1.흙.ㅎㄲㅅㄱ)


―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 (리처드 스캐리 글·그림,황윤영 옮김,보물창고 펴냄,2008.4.25./130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만 원


 시골 읍내나 면내에서도 여관에서 하룻밤 묵는 데에 4만 원은 써야 한다. 때때로 3만 5천 원에 방을 주기도 하지만, 3만 5천 원을 치르는 방은 네 식구 지내기에 너무 좁든 썰렁하든 냉장고가 없든 빨래를 널 만한 자리가 없든 머리말리개가 없든 뜨거운 물을 쓰기가 까다롭든, 어느 한두 가지가 퍽 힘들다. 적은 돈을 그러모아 마실삯으로 쓰는 우리 식구로서는 4만 원을 넘는 데까지는 들 수 없고, 꼭 4만 원까지 맞추어 여관에 든다. 때때로 5천 원 눅은 여관에서 지내고 나면, 어딘가 어설프거나 모자란 여관에서 고단하게 자느라 몸이 더 뻑적지근하고, 미처 마르지 못한 빨래를 억지로 말리느라 더 힘들다. 내 식구 이끌며 열흘째 바깥잠을 잤으니, 잠자는 삯으로 치른 돈이 꽤 된다. 그러나, 이만큼 길에 돈을 들여야 네 식구가 오래오래 뿌리내리면서 지낼 사랑스러운 보금자리를 찾을 수 있으리라 믿는다. (4344.10.1.흙.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10-01 09: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파란놀 2011-10-01 10:58   좋아요 0 | URL
에고고, 바쁘실 때에는 아버지가 밥 차리라고 하셔요 ㅋㅋ

이제 어떻게 할는지 결정해야 하는데
아직 마음 갈피를 못 잡았어요..
 



 또 망가진 사진기와 렌즈


 내가 쓰는 디지털사진기는 2008년 6월에 만들었단다. 나는 아마 2008년 7월 무렵부터 이 녀석을 썼으리라. 2008년 7월 무렵부터 쓰던 사진기는 2010년 6월에 된통 맛이 갔다. 한창 신나게 사진을 찍는데 먹통이 되고 말았다. 가난한 살림에 겨우겨우 장만해서 쓰던 렌즈는 2009년 여름에 먹통이 되었다. 이때에도 한창 사진을 찍다가 먹통이 되었는데, 렌즈회사 수리점에 맡기니 ‘새로 사는 값만큼 고치는 값이 나온다’고 해서 새로 하나를 장만해야 했다. 이제 2011년 10월에 이르러 사진기와 렌즈가 나란히 먹통이 된다. 새 보금자리를 찾아 전라남도 고흥땅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길에 사진기와 렌즈가 나란히 먹통이 된다. 새 보금자리를 마련하려면 집값과 땅값으로 치를 돈이 몹시 빠듯할 뿐 아니라, 충북 음성에서 전남 고흥까지 짐차를 불러 짐을 옮기는 값 또한 아주 벅찬데, 새 사진기와 렌즈를 장만할 수 있을까. 디지털사진기 몸통은 아무래도 너무 낡아 아예 새로 사야 할 듯한데, 새로 나온 650디인가 하는 제품이 아니라 내 손에 가장 잘 맞는다고 여기는 450디라는 제품을 찾아서 장만할 수 있을까.

 새 보금자리를 찾아 고흥마실을 하는 동안, 여관에서 둘째가 뒤집기를 해낸다. 뒤집기를 하는 모습까지는 사진으로 담았다. 엊저녁, 둘째가 몹시 귀여운 얼굴로 뒤집으며 입을 쩍 벌리는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이제 이렇게 귀여운 얼굴도 찍을 수 없어요.” 하고 말한다. 한동안 그야말로 ‘찍고 싶어도 못 찍’는 나날이 된다. 참말 어찌해야 할는지 모르겠다. 브레송은 라이카라는 사진기로 당신 빛느낌을 담았다면, 나는 디지털사진기 가운데 450디 하나만이 내 빛느낌을 담을 수 있는데, 디지털사진기는 필름사진기와 달리 내 목숨이 다하는 날까지 쓸 만큼 튼튼하거나 야무지지 않은 줄 알기는 했지만, 참말 어떡해야 할까 모르겠다. 먹통이 되어 아주 무거운 짐이 되고 만 사진기와 렌즈를 가방에 깊이 모실 뿐, 머리가 띵하고 멍하다. (4344.10.1.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