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 사진 이야기] 12. 대구 대륙서점. 2010.3.17.


 헌책방에는 헌책이 있습니다. 새책방에는 새책이 있습니다. 도서관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헌책방이니 마땅히 헌책을 갖춥니다. 헌책이라는 이름은 사람들이 ‘새로 나온 책’을 ‘새로 장만하여 읽은’ 다음 내놓을 때에 붙습니다. 누군가 ‘새책’을 정갈하게 건사하며 읽고서 내놓았다면, 이 헌책은 ‘정갈한 헌책’이 됩니다. 누군가 새책을 아무렇게나 읽어 함부로 내놓았다면, 이 헌책은 ‘지저분한 헌책’이 됩니다. 헌책방은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를 값싸게 사는 데가 아닙니다. 때때로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를 갖추면서 이 책들을 값싸게 팔기도 하겠지요. 그렇지만, 헌책방은 ‘가슴으로 아로새길 만하다고 여기는 묻힌 책’을 갈무리하는 몫을 맡습니다. 가슴으로 아로새겨서 오래오래 되새길 만하다고 여기는 책을 갈무리하고, 이 책을 고맙게 만나는 데가 헌책방입니다. 세월이라는 더께가 앉은 책이니 먼지가 제법 먹고 종이가 퍽 바스라지기도 할 테지요. 늙은 사람 주름살은 나이값이요 나이그릇이듯, 헌책 누런 종이나 먼지는 삶값이요 마음그릇입니다. 늙은 사람을 마주할 때에 주름살을 읽지 않고, 이녁이 살아낸 기나긴 나날에 걸친 슬기를 읽습니다. 헌책을 마주할 때에 겉껍데기나 먼지를 읽지 않고, 누렇게 바랜 종이에 깃든 아름다운 넋과 꿈을 읽습니다. (4344.9.17.흙.ㅎㄲㅅㄱ)


- 2010.3.17. 대구 대륙서점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1-09-17 16:11   좋아요 0 | URL
계속 벼르다가 일산 끄트머리에 있는 헌책방을
추석 때 드디어 들렀답니다. 먼지내 풀풀 나는 곳에서 두시간을 버티며
이책저책 다 디비고 보고 향내 맡는 그 기분이 얼마나 좋던지요, 결국
두 손 가득 책을 들고 나왔다지요........ ㅎㅎ

홍대 살 때, 거기도 굉장히 오랜 헌책방이 있었는데 없어진 소식에 맘 아팠어요.

파란놀 2011-09-17 16:53   좋아요 0 | URL
매장으로 가는 발길이 줄고,
매장으로 가더라도 '다 다른(다양한) 책'보다는
그때그때 실용으로 삼을 책에 더 눈길이 가는 세상 흐름이니까,
새책방도 동네책방은 힘들고 대형서점만 살아남을 수 있듯,
헌책방은 아주 힘들어요.

내 동네 어디 한켠에 헌책방이 있을 때에
고마이 아끼면서 즐겨 찾아가야 해요.

그래도 홍대 신촌 둘레에는 좋은 헌책방이 많아요.
새로 생기는 곳도 있고요~ ^^

카스피 2011-09-18 22:50   좋아요 0 | URL
대륙서점이라 예전에 대구에 갔을때 헌책방 몇군데를 돌은 기억이 나는군요.이거 혹 대구 시청 뒷골목에 있던 헌책방인가요??

파란놀 2011-09-19 03:13   좋아요 0 | URL
대구시청 뒷골목이라 할는지 알 수 없으나,
대구역과 동대구역 사이
큰길가에 있습니다.

카스피 2011-09-19 08:37   좋아요 0 | URL
ㅎㅎ 그럼 맞는것 같기도 하네요^^ 또 언제 가볼지 모르겠군요.
 


 도시사람 책읽기


 서울이나 서울처럼 크고작은 도시는 하나도 즐겁지 않다. 그러나, 나무가 있고 이 나무 곁을 걷거나 이 나무 둘레를 거닐 수 있으면 느긋하고 너그러우면서 좋다. 책을 읽으려면 서울에서는 읽지 말아야 한다. 아니, 서울에서는 책을 읽을 수 없다. 다만, 서울이라 하더라도 나무 한 그루를 찾아, 바람결에 따라 바실바실 소리를 내며 춤을 추는 잎사귀 노래를 듣는 푸른 그늘에서 ‘나무를 베어 만든 종이로 일군 책’을 천천히 펼친다면 책읽기가 이루어진다. 버스나 전철을 타고 움직이는 서울사람이나 도시사람이 책을 읽으라고 바랄 수 없다. 버스나 전철을 타고 음직이는 사람들한테는 이러한 곳에서 착한 마음을 잃지 않으면서 이웃을 사랑할 줄 알기를 바랄 뿐이다. 착한 마음을 잃은 채 이웃을 사랑하지 못하는 슬픈 사람들을 부대끼고 싶지 않으니, 서울마실을 할 때에 버스나 전철에서 책을 펼치며 힘겨운 아픔을 떨친다. 소리가 살고 냄새가 그윽하며 빛살이 고운 곳에서만 책을 읽을 수 있다. 도시가 자꾸 커지거나 새로 늘기 때문에, 이 나라 사람들은 나날이 책을 덜 읽거나 안 읽을밖에 없다. 도시에서는 책을 읽을 일터나 보금자리나 쉼터가 깡그리 사라진다. (4344.9.16.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동생과 함께 놀기


 동생하고 함께 노는 첫째 아이를 바라본다. 첫째 아이는 동생하고 즐거이 노는 삶을 잘 안다. 아버지도 집안일과 집밖일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으면 첫째 아이가 하듯이, 또 어머니가 하듯이, 얼마든지 갓난쟁이 아이하고 함께 놀 테지. 첫째 아이가 어린 동생하고 함께 놀며 한때를 보내 주기 때문에, 어머니나 아버지는 이런저런 집안일을 볼 수 있다. 밥상을 차린다든지 설거지를 한다든지 비질을 한다든지 빨래를 한다든지 빨래를 널거나 갠다든지, 무언가 다른 일을 할 겨를을 마련해 준다. 작은 아이가 더 작은 아이하고 참 잘 논다. (4344.9.16.쇠.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1-09-16 12:27   좋아요 0 | URL
웃는 모습 정말 이쁘네요, 봐두봐두 이뻐요.
둘이 나란히 있는 모습이 정겹네요.
엎어놓아서 고개를 못 드는걸까요? 아직 목힘이 생기는 중인가 봅니다. 아유...........

파란놀 2011-09-16 15:23   좋아요 0 | URL
엎드리기를 좋아해서 하루에 몇 차례씩 이렇게 해 줘요.
목도 못 가누는 녀석이
엎드리기를 워낙 좋아해서요 ^^;;;

첫째는 옆에서 아기를 따라하며 놀아주고요~
 



 손으로 편지를 쓰면


 손으로 편지를 쓰면 팔과 팔뚝이 저리다. 찌잉 하고 저릿저릿 울리면서 즐거이 너그러워지는 팔저림이다. 나는 손으로 글을 쓰든 처음부터 자판으로 글을 쓰든, 늘 텍스트파일로 글을 여민다. 누리집에 올려서 셈틀 화면으로 들여다본다 하더라도 이 글조각에 내 마음조각이 깃들리라 믿는다. (4344.9.15.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달빛 달리기


 아침 일찍 안개를 뚫고 마실을 나간다. 안개는 멧골집에서 멀어질수록 옅어진다. 면내에 닿을 무렵 안개는 거의 없다. 시외버스를 타고 면내를 벗어날 때에는 안개란 아예 없다.

 저녁 늦게 달빛을 느끼며 마실길에서 돌아온다. 서울에서 벗어날 무렵부터 저 먼 어딘가에 달이 떴을 테지만, 수없이 켜진 수많은 불빛에 가릴 뿐더러, 자동차 불빛이 눈부셔 달빛을 찾거나 느낄 수 없다. 시외버스가 고속도로를 벗어나 국도로 접어들 때에도 아직 달빛을 찾거나 느끼지 못한다. 드디어 읍내에서 버스를 내려 자전거를 타니 달이 보인다. 그런데, 읍내에서는 달이 보이기는 하나, 달빛을 찾거나 느끼지 못한다. 읍내에 몇 없는 거리등불에 가리고, 가게마다 내뿜는 전기불빛에 눌린다.

 마을 어귀로 접어들 무렵부터 비로소 달빛을 느낀다. 논둑길은 오직 달빛에 기대어 자전거를 달린다. 저기 멀리, 또는 저기 앞에, 아버지를 기다리는 작은 집 불빛이 보인다. 달빛이 내려앉은 깜깜한 멧자락 한켠 작은 보금자리 작은 불빛을 바라보면서 논둑길을 마저 달린다. 온몸은 땀으로 흠뻑 젖는다. (4344.9.16.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