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쓴다는 생각으로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으러 첫째 아이랑 길을 떠나기로 했다. 이레쯤 돌아다니고 집으로 돌아올 텐데, 이동안 옆지기가 둘째 아이랑 잘 견디어 주기를 빌어 마지 않는다. 집일을 도맡는 아버지가 집을 비우는 동안 제발 비가 그쳐서 갓난쟁이 기저귀 빨래가 잘 말라야 그나마 수월할 텐데, 이 비는 7월을 지나고 8월이 접어들지만 조금도 수그러들지 않는다. 이런 날씨에 어떻게 살아남나. 이 짓궂은 빗줄기는 언젠가 그치기는 그칠 텐데, 참으로 사람을 잡는구나 싶도록 모질다. 도무지 어떻게 할 수 없다.

 새벽부터 밤까지, 또 새벽부터 밤까지, 다시 새벽부터 밤까지, 날마다 빨래를 예닐곱 차례 하면서 밥을 차리고 아이를 씻기며 집안을 쓸고 닦는다. 그나마 이렇게 하려고 용을 쓸 뿐, 아이하고 가붓하게 그림책을 읽으며 이야기꽃을 피우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하지 못한다. 등허리가 몹시 아프다. 손목 저림이 가시는가 했더니, 이제 등허리가 몹시 아파 자리에 앉거나 설 때면 아주 괴롭다.

 모두 잠든 깊은 새벽녘 조용히 일어나서 생각한다. 아무리 아프고 힘들더라도 웃는 낯으로 예쁘게 노래 부를 수 있어야 어버이 노릇을 하는 셈 아닌가 생각한다. 참으로 아프고 더없이 힘든 나날이라지만 밝게 웃고 맑게 노래하는 삶일 때라야 사람 구실을 하는 셈 아니겠느냐 생각한다.

 아직 어버이 노릇은 멀었고 사람 구실마저 까마득하다. 옆지기가 아버지한테 내어준 이레쯤 될 말미를 전라남도 고흥과 강원도 춘천시를 돌며 보내는 동안, 아무쪼록 몸과 마음을 제대로 다스리면서, 이 힘겨운 여름날, 곰팡이가 끝없이 피는 살림집과 도서관을 잘 마무리짓고 우리를 기다릴 좋은 보금자리를 기쁘게 찾아야겠다고 다짐한다. 그저, 내 하루하루를 어떻게든 버티며 글 한 조각 쓴다는 생각으로 겨우 일어나고 두 주먹 불끈 쥔다. 이제 기저귀 빨래부터 하면서 하루를 열어야겠다. (4344.8.1.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보는 눈 165 : 책을 읽는 도시

 경상남도 김해는 퍽 예전부터 ‘책읽는 도시’라는 이름을 내세웁니다. 경기도 파주에는 출판마을이 들어서면서 책도시로 거듭나려 애쓴다고 합니다. 이 나라 크고작은 도시에서 저마다 ‘책읽는 도시’라는 이름을 붙이려고 퍽 힘씁니다.

 ‘책읽는 도시’는 시장이나 군수가 “자, 이제부터 우리 시(군)는 책을 읽는 시(군)입니다!” 하고 외친들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널리 책을 읽고 두루 책을 사랑한다면, 시장이나 군수가 나서기 앞서 따사롭고 너그러운 책도시나 책마을로 이름을 날리기 마련입니다.

 오늘날 여러 지자체에서 ‘책읽는 도시’를 내세우는 까닭은, 그만큼 책을 안 읽기 때문이요, 책을 읽을 도서관이 없기 때문이며, 책을 살 책방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지자체마다 ‘책읽는 도시’가 되고 싶으면 두 가지를 먼저 해야 합니다. 첫째, 건물이 우람한 도서관이 아니라, 작은 동이나 면이나 리에 조그맣게 책쉼터를 마련해야 합니다. 둘째, 아직 살아숨쉬는 새책방과 헌책방이 앞으로도 꾸준하게 책방 살림 잇도록 돕는 한편, 새로운 새책방과 헌책방이 문을 열도록 여러모로 도와야 합니다.

 어느 한 가지 책을 읽자고 외친다 한들, 책읽기 모임을 열어 독서토론을 한들, ‘책읽는 도시’가 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는다면, 책이 재미없거나 책을 들출 겨를이 없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책을 재미있게 느낄 만한 삶터가 되어야 하고, 사람들이 책을 가까이할 만큼 삶이 너그러워야 합니다. 메마른 정치와 서글픈 경제와 비틀린 제도권교육을 그대로 두면서 ‘책읽는 도시’가 될 수 없습니다. 아이들 모두 대학입시에 목매달도록 하면서 책을 읽거나 읽히지 못합니다. 아이를 키우는 어버이는 일터에서 비정규직으로 아슬아슬하게 목숨줄을 잇거나 정리해고로 몸살을 앓는다면 책을 읽거나 읽히지 못합니다.

 아이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맡긴 채 돈을 벌러 다니는 어버이가 저녁나절 고단함에 절디전 몸으로 아이들한테 그림책이나 동화책을 읽히지 못합니다. 아이들한테 그림책이나 동화책을 못 읽히는 어버이는 당신 삶을 살찌울 아름다운 이야기책을 찬찬히 살피거나 읽지 못합니다.

 책만 읽자 해서, 도서관을 큰돈 들여 짓는다 해서, 무슨무슨 걸개천을 길거리에 내걸거나, 이름난 몇몇 글쟁이를 불러서 강연모임을 마련한다 해서, 어느 도시인들 ‘책읽는 도시’가 되지 않습니다. 책을 읽는 도시란, 무엇보다 살아가기 좋은 터전입니다. 책을 읽는 도시란, 사람들이 자가용을 버리고 자전거로 시원시원 조용히 오가는 삶터입니다. 책을 읽는 도시란, 아시안게임이니 올림픽이니 하면서 수천 억을 들여 새 경기장 짓는 데에 돈을 바치는 데가 아니라, 새 경기장 지을 자리에 숲을 지키고 돈을 아끼면서 풀과 꽃과 나무를 사랑하는 넋으로 책 하나 가슴에 고이 품자고 하는 데입니다.

 경제성장을 바라면 ‘책읽는 도시’가 안 됩니다. 일류대학을 꿈꾸면 책을 읽지 못합니다. 사랑과 믿음으로 살아갈 때에만 책을 읽고, 책을 읽는 사람이 모여 책마을이 태어납니다. (4344.7.31.해.ㅎㄲㅅㄱ)
 

(내 고향 인천을 생각하면서 쓴 글. 인천은 책도시가 될 수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1-07-31 20:51   좋아요 0 | URL
얼마 전 신문에서 읽었는데
일년 책 읽는 평균 권수가 한권이 안 되더군요. 그나마 거의 학습지이고
그리고 서울 경기 쪽이 평균 수치가 훨씬 높구요. 여하간 생각이 많은 통계였답니다. ㅡㅡ;;

파란놀 2011-08-01 06:04   좋아요 0 | URL
사람들이 문학책은 읽어도 환경책은 읽지 않아요.
환경책이 무언지 제대로 모르니까,
사회운동도 환경운동도 평화운동도... 아무런 진보운동도 하지 못해요.

인문책은 지식을 쌓는 책이 아니라,
나부터 삶을 바꾸려는 책이거든요...
 

 

[누리말(인터넷말) 83] 우리교육On, 콘서트, 인문학 캠프

 그리 멀지 않은 지난날 이 나라 지식인은 한자를 드러내어 적었습니다. 한자를 드러내어 적는 일이 ‘글을 쓸 때에 멋과 맛을 한결 살리는 길’이라 여겼습니다. 입으로 말을 할 때에는 어떤 한자를 쓰는지 알 길이 없을 뿐 아니라, 한자를 쓰는지 안 쓰는지도 알 수 없습니다. ‘우비’면 우비이지, 이 우비가 ‘우비’인지 ‘雨備’인지를 딱히 모르면서, 굳이 알아야 하지 않습니다. 다만, 사람들이 서로서로 쉽고 살가이 말을 주고받으려 한다면 ‘비옷’처럼 토박이말을 쓸 테지요. 이제 삶터가 달라지고 온누리가 뒤바뀌면서, 이 나라 지식인이 쓰는 글과 말 또한 차츰 달라지거나 뒤바뀝니다. 이제 이 나라 지식인은 한자보다 알파벳을 드러내어 적습니다. 한글로 알맞고 쉽게 글을 쓰려 하지 않습니다. 우리 말을 올바르고 살가이 나누려 하지 않습니다. 돌이켜보면, ‘콘서트’는 영어라기보다 들온말이라 할 만큼 사람들 입에 익은 낱말이지만, 곰곰이 따지면 ‘노래잔치’나 ‘노래마당’이나 ‘노래놀이판’으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캠프’라는 영어 또한 온갖 곳에 두루 쓰면서 ‘인문학 캠프’라고까지 일컫지만, ‘인문학 모임’이나 ‘인문학 얘기마당’이나 ‘인문학 말잔치’나 ‘인문학 잔치’나 ‘인문학 슬기잔치’나 ‘인문학 열린터’처럼 새롭게 이야기할 만합니다. 생각을 열 때에 삶을 열고, 삶을 열 때에 생각을 열면서, 말과 글을 함께 아름다이 열 수 있습니다. (4344.7.31.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토씨 -의 바로쓰기 사전》(함께살기,2011)이 나왔어요! 아주 깔끔하고 예쁘게 잘 나왔어요. 1412쪽짜리 이 책은 막 펼쳐서 보면 쪼개지겠지만, 알뜰살뜰 예쁘게 보면 쪼개지지 않으면서 책꽂이를 빛내리라 생각합니다.

 월요일에 택배로 부치니, 화요일 즈음에 손에 쥐실 수 있어요.

 처음 견적을 넣을 때보다 인쇄비가 퍽 들어서, 이래저래 맞추다가 40권에 117만 7천 원에 책 만들기를 마쳤습니다. 처음보다 15만 원이 더 들었어요 ㅠ.ㅜ 이래 가지고는 택배값을 빼고 책 만드는 데 들인 품과 돈이 하나도 안 남네요 @.@

 간기에는 책값을 5만 원이라 적었습니다. 먼저 주문해 주신 분한테는 책값 4만 원 그대로 부쳐요. 아무쪼록 즐겁게 잘 받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___^
 

 

책 무게는 1.5kg. 아이는 처음에는 그냥 들었으나 이내 무겁다고 얼굴을 찡그립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분꽃 2011-08-03 19: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이 예쁘게 잘 나왔네요. 저도 잘 받았습니다~~ 고생많으셨어요.
 



 하늘과 책읽기


 예부터 누군가 ‘가난은 나라님도 어찌하지 못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조금도 옳지 못한 말이지만, 이러한 말을 누가 왜 퍼뜨렸는가를 살피는 사람은 몹시 적습니다. 나라님이 있어야 한다면, ‘가난을 없애거나 뿌리뽑을 몫을 맡’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더 가진 사람한테서 나누어 받아 덜 가진 사람한테 나누어 주거나, 더 가진 사람 스스로 덜 가진 사람하고 즐거이 나눌 수 있도록 삶자리를 다스리는 몫을 할 사람이 바로 나라님입니다.

 군대를 다스린다든지 권력을 움켜쥐는 몫을 하라고 세운 나라님이 아닙니다.

 나라님이 어찌하지 못하는 일이란 날씨입니다. 나라님으로서는 비나 눈이나 가뭄이나 큰물을 어찌하지 못합니다. 다만, 날씨를 어찌하지 못한다지만, 날씨가 엉터리가 되지 않게끔 살림살이를 다독일 수 있습니다. 쇠삽날을 아무 데나 들이미는 막일을 하지 않는다면, 온누리에 푸른 들과 멧자락이 우거지도록 보금자리를 보듬을 수 있어요. 어찌할 수 없는 날씨이지만, 흙을 사랑하고 햇볕을 고맙게 여기면서 물과 바람을 아끼는 넋으로 살아가는 나라님이라 한다면, 이러한 나라님이 땀흘리는 나라는 무척 살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하늘을 올려다봅니다. 언제 맑은 해를 파랗디파란 하늘과 함께 올려다보았는지 알 노릇이 없습니다. 언젠가 이 비가 그치며 눈부신 햇살을 드리우겠지요. 그러나 칠월 내내 비 그칠 사이 없는 하루하루입니다. 갓난쟁이 기저귀 빨아서 말리기 벅차고, 겨우내 쓰던 두꺼운 이불 한 채를 미처 못 빨았으며, 장마철에 눅눅해지는 옷가지와 이불을 볕에 보송보송 말리지 못합니다. 새벽부터 밤까지 쉴 사이 없이 비를 퍼붓는 하늘을 올려다보면서 생각합니다. 빨래를 하란 소리인가 말라는 소리인가. 그러나, 비가 오든 말든 빨래는 날마다 예닐곱 차례 해야 합니다. 비가 그치지 않으니 더 자주 빨래를 해서 더 오래 말려야 합니다. 집일 하는 사람은 그야말로 하루를 온통 물을 만지며 살아냅니다. 손에서 물기가 가시지 않습니다. 손에서 물기가 가시지 않으니 책을 쥐어 펼친다든지 볼펜을 들어 공책에 글을 끄적일 수 없습니다.

 한숨을 쉰들 비가 그치지 않습니다. 이맛살을 찌푸린들 비가 멎지 않습니다. 골을 부린들 세찬 비가 가늘어지지 않습니다. 비는 저 스스로 그치고 싶을 때에 그칩니다. 비는 뿌려야 할 만큼 뿌리고 나서야 멎습니다. 비는 이 나라 이 삶터 이 사람들 살림살이에 따라 알맞게 내립니다. 하늘도 땅도 물도 바람도 해도 푸나무도 벌레도 이웃조차도 살피지 않는 이 겨레 이 터전에는 오늘날처럼 마구마구 퍼붓거나 쏟아붓거나 들이붓는 빗줄기가 가장 알맞고 마땅합니다. (4344.7.30.흙.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1-07-31 20:52   좋아요 0 | URL
오늘 낮에 경기 고양 호우주의보 라고 TV에 나오더니
저녁에는 경기 고양 호우경보 라고 바뀌었어요. 오늘 저녁 또다시 낙뢰 소리 듣게 생겼네요.

정말 우기 같아요...

파란놀 2011-08-01 06:03   좋아요 0 | URL
네, 저희는 시골이지만, 빨리 중부지방에서 떠나야겠다고 느껴요. 올여름은 어찌저찌 견디더라도 이 아이들 앞날을 생각해서 얼른 다른 좋은 시골로 옮겨서 이 나라에서 살아남으려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