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갑 1957-2005 - Kim Young Gap, Photography, and Jejudo
김영갑 사진.글 / 다빈치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 책이름 : 김영갑 1957∼2005
- 사진ㆍ글 : 김영갑
- 펴낸곳 : 다빈치(2006.5.15.)
- 책값 : 45000원


 비싸지 않은 사진책이 있으랴만, 사진책 《김영갑 1957∼2005》도 만만치 않은 값입니다. 성남훈 씨가 낸 사진책 《유민의 땅》(눈빛,2006)은 5만 원이고, 강운구 님이 낸 사진책 《우연 또는 필연》(학고재,1994)은 9만 원입니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사진을 모은 《은자의 나라 한국》(YBM Si-Sa,2002)는 98000원이에요. 이렇게 따지고 보면, 《김영갑 1957∼2005》에 붙은 45000원은 그럭저럭 붙은 값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5’보다는 ‘0’을 붙여 준다든지, ‘4’보다는 ‘3’만 붙여 주어도 얼마나 좋았겠느냐는 생각이 듭니다.


.. 중간산 광활한 초원에는 눈을 흐리게 하는 빛깔이 없다. 귀를 멀게 하는 난잡한 소리도 없다. 코를 막히게 하는 역겨운 냄새도 없다. 입맛을 상하게 하는 잡다한 맛도 없다. 마음을 어지럽게 하는 그 어떤 것도 없다. 나는 그런 중간산 초원과 오름을 사랑한다 ..  〈83쪽〉


 스무 해 남짓, 아무도 돌보지 않고 거들떠보지도 않던 제주섬 오름을 사진으로 담은 김영갑 님입니다. 더욱이 그냥 사진도 아닌 파노라마사진으로만 담았습니다. 김영갑 님이 꾸준하게 제주섬 오름을 파노라마로 찍으니, 하루하루 알아주는 사람도 생기고, ‘그거 하나만 찍는 사람’쯤으로 이름을 떠올리는 사람도 늘었습니다.


.. 내가 한라산만을 고집하는 이유를 사람들은 궁금해 한다. 질문을 받을 때마다 대답 대신 웃는다. 설명을 할 수가 없다. 그렇게 할 수 있다면 벌써 다른 곳을 찾아 떠났을 것이다. 뭔가 설명할 수 없기에 한라산 자락에서 이렇게 세월을 허비한다 ..  〈59쪽〉


 김영갑 님뿐일까요. 다른 사진작가를 볼 때에도, 글쟁이를 볼 때에도, 그림쟁이를 볼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문화나 예술에 몸바친다고 하는 사람뿐 아니라, 우리들 보통사람을 바라볼 때에도 ‘너, 그거 왜 하니? 밥이 되니, 돈이 되니? 뭐가 되니?’ 하고 묻는 사람이 많습니다.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자꾸만 돈-힘-이름이 있는 쪽으로 우리 눈길을 돌리라 합니다. 자, 그래서 그런 쪽으로 눈을 돌린다 칩시다. 돈한테 눈을 돌려 돈을 얻는 게 우리가 살아가는 목적일는지요. 힘한테 눈을 돌려 어마어마한 권력을 움켜쥐는 게 우리가 살아가는 참뜻일는지요. 이름한테 눈을 돌려 그 누구도 따를 수 없는 이름값을 세상에 남기는 일이 우리가 꾸려 가는 삶일는지요.

 

 말이 아닌 사진으로, 몸짓 발짓 손짓에다가 마음짓까지 모두 담아낸 사진으로 이야기를 건네는 김영갑 님입니다. 그러면서도 가끔 붓을 놀려 글을 몇 글자 끄적이기도 합니다. 사진만 보아서는 마음을 읽어 주는 사람이 드물고, 사진을 보면서 우리 삶터를, 자기 자신을 느끼거나 헤아리는 사람이 참 없기 때문입니다.


.. 겉으로 드러나는 아름다움은 한라산이 설악산이나 지리산보다 빼어날 수 없다 ..  〈23쪽〉


 김영갑 님은, “들판의 야생화들을 한 다발 꺾어 병에 꽂아 두면 벌과 나비가 찾아들었다. 그 녀석들도 꽃 속에서 한참을 놀다 가곤 했다. 꽃을 찾아드는 벌과 나비들을 볼 때마다, 내 사진도 그래야 한다고 늘 생각했다. 요란스럽게 떠벌리지 않더라도 말없이 감동을 전해줄 수 있다면, 한 사람 두 사람 사진을 보러 찾아올 것이다. 나는 그런 사진을 찍기 위해 온몸을 던져 몰입해야 하는 것이다.(103쪽)” 하고 말하면서 자기가 사진 찍는 뜻을 밝힙니다. 이렇게 사진이든 글이든 그림이든 다른 무엇이든, 바쳐야 이룹니다. 하나되어야 만날 수 있고 깨달을 수 있고, 스스로 곰삭여 펼쳐 보일 수 있습니다.

 

 누구한테 보여주려고 찍은 사진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좋아서 찍은 사진입니다. 뒷사람한테 남기려고 찍는 사진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를 북돋우고 알뜰하게 끌어올리기 때문에 스스럼없이 찍어 온 사진입니다. 김영갑 님이 찍지 않아도 제주섬 오름은 늘 그 자리에 그 모습 그대로 있습니다. 김영갑 님이 남기지 않았다면 제주섬 오름 모습이 나날이 바뀌고 무너지고 개발과 돈벌이 땅놀음에 사라져 버렸다고도 하겠지만, 이렇게 바뀌고 무너지는 우리 삶터도 우리 모습이요 역사일 테지요. 이런 우리 모습과 역사 가운데 한 자락을 붙잡은 김영갑 님 사진책 《김영갑 1957∼2005》입니다. 스물 몇 해에 걸쳐 모아낸 사진들인데, 이 사진책 하나 집어들고 스물 몇 해에 걸쳐서 잘 간수하면서 즐길 수 있다면, 책값은 그다지 안 비싸다고 느낄 수도 있으리라 믿습니다. 뭐, 저도 스무 해쯤 꾸준하게 즐길 마음으로 이 사진책을 선뜻 샀습니다. (4339.7.25.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나귀님님의 "편집자란 누구이며, 또 누구이어야 하는가?"

`색스 카민즈'가 맞는 이름인가요? 일지사 책에는 `삭스 카민즈'로 되어 있는데 말입니다. 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나귀님님의 "주마간산으로 뒤적이기 (7) : "뻘짓" 판 아라비안 나이트.."

<오정환 판>이라면 1974년에 동서문화사에서 나온 판인가 보지요? 저도 그 판본으로는 1권만 가지고 있는데, 판권을 보니 "원색비장판(原色秘藏版)"이라 적혀 있고, 껍데기에는 "무삭제판"이라 적혀 있군요 :) 그러고 보니, 김하경 판에는 `나귀'를 네 번이나 떼어먹었기 때문에, 나귀 님 눈에 확 뜨인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드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마다 한 생각
마하트마 간디 지음, 함석헌 외 옮김 / 호미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 책이름 : 날마다 한 생각
- 글쓴이 : 마하트마 간디
- 옮긴이 : 진영상, 함석헌
- 펴낸곳 : 호미(2001.8.10.)
- 책값 : 7500원


19.한 가지 일에 한 가지 목적으로 전념할 수 있는 사람은 결국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얻을 것이다. (1944.12.8.)


 날마다 한 가지씩, 두 해에 걸쳐서 짤막한 생각을 펼쳤던 간디 이야기를 묶은 책이 《날마다 한 생각》입니다. 어떻게 날마다 한 가지 생각을 꼬박꼬박 뽑아낼까 싶은 마음이 없지 않지만, 날마다 마주하거나 마주치거나 겪거나 보거나 듣거나 느낀 여러 가지를 흘려보내지 않는다면, 늘 자기 마음과 몸에 되새기고 곰삭이면서 하루를 즐길 수 있다면, 날마다 한 생각뿐 아니라 두 생각이나 세 생각을 하는 일은 조금도 어렵지 않습니다.


56.우리가 진정한 삶을 살기 원한다면 정신적 게으름을 버리고 좀더 기본적인 사고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삶은 아주 단순해질 수 있다. (1945.1.14.)


 어렵게 생각할 것이 없고 어렵게 할 까닭이 없으며 어렵게 말하거나 글쓸 쓸모도 없습니다. 있는 그대로, 가장 밑바탕이 되는 마음을 생각하고 살피고 나타내고 함께할 수 있으면 됩니다. “가장 쉽게 쓰는 글이 오히려 쓰기 어렵다”고도 하지만, 글을 괜히 어떤 멋이나 품위로 덮어씌우니 어려울 뿐입니다. 자기한테 있다면 있는 대로, 없다면 없는 대로 떳떳하고 스스럼없이 나설 수 있으면 됩니다. 자기한테 조금 더 있기에 널리 이웃들과 나눕니다. 자기한테 조금 덜 있기에 거리낌없이 이웃들한테 선사받고 도움받습니다. 있으면 베풀고 없으면 얻을 뿐입니다.


143.인간의 정신의 평화는 인간 세계 속에서만 증험될 수 있는 것이지 히말라야의 산정에 홀로 있으면서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1945.4.11.)


 사람은 사람 사이에 살아야 합니다. 하지만 사람됨을 잃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또는 저 혼자만 잘 먹고 잘 살려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사람답게 살 수 없겠지요. 사람이 사람 사이에 살아야 한다지만, 돈-이름-힘에 눈이 벌건 사람들 사이에 살라는 뜻이 아니라, 우리 사람들 스스로 사람됨을 간직하고 추스르면서 널리 어울리고 함께할 수 있는 터전에서 살아야 한다고 믿습니다.


286.죄를 ‘크다’, ‘작다’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잘못을 저질러서는 안 된다. (1945.9.1.)


 저지른 죄값은 모두 똑같기 때문에, 돈 100원을 훔친 사람과 돈 100억 원을 훔친 사람 모두 똑같이 죄값을 달게 치러야 합니다. 하지만 돈 100원을 훔친 사람은 죽는 날까지 ‘도둑놈’ 딱지에서 헤어나지 못하는데, 돈 100억 원을 훔친 사람은 어느 누구도 이이가 도둑놈인 줄 모르고 넘어가기 일쑤입니다.


385.잘못을 고백하는 것은 비와 같은 역할을 한다. 비는 더러움을 쓸어내는데, 고백도 이에 못지 않다. (1945.12.9.)


 《날마다 한 생각》은 마하트마 간디라고 하는 대단히 훌륭한 사람만이 펼쳐서 보여줄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누구든 자기 삶을 다부지고 알뜰하게 가꿀 줄 알고, 꾸려나갈 줄 안다면, 언제 어디서라도 펼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간디라는 분은 자기가 날마다 했던 생각을 잊지 않고 꼼꼼하게 적어 두었을 뿐입니다. 생각해 보면, 우리 어머니나 아버지, 동네 아저씨나 아주머니, 가까운 형이나 언니나 누나 들이 우리한테 들려주는 이야기 가운데 참 마음에 와닿거나 좋다고 할 만한 이야기가 얼마나 많을까요. 따로 말로 하지 않아도 몸으로 보여주고, 마음으로 나누는 좋은 이야기는 또 얼마나 많고요. 간디란 분이 엮어낸 《날마다 한 생각》을 읽으며, 우리들은 우리 나름대로 한 해를 하루하루 알차게 보내면서 《내 나름대로 펼친 날마다 한 생각》을 써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4339.7.11.불.ㅎㄲㅅㄱ)

 

*****

다만 한 가지, 번역이 그다지 좋지 않다고 느낍니다. 함석헌 선생이 다시 한 번역을, 요즘 우리 말투에 맞게, 또 쉽고 깨끗한 말에 걸맞게 다시 다듬어 주어야지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전우익 지음 / 현암사 / 199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 책이름 :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 글쓴이 : 전우익
- 펴낸곳 : 현암사(1993.5.15)


 1993년에 나온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를 1999년에 사서 읽었습니다. 그다지 길지 않은 책인데, 그때 끝까지 다 읽지는 못하고 3/4쯤 읽고 덮어 놓았습니다. 그러다가 책꽂이 어디엔가 꽂아 놓고는 잊고 지냈는데, 지난주쯤 책꽂이를 크게 한 번 추스르면서 이 책을 다시 만납니다.


.. 농민이 제대로 농민 구실을 하자면 땅과 스스로와 세상을 함께 갈고 가꾸어야겠다고 느낍니다. 곡식이 제대로 자라는 데 질소, 인산, 칼리의 세 요소가 필요하듯 농민이 제대로 된 온전한 농민이 되자면 땅도 갈고 자기 스스로도 갈고 세상도 갈아야지, 줄기 자라는 질소만 듬뿍 주고 뿌리 튼튼히 뻗는 인산과 열매 충실히 맺는 칼리를 주지 않으면 짚농사만 짜드러 짓지 벼는 쭉정이만 달리게 됩니다. 그렇게 해서 농사 풍년이 값 폭락을 가져온 일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  〈45쪽〉


 일곱 해 만에 다시 읽습니다. ‘그때 읽다가 덮어둔 일이 차라리 잘되었나’ 하는 생각도 얼핏 들지만, ‘그때 끝까지 마저 읽은 뒤, 이번에 새롭게 다시 읽으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어쩌겠습니까. 다 읽고 한 번 더 읽는다면, 두 번 읽는 느낌을 추스르고, 미처 못 읽고 다시 읽는다면, 이런 느낌을 다독이면 되겠지요.


.. 자연과 어울려 자연스럽게 살아가겠다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자연을 원수처럼 정복의 대상으로 여겨 자연의 리듬에 거슬리게 사는 게 잘사는 것인 양 우쭐대는 분들이 있습니다. 자연의 리듬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어김없이 역사의 흐름도 막으려 들고 민심도 깔아뭉개려 들어요 ..  〈52쪽〉


 요즘 감자 캐는 철입니다. 벌써 다 거두어들인 곳도 있고, 이제 거두어들이는 곳도 있습니다. 지난날과 견주면 무척 빨리 거두는 셈이라고 하더군요. 아마 모두들 시장에 내다 팔 생각을 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빨리 거두려고 애쓰는구나 싶습니다. 모내기도 그렇고 가을걷이도 그렇습니다. 해가 갈수록 심는 날이 앞당겨지고 거두는 날도 앞당겨집니다. 날씨가 해마다 더워지기도 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일찍 거두어 파는 쪽’이 더 돈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쌀값이 빚이나 갚을 수 있게 해야지 거기 무슨 딴 수작이 있겠어요? 구도하시는 스님들도 공양을 들여야 염불도 참선도 하시는데, 밥 먹고 사는 사람이 쌀을 업신여기는 건 백성을 얕잡아보는 데서 나옵니다. 농민들의 추상 같은 벼락만이 빚을 떨쳐 버릴 수 있고, 민족의 추상 같은 뇌성벽력 없이는 분단의 장벽은 허물어지지 못할 것 같아요 ..  〈22쪽〉


 빚을 갚기는커녕 빚이 늘어나는 농사입니다. 그러면 도시사람들은 이렇게 말하지요. ‘빚만 지는 농사, 그냥 집어치우고 땅 팔아 도시로 와서 장사하면 되지 않느냐’고요. 하지만 제 땅을 가진 농사꾼이 얼마나 된다고 그럴까요. 더욱이 평생 농사만 짓던 어리숙한 사람이 장사를 해서 ‘밑천 안 날리면 그나마 잘한’ 셈임을 헤아려야 합니다. 차라리 조금 빚을 지더라도 내 집이 있는 시골이 낫고, 먹을거리는 제 손으로 키울 수 있는 농사가 낫지요.

 

 농사도 안 짓는 사람들은 배불리 먹고살 뿐 아니라 돈도 조금씩 모으는 요즘 세상입니다. 그러면서 유기농이니 뭐니를 찾습니다. 한미FTA니 지난날 우루과이라운드니 뭐니를 떠나 우리 시골이 무너지는 동안 한 번도 제대로 거들떠보지 않아 온 우리들입니다. 시골사람도 시골을 떠나 무턱대고 도시로만 몰리려 했지만, 도시사람도 도시 삶이든 시골 삶이든 있는 그대로 헤아리려 하지 않고 값싸고 가벼운 놀음놀이에 빠지고 자기 생각에만 빠져 있습니다.

 

 책이름 그대로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입니다. 농사꾼만 잘살아도 안 되는 세상이지만(그러나 이런 세상이 언제 한 번이라도 있었을까요?), 농사꾼 아닌 사람만 잘살아도 안 되는 세상입니다. 평생 고생한 사람이 마지막 삶이나마 보람을 얻어야 하나, 누구나 다 보람을 나누어 얻고 즐겁게 어우러질 수 있어야 좋은 세상이라고 믿습니다.

 

 전우익 님은 땅을 부치고, 나무를 심고, 씨앗을 갈무리하고, 자리를 치면서 자기 삶을 가꾸었고 세상을 읽었습니다. 우리는 우리 삶을 어떻게 가꾸고 있나요? 우리 세상은 어떻게 읽고 있나요? (4339.7.4.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