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푸지다


돈이 넉넉하기에 살림이 든든하지는 않습니다. 돈벌이만으로 살림을 가꾸지 않거든요. 주머니는 가볍지만 건하게 뜻을 펴고, 빈손에 맨손이지만 너르게 꿈을 이루게 마련입니다. 모든 일은 돈으로 하지 않거든요. 언제나 먼저 마음으로 그리고 살피고 담고 심으면서 하는 일입니다. 그림자처럼 뒤에 서기에 나쁘지 않아요. 바깥에서 맴돌기에 처진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별에서 보자면, 가운데나 가장자리란 없어요. 모든 곳은 우리 스스로 서는 터전입니다. 왼쪽도 오른쪽도 옆모습일 뿐이에요. 위도 아래도 그저 테두리입니다. 바리바리 들고 가야 썩 누릴 만하지 않아요. 되도록 홀가분히 추스르면서 조금만 쥐어도 즐겁습니다. 찬바람이 수그러드는 봄마다 푸지게 피어나는 들꽃을 바라봐요. 물씬 흐르는 봄내음을 떠올려요. 다 가져야 가멸지 않습니다. 어지간하게 이루지 않아도 가멸찹니다. 한껏 거머쥐려고 하기에 오히려 무거워요. 잔뜩 안 품어도 되고, 잘 해내지 못 할 수 있습니다. 한겨울에도 낮볕은 꽤 드리워요. 겨울에도 기저귀는 너끈히 말립니다. 하루하루 한바탕 잔치예요. 새아침이 노래이고, 새벽이슬이 반짝입니다.


ㅅㄴㄹ


건하다·걸쭉하다·꽤·꽤나·못내·물씬·썩·자못·적이·적잖다·퍽·너끈하다·너르다·넉넉잡다·넉넉하다·널널하다·다·모두·잔뜩·잘·한바탕·허벌나다·흐벅지다·되다·되도록·어느 만큼·할만하다·어연간하다·어지간하다·엔간하다·웬만하다·든든하다·살지다·톡톡하다·푸지다·푸짐하다·마음껏·맘껏·실컷·얼마든지·한껏·함박껏·바리·바리바리·벌써·이미·조금·좀·있다·변변하다·제대로·제법 ← 십분(十分)


그림자·금·검다·바깥·밖·테두리·테·옆모습·옆낯·옆얼굴 ← 실루엣(silhouette)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잇목


해마다 겨울이면 집안을 따뜻하게 돌볼 기름을 받습니다. 시골은 겨울에 불을 때는 밑돈이 잔뜩 듭니다. 살고 죽고 할 만큼 목돈이 나가는데요, 기름값을 톡톡히 치르면서 새로 기운을 냅니다. 얼어붙는 겨울이면 손가락도 발가락도 얼 텐데, 겨울은 언제나 가을하고 봄을 잇는 갈림목이라고 느껴요. 드디어 꽃이 너울거리는 봄을 맞이하면, 겨울하고 여름 사이에서 잇목이네 하고 느낍니다. 여름에는 봄이랑 가을 사이에서 길머리인 철이라고 느끼지요. 모든 사람은 서로서로 사잇목이자 이음길입니다. 네가 나를 그이한테 사다리처럼 이어 주는군요. 내가 너를 저이한테 징검돌처럼 자리를 잇네요. 여울목을 건넙니다. 너울목을 지납니다. 디딤널을 밟고서 천천히 나아갑니다. 길나루에 서서 다음으로 갈 곳을 어림합니다. 이곳에서 저곳으로 뻗으니 새길입니다. 몸하고 머리 사이에 목이 있듯, 모든 건널목과 길목은 보드라면서 가볍고 곧게 흘러가는 자리로구나 싶어요. 갈랫길에서는 하나를 골라서 걸어요. 갈림길에서 해맬 수 있어요. 들어가는곳에서 엉뚱하게 나올 수 있겠지요. 바쁠수록 돌림길로 갈 만합니다. 바쁘니 발판만 찾기보다 더 느긋해야지 싶습니다.


갈랫길·갈림길·갈림목·갈림터·갈림자리·갈림골·건널목·굽이·길목·길머리·길나루·난달·너울목·너울길·너울머리·돌림길·돌림살림·돌림살이·돌잇길·들머리·들목·들어가는곳·디딤널·디딤판·디딤돌·디딤길·디딤칸·목·목구멍·여울목·발판·오름판·올림판·사느냐 죽느냐·살고 죽고·살리느냐 죽이느냐·사다리·사닥다리·사잇목·샛목·새길·새목·이음길·이은길·잇길·잇는길·이음목·이은목·잇목·잇는목·이음받이·잇받이·징검다리·징검돌·징검길 ← 기로(岐路)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추위마루


이 겨울추위에 옷이 너무 얇지 않느냐고 나무라거나 묻는 분이 많습니다. 저는 거꾸로 겨울이니 겨울바람이고, 겨울철은 차가울 테지만, 구태여 겨울나라 같은 마음일 까닭이어야 하느냐 하고 되물어요. 맵추위이건 칼추위이건 대수롭지 않습니다. 함박추위이건 큰추위이건 대단하지 않아요. 강추위라서 움츠려야 하지 않습니다. 된추위라서 고개숙여야 하지 않아요. 추운곳에서는 이 추위마루가 언제까지 흐르려나 하고 하늘을 바라봅니다. 살을 에건 뼈를 에건 눈보라추위이건 달가이 맞아들입니다. 얼음나라란 추운고장일 텐데, 이 얼음더미란 먼저 마음부터 꽁꽁 시리다는 뜻이라고 느껴요. 나부터 눈보라를 노래보라로 바꾸는 마음이라면, 우리부터 눈바람을 숲바람으로 돌리는 꿈이라면, 너랑 내가 나란히 얼음장을 사르르 녹일 해님을 속으로 품는다면, 모든 추위는 천천히 물러나게 마련입니다. 마음이 얼어붙기에 하늘이 얼어붙어요. 마음이 쌀쌀하니 땅도 나무도 쌀쌀맞습니다. 서늘하고 찬날씨일수록 더 둘레를 봅니다. 찬터에서 참빛을 그립니다. 얼음눈바람은 저 멀리에서 오지 않아요. 늘 우리 마음에서 비롯하는 봄빛이요 겨울빛입니다.


ㅅㄴㄹ


강추위·꽁꽁추위·된추위·맵추위·센추위·칼추위·큰추위·함박추위·겨울·결·겨울철·겨울빛·한겨울·겨울스럽다·겨울답다·겨울같다·겨울나라·겨울누리·겨울땅·겨울바람·차갑다·차다·추위·춥다·추위벼락·추위맞이·추위마루·찬고장·찬고을·찬땅·추운고장·추운고을·추운땅·찬곳·찬데·찬터·찬곳날씨·찬데날씨·찬마루·찬무대·찬흐름·찬줄기·찬바람·찬날씨·찬바람눈·찬눈바람·추운데·추운곳·추운터·추운자리·추위터·눈바람·눈보라·눈추위·눈얼음추위·눈보라추위·뼈를 에는 추위·살을 에는 추위·서늘하다·시리다·싸늘하다·싸하다·쌀쌀하다·얼다·얼어붙다·얼얼하다·얼음·얼음나라·얼음땅·얼음마루·얼음장·얼음더미·얼음추위·얼음눈추위·얼음바람·얼음보라·얼음바람눈·얼음눈바람 ← 한대(寒帶), 한대기후, 한랭(寒冷), 한랭기후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흰자


고맙게 여기면서 해맑게 웃습니다. 기쁘게 맞이하면서 환하게 노래합니다. 반갑게 만나면서 하얗게 밤을 새웁니다. 달갑잖다면서 눈을 희번덕거립니다. 흰자를 자꾸 굴리는 눈초리가 매섭습니다. 그렇지만 곱살하게 다시 말을 건넵니다. 쏘아대는 저 사람은 놈이 아닌 님이라고 여기면서 새삼스레 상냥하게 두 마디 석 마디를 들려줍니다. 꽃보라가 드날리는 곳에서만 착하게 어울리지 않아요. 화살보라가 춤추는 싸움터에서야말로 사랑을 베풀 때라고 느낍니다. 즐겁지 않으니 싸워요. 따사로이 나누는 눈길이나 포근하게 품는 손길을 받은 적이 없다고 여기기에 자꾸 다툽니다. 만만하기에 다가설 수 있어요. 호락호락하지 않으면 얼씬조차 못 하지요. 밥을 차릴 적에 고깃살을 꼭 놓아야 즐길 만하지 않습니다. 곰곰이 보면 풀잎이며 풀줄기는 풀한테 살점이자 살집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달걀은 노른자위도 흰자위도 다 다르게 쓰지요. 떡국을 끓이면서 노랗게 하얗게 고명으로 얹어요. 좋아하는 대로만 하자면 오히려 좁게 갇히더군요. 좋은뜻은 안 나쁠 테지만, 앞으로는 아름뜻에 고운뜻으로 꽃비에 단비를 흩뿌리는 발걸음으로 나아가기를 빕니다.


ㅅㄴㄹ


고맙다·기쁘다·반갑다·반기다·오감하다·즐겁다·즐기다·곱다·곱살하다·곱상하다·아름답다·베풀다·사랑·상냥하다·착하다·참하다·꽃보라·꽃비·단비·생각·마음·마음꽃·말·말씀·뜻·손길·손빛·손·눈·눈길·기껍다·내키다·만만하다·호락호락·좋다·좋아하다·좋은뜻·따뜻하다·따사롭다·다사롭다·다솜·포근하다·푸근하다·후덥다 ← 호의(好意), 호의적


살·살점·살집·살덩이·살덩어리·살더미·흰자·흰자위·하얀자·하얀자위·흰살·하얀살 ← 단백질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짧다


아직 모르는 숱한 책을 읽다 보면, 뜻밖에 일찍 간 분이 참 많은 줄 알아챕니다. 저님은 어쩌다가 일찌거니 스러져야 했는지 가슴을 쓸어내립니다. 그님은 왜 그리도 일찍 지는 꽃으로 가셨는지 눈시울을 적십니다. 이님은 참으로 꽃가싯길에 들어선 나날이었구나 하고 고요히 비손을 합니다. 일을 짧게 마치기에 홀가분하기도 하지만, 일을 늦도록 마감하지 못 하면서 내내 배우기도 합니다. 오래오래 붙드는 만큼 오래도록 살피면서 한결 깊고 넓게 헤아리곤 합니다. 가만 보면 해마다 숱한 풀꽃이 꽃떠남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꽃으로서도 꽃빛떠남입니다. 갈겨울에 시드는 풀줄기를 보노라면, 꽃님은 일찍 가게 마련이구나 싶은데, 마감길이란 마냥 나쁘다고 느끼지 않아요. 저마다 이 삶에서 뜻한 바를 차근차근 풀어내면서 부드러이 손길을 드리우는 살림길이었다고 느껴요. 오늘 그린 꿈을 오늘동이에 담아서 살짝 묻어 봅니다. 나중에 열 동이입니다. 다음에 태어나서 자랄 아이들이 뚜껑을 열고서 “예전에 태어난 어른은 무슨 꿈을 그렸을까?” 하고 반길 이야기를 차곡차곡 담아 놓습니다. 끝이 있기에 처음이 있고, 첫길을 나서면 끝길을 마주합니다.


ㅅㄴㄹ


짧다·일찍·일찌감치·일찌거니·일찍 죽다·일찍 떠나다·일찍 가다·일찍 스러지다·꽃가싯길·꽃자갈길·꽃빛수렁·꽃죽음·꽃빛죽음·꽃떠남·꽃빛떠남·꽃님은 일찍 진다·꽃님은 일찍 간다·일찍 지는 꽃·일찍 시드는 꽃·일찍 가는 꽃·끝·끝나다·끝있다·끝장·끝장나다·마감·마감하다·마감길·마감줄·마감꽃·맛가다·죽다·스러지다·쓰러지다·자빠지다·깨어지다·깨지다·망가지다·망그러지다 ← 요절(夭折)


나중그릇·나중동이·다음그릇·다음동이·뒷그릇·뒷동이·오늘그릇·오늘동이 ← 타임캡슐(time capsule)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