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산보さんぽ



산보(散步) : 휴식을 취하거나 건강을 위해서 천천히 걷는 일 = 산책

さんぽ(散步) : 산보, 산책


 순옥의 산보 가자는 말은 → 순옥이 마실 가자는 말은

 공원에서 산보하다 → 쉼터를 거닐다

 매일 아침 동네 외곽을 산보하고 → 아침마다 마을 둘레를 걷고

 산보하고 있었는데 → 나들이를 하는데


  일본말 ‘산보’는 우리말 ‘마실’하고 ‘나들이’로 고쳐씁니다. ‘걷다·거닐다·가다’나 ‘나가다·나긋하다·나다니다’로 고쳐쓸 만합니다. ‘놀러가다·놀러다니다·다녀오다·다니다’나 ‘돌아다니다·돌아보다·두리번·둘러보다’로 고쳐쓰지요. ‘들락거리다·들랑거리다·디디다’나 ‘뚜벅이·바깥마실·바람마실·밟다’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이웃마실·이웃나들이’나 ‘가볍다·나긋나긋’이나 ‘오가다·오고가다·오며가며·움직이다’로 고쳐써도 되고요. ㅍㄹㄴ



향기 좋게 피는 야생화 사잇길의 여름 산보며, 바람이 불어 흔들리는 갈대숲 사이의 가을 산보며, 토끼가 힘들여 뛰는 눈길의 겨울 산보

→ 향긋이 피는 들꽃 사잇길 여름걷기며, 바람이 불어 흔들리는 갈대숲 사이 가을걸음이며, 토끼가 힘들여 뛰는 눈길 겨울나들이

《산사의 하루》(돈연·김대벽·안장헌, 대원사, 1992) 92쪽


엄마랑 산보 나가자

→ 엄마랑 나가자

→ 엄마랑 나들이 가자

《만화 중국 고전 55 動物園 2》(채지충/황병국 옮김, 대현출판사, 1996) 28쪽


스님 두 분이 아침 산보를 나왔다가 내게 다가옵니다

→ 스님 두 분이 아침에 거닐다가 내게 다가옵니다

→ 스님 두 분이 아침마실 나와서 내게 다가옵니다

《아니온 듯 다녀가소서》(안재인, 호미, 2007) 116쪽


큰길에 면한 버스정류장까지 가려면 굽이진 논밭 사이 길을 … 봄과 가을엔 산보 삼아 걷기에 적당한 아름다운 길

→ 큰길에 있는 나루까지 가려면 굽이진 논밭 사잇길을 … 봄과 가을엔 마실 삼아 걷기에 알맞은 아름다운 길

→ 큰길가 길나루까지 가려면 굽이진 논밭 사잇길을 … 봄과 가을엔 나들이 삼아 걷기에 걸맞은 아름다운 길

→ 큰길 나루터까지 가려면 굽이진 논밭 사잇길을 … 봄과 가을엔 나긋나긋 걷기에 즐거운 아름다운 길

나들이 삼아 걷기에

《수작사계》(김소연, 모요사, 2014) 135쪽


오후에 산보도 할 겸

→ 낮에 마실도 하려고

→ 낮에 나들이 삼아

→ 낮에 좀 걸으면서

《두 개의 여름》(사노 요코·다니카와 슌타로/정수윤 옮김, 창비, 2020) 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시착しちゃく



시착(試着) : x

しちゃく([試着) : (옷이 맞는지) 입어 봄


 시착 후에 결정하자 → 입어보고 고르자

 시착을 하면 비교할 수 있다 → 씌우면 견줄 수 있다



  옷을 입는 몸짓을 일본말로 ‘시착しちゃく’라 합니다. 이 일본말씨는 어느새 우리 삶터로 스몄습니다. 우리말로는 ‘입다·입어보다’나 ‘갈아입다’라 합니다. ‘대다·대보다·대주다’나 ‘감다·두르다·쓰다·씌우다·들쓰다’라 할 만하고, ‘신다·매다·차다·채우다’나 ‘하다·해보다’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애초에 시착도 못 해보는 가게도 있나요

→ 처음부터 못 걸치는 가게도 있나요

→ 워낙 대지도 못하는 가게가 있나요

→ 뭐 씌우지도 못하는 가게가 있나요

《일하지 않는 두 사람 6》(요시다 사토루/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19) 17쪽


대여료만으로도 마음껏 시착해 볼 수 있어요

→ 빌림삯만으로도 마음껏 입어볼 수 있어요

《내 옆에 은하 6》(아마가쿠레 기도/박소현 옮김, 소미미디어, 2023) 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결여 缺如


 객관성 결여 → 고르지 않다 / 두루눈이 아니다

 정신력의 결여 → 마음이 빠지다 / 마음이 모자라다

 그 작품에 결여된 것은 → 이곳에 모자라니 / 여기에 빠졌으니

 공정성을 결여한 → 바르지 않은 / 옳지 않은


  ‘결여(缺如)’는 “마땅히 있어야 할 것이 빠져서 없거나 모자람 ≒ 결언·궐언·궐여”처럼 풀이하는데, 낱말책에 실린 세 가지 비슷한말 ‘결언(缺焉)·궐언(闕焉)·궐여(闕如)’ 모두 “= 결여”로 풀이해요. ‘결언·궐언·궐여’ 같은 한자말은 털어낼 노릇입니다. 여러모로 보면, ‘빠지다·빠뜨리다·모자라다·놓치다’나 ‘없다·비다·비리다·빈곳·빈틈’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떨어지다·메마르다·강파르다’나 ‘잃다·잊다·않다·아니다’로 고쳐써요. ‘못 닿다·못 미치다·못 받다·바닥’이나 ‘아쉽다·어설프다·엉성하다·뿌리얕다·얕다’로 고쳐쓰지요. ‘얄궂다·어정쩡하다·어줍다·얼치기’로 고쳐쓰고, ‘틈·피나다·피흘리다·허술하다’나 ‘흉·헙수룩·한 치 앞도 못 보다·후줄근하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사람에 대한 애정 같은 게 결여돼 있다는 소리지

→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이 빠졌다는 소리지

→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는 소리지

→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이 모자라다는 소리지

《백조 액추얼리》(코다마 유키/천강원 옮김, 애니북스, 2008) 93쪽


인간의 문제와 정면대결을 기피한 것은 역사의식의 결여를 반증한다 

→ 사람과 맞닥뜨리지 않으니 살림길을 읽지 못하는 셈이다

→ 사람살이를 마주하지 않기에 삶자취를 모르는 꼴이다

《강운구 사진론》(강운구, 열화당, 2010) 70쪽


이들 기술記述에는 정확함이 결여되어 있다

→ 이런 말은 꼼꼼하지 않다

→ 이 같은 말은 허술하다

→ 이렇게 적으면 퍽 모자라다

→ 이렇게 쓰면 꽤 어설프다

→ 이렇게 적은 말은 바르지 않다

《배를 엮다》(미우라 시온/권남희 옮김, 은행나무, 2013) 54쪽


감정이 결여된 목소리로

→ 마음이 빠진 목소리로

→ 메마른 목소리로

《봄철 한정 딸기 타르트 사건》(요네자와 호노부/김선영 옮김, 엘릭시르, 2016) 216쪽


그가 말한 결여된 것은

→ 그가 말한 빠진 대목은

→ 그가 말한 빈 대목은

→ 그가 말한 아쉬운 곳은

《무신론자의 시대》(피터 왓슨/정지인 옮김, 책과함께, 2016) 12쪽


서로가 결여되고

→ 서로 빈틈이고

→ 서로 비고

→ 서로 빠졌고

《바깥 나라의 소녀 11》(나가베/서현아 옮김, 시리얼, 2020) 16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호상가옥



 이 지방에 존재하는 호상가옥은 → 이 마을에 있는 못집은

 호상가옥 스타일로 건축되었다 → 못물집처럼 지었다

 전통적인 호상가옥을 방문했다 → 예스런 못집에 찾아갔다


호상가옥 : x

호상(湖上) : 호수의 위

가옥(家屋) : 사람이 사는 집



  못에 지은 집이라면 ‘못집’입니다. 못물에 지었다고 여겨 ‘못물집’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멧골에는 ‘멧집’이고, 숲에는 ‘숲집’입니다. 시골은 ‘시골집’이고, 서울은 ‘서울집’이에요. 골목에는 ‘골목집’이지요. ㅍㄹㄴ



아까 본 호상가옥 말고도 옛 민가가 여러 채 모여

→ 아까 본 못집 말고도 옛 살림집이 여러 채 모여

→ 아까 본 못물집 말고도 옛 시골집이 여럿 모여

《늦여름》(호리 다쓰오/안민희 옮김, 북노마드, 2024) 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21 : -의 시작점 입하 기준 -쳐지는 시간


여름의 시작점인 입하를 기준으로 펼쳐지는 시간입니다

→ 여름맞이입니다

→ 여름 첫머리입니다

《사주 인사이트》(하나사주, 혜윰터, 2025) 164쪽


여름이 여는 철눈을 한자말로 ‘입하’라 한다지요. “여름의 시작점인 입하”라 하면 겹겹말인 얼개입니다. 군말이에요. 이 보기글은 “여름의 시작점인 입하를 기준으로 펼쳐지는 시간입니다”처럼 길게 적습니다만, “여름맞이입니다”쯤으로 손볼 만합니다. “여름 첫머리입니다”라든지 “새여름입니다”라든지 “여름으로 들어서는 때입니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시작점(始作點) : 어떠한 것이 처음으로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 = 기점

입하(立夏) : 이십사절기의 하나.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들며, 이때부터 여름이 시작된다고 한다. 양력으로는 5월 5일경이다

기준(基準) : 1. 기본이 되는 표준 2. [군사] 제식 훈련에서, 대오(隊伍)를 정렬하는 데 기본이 되는 표준을 대원들에게 알리는 구령

시간(時間) : 1. 어떤 시각에서 어떤 시각까지의 사이 2. = 시각(時刻) 3. 어떤 행동을 할 틈 4. 어떤 일을 하기로 정하여진 동안 5. 때의 흐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