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 나라의 소녀 11 - 완결
나가베 지음 / 시리얼(학산문화사) / 2022년 10월
평점 :
일시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11.

책으로 삶읽기 1007


《바깥 나라의 소녀 11》

 나가베

 서현아 옮김

 시리얼

 2020.10.25.



《바깥 나라의 소녀 11》(나가베/서현아 옮김, 시리얼, 2020)를 읽었다. 길게 잇던 줄거리는 이쯤에서 맺는다. 열한걸음을 더듬으면, 그림님은 어쩐지 ‘얼굴짓’을 일부러 안 그리는 듯싶다. 우리 삶자리가 “얼굴빛 없이 차가운 나날”이라고 비추는 듯하다. 오늘날 온나라를 보면 사람들은 얼굴을 가장 꾸미고, 몸매를 버금으로 꾸민다. 얼굴을 잘 보이려고 그토록 용을 쓰고 돈을 쓰고 힘을 쓰고 마음을 쓴다. 정작 마음을 사랑으로 가꾸는 길에는 “이미 힘이 다 빠져서” 아예 손을 놓기 일쑤이다. 마음은 잊은 채 겉모습과 겉몸만 꾸미려 하기에 시커멓게 타들어가고 잡아먹히고 죽어간다. 마음을 사랑으로 밝히려는 길을 등돌리기만 하면서, 나이값까지 잊으면, 그야말로 늙다가 죽는다. 나무는 나이테가 굵으면서 듬직하고 아름답다. 사람은 나이를 먹으며 어질거나 슬기로운 빛이 어디 있는가? 오늘날에는 서른이라는 나이값과 쉰이라는 나이값을 누가 얼마나 하는가? 예순이나 일흔이라는 나이값을 누가 보여주는가? 여든이나 아흔이라는 나이값을 사랑으로 베풀거나 펴는 어른은 얼마나 남았을까?


ㅍㄹㄴ


“그 아이는 우리와 같은 아이야.” “뭐라고? 말도 안 돼. 허튼소리 마.” “너는 뭘 알고 있지?” “믿지 않아도 돼. 네가 믿든 안 믿든 언젠가는 네 스스로.” (31쪽)


“어쩌면 그 이방인이 찾아올지도 몰라. 혼을 빼앗을 마지막 기회야.” “정말 괜찮아? 다신 만날 수 없는데.” (68쪽)


“너를 만나서 다행이야. 나는 그 숲속에서 언젠가 찾아올 죽음만 기다리고 있었지. 그래서 좋았냐고 물으면 또 얘기가 다르지만.” (162쪽)


+


그걸 굳이 지금 알려줄 필요가 어디 있지?

→ 굳이 오늘 알려줘야 해?

→ 그 얘길 굳이 여기서 해야 해?

39쪽


선생님한테로

→ 샘님한테

109쪽


서로가 결여되고

→ 서로 빈틈이고

→ 서로 비고

→ 서로 빠졌고

168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설의 초콜릿
미야니시 타츠야 지음, 고향옥 옮김 / 달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3.10.

그림책시렁 1536


《전설의 초콜릿》

 미야니시 타츠야

 고향옥 옮김

 달리

 2024.1.26.



  오늘날 우리나라를 보면 ‘쇠몰기(자동차 운전)’는 “멍하니 그대로 따라하기(명령복종)”에 물드는 길 같구나 싶습니다. 시골에서든 서울에서든 길거리를 사람 아닌 쇳덩이가 이쪽저쪽에서 끝없이 물결칩니다. 길거리를 함께 걷는 아이들하고 느긋이 말을 나눌 틈이 없다시피 합니다. 어느 쪽에서 쇳덩이가 갑자기 밀어닥치지 않는가 하고 살펴야 하고, 그나마 거님길조차 ‘자리차지(무단주정차)’를 하면서 막기 일쑤입니다. ‘쇠몰기(자동차 운전)’는 ‘현대문화·문명’으로 대수롭잖게 지나치기 쉽지만, 여러모로 보면 ‘국가 명령 복종’으로 나아가는 숨은돌이라고 느낍니다. 걸어다녀야 겨울빛과 봄빛을 느끼고 새소리와 개구리소리를 듣습니다. 지난 1월부터 띄엄띄엄 멧개구리가 깨어나는데, 이를 알아챈 분은 몇이나 될까요. 《전설의 초콜릿》을 즐겁게 읽었습니다. “でんせつのチョコレト”를 그냥 “전설의 초콜릿”으로 옮겼는데 “옛날 옛적 초콜릿”이나 “숨은 초콜릿”쯤으로 슬쩍 말을 돌릴 만하다고 봅니다. 두 고양이가 ‘꿈씨’가 무엇일까 하고 설레면서 새길을 찾아나서면서 모든 일은 바탕이 ‘사랑’인 줄 알아보는 줄거리이거든요. 달콤이 한 조각이든 밥 한 그릇이든, 옛날 옛적부터 사랑을 담아서 나누기에 넉넉합니다.


#みやにしたつや #でんせつのチョコレト


ㅍㄹㄴ


《전설의 초콜릿》(미야니시 타츠야/고향옥 옮김, 달리, 2024)


싸우다가 상처를 입고 말았군

→ 싸우다가 다치고 말았군

1쪽


배가 고파진 나는 쓰린 상처를 살짝 핥고는

→ 배가 고픈 나는 쓰린 곳을 살짝 핥고는

1쪽


너무나도 반가운 나머지

→ 몹시 반가운 나머지

5쪽


멋진 것이 들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사랑

→ 빛 한 줄기가 들었습니다. 바로 사랑

26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19.


《왜요?》

 린제이 캠프 글·토니 로스 그림/바리 옮김, 베틀북, 2002.10.15.



숨돌리려고 저잣마실에 나선다. 노래 한 자락을 새로 쓰고, 마음글을 여민다. 등짐을 메고서 걸을 적에는 책을 읽는다. 시골 읍내가 조용히 바뀌기를 바라면서 걷고 읽는다. 다만, 나는 머리띠를 묶지 않고, 팔뚝질을 안 한다. 나부터 조용히 ‘읽고 쓰며 걷기’를 하는 매무새로 천천히 바꾸려고 한다. ‘읽고 쓰며 걷기’를 하는 어른(아저씨)을 문득 보는 시골 어린이·푸름이 가운데 한 사람쯤 마음을 새롭게 가꿀 만하지 않겠는가. 시골 읍내에 나무를 돌보는 살림빛을 여밀 일꾼이 나타나기를 빈다. 우리 보금숲에서 나무를 품으며 즐거운 하루를 꾸준히 말을 하고 글로 펴면서 바꾸려고 한다. 마을에서 부릉부릉 안 몰고서 걷는 젊은이나 어르신이 생길 테지. 《왜요?》를 오랜만에 되읽다가 찡하다. 한참 잊고 지냈구나 싶다. 아이들은 늘 “왜요?” 하고 서슴없이 묻는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응? 왜?” 하고 되묻겠지. 아이는 “왜냐하면!” 하고 조잘조잘 참새처럼 수다를 떨 테고,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 아하! 그렇구나!” 하고 아이한테서 배울 테지. 아이들은 물어보면서 아름답게 큰다. 어른들은 듣고 배우고 익혀서 사랑으로 녹이기에 즐겁게 자란다. 아이어른은 언제나 둘 사이에 “왜요?”를 놓아야 반짝반짝 별빛으로 떠오른다.


#Why? #LindsayCamp #TonyRoss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18.


《오늘의 교육 81》

 채효정·김기언 엮음, 교육공동체벗, 2024.7.1.



아침나절 해바라기를 하려고 앵두나무 곁에 서서 겨울눈이 조금씩 부푸는 결을 지켜본다. 동박새 둘이 시든풀섶에서 뽈짝 소리를 내며 나온다. 동박새 둘은 내 발치께에서 가볍게 날갯짓을 하며 논다. 나는 나무처럼 가만히 서서 두 아이가 노는 모습을 지켜본다. 늦은낮에 기름 300ℓ를 넣는다. ‘1ℓ = 1290원’이다. 올겨울에는 기름값으로 100만 원이 훌쩍 나간다. 펴냄터에서 《말밑 꾸러미》 마지막 손봄글(교정지)을 보내주었다. 오늘 하루는 이 손봄글을 마지막으로 되살핀다. 끝에서 끝, 그야말로 끝이다. 《오늘의 교육 81》을 읽어 보았다. 첫걸음을 낼 적부터 눈여겨보는데, 여든한걸음에 이르도록 ‘목소리’만 너무 높다. ‘가르친다’는 마음을 내려놓고서 “함께 배운다”로 나아가기가 오히려 어려울까. ‘밉질(혐오)’을 없애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는 분을 보면, 으레 “밉질을 하는 저놈이 미워!” 하고 외친다. 밉질이 왜 안 사라질까? “밉질을 한다고 여기는 그놈을 똑같이 미워하는 굴레”이니까 오히려 더 퍼진다. 지난날 ‘사랑매’란 이름으로 매질을 해대던 이 나라 배움터를 돌아봐야 한다. 사랑이 아니면서 ‘사랑매’란 이름을 붙였다. 우리는 목소리나 허울만으로는 못 가르치고 못 배운다. 수수하게 살림을 지으면 된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17.


《즐거운 육아를 추구합니다》

 배소현 글, 오늘의기록, 2024.5.8.



새벽 첫 순천버스를 타려다가 08:35 순천버스를 타자고 생각한다. ‘교대’에서 타고 ‘서면’에서 갈아타는데, 길알림판을 잘못 본 탓에 거꾸로 한참 달렸다. 책을 읽느라 뒤늦게 알아챘다. 그래도 순천버스를 안 놓쳤다. 순천에서 다시 고흥버스로 갈아타는데 한낮볕이 후끈하다. 집으로 돌아와서 지난 이틀 이야기를 가볍게 풀어놓고서 곯아떨어진다. 햇살소리와 새소리와 아이들 수다소리를 들으며 꿈나라를 누빈다. 《즐거운 육아를 추구합니다》를 곰곰이 읽었다. “즐거운 육아를 추구합니다”처럼 말할 적에는, ‘아이돌봄’이 워낙 안 즐겁다고 여기는 나라를 밝히는 셈이다.  나는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이라는 책을 냈다. 나는 ‘바라기(추구)’가 아닌 ‘짓기’를 했을 뿐이다. 그러나 나도 똑같이 ‘시골살이’는 썩 안 즐거울 수 있다고 드러낸 셈이다. 참말로 시골에서는 서울보다 더 시끄러운 소리가 곳곳에 있고, 바로 목숨을 앗아가는 죽임물(농약)이 끝없이 춤춘다. 아이곁에서 지내는 삶은 어떨까? 나라면 “즐겁게 돌보려 합니다”나 “즐겁게 아이를 맡습니다”나 “즐겁게 아이랑 놉니다”처럼 책이름을 붙였으리라 본다만, 이제는 ‘즐겁게’조차 덜고서 “돌봅니다”랑 “맡습니다”랑 “놉니다”만 말하려고 한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ssc=tab.nx.all&query=%EC%A6%90%EA%B1%B0%EC%9A%B4+%EC%9C%A1%EC%95%84%EB%A5%BC+%EC%B6%94%EA%B5%AC%ED%95%A9%EB%8B%88%EB%8B%A4&oquery=%EB%83%89%EB%A9%B4&tqi=i8HskwqptbNssbPildGssssss4C-383841


이 책은 알라딘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