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3.23.


《일본어와 한국어로 만나는 어린왕자》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글/오다윤 옮김, 세나북스, 2025.1.20.



마당 한켠에 제비꽃이 피었다. 바람에 떨어지는 매꽃을 주워서 볕을 먹인다. 곧 모과꽃이 벌어지면 알맞게 솎아서 볕을 먹이려 한다. 바큇살이 여럿 끊어진 두바퀴(자전거)를 넉 달 즈음 그대로 두었더니 먼지가 잔뜩 끼었다. 하나하나 닦고서 기름을 바르고 다시 닦고 또 기름을 바른다. 들길을 달린다. 끊긴 바큇살이어도 이럭저럭 부드러이 구른다. 곧 서울로 데려가서 손질하자고 생각한다. 《일본어와 한국어로 만나는 어린왕자》를 자리맡에 놓고서 이따금 볕바라기를 하면서 조금조금 읽는다. 끝까지 다 읽자면 얼마나 걸리려나? 그러나 따지지 말자. 느긋느긋 봄볕과 나란히 읽으면 될 뿐이다. 여태 《어린왕자》를 프랑스말이나 영어로 읽으면 어떤 글맛일까 하고 여기기만 했는데, 일본글로 읽으니 또 새삼스럽다. 이웃말을 꼭 아주 잘해야 하지는 않는다. 띄엄띄엄 혀에 소리를 얹어 보면서, 모르는 낱말을 천천히 살펴보면서 한 바닥을 하루나 이틀에 걸쳐서 읽어도 즐겁다. 책읽기란, 삶읽기이다. 빨리읽기도 느릿읽기도 아니다. 책읽기란, 숲읽기이다. 책을 손에 쥐면서 우리 둘레 작은풀과 작은나무를 돌아본다. 해가 지고 별이 돋는다. 차근차근 짐을 꾸린다. 작은아이한테 ‘역사’ 말고 ‘살림자취’를 읽어 보자고 속삭인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3.24.


《활활발발》

 어딘 글, 위고, 2021.12.31.



옆마을로 달려간다. 아이들 배웅을 듬뿍 담고서 읍내에 닿아서 서울 가는 시외버스를 탄다. 서울에서 내려 네 사람 여름옷을 살피려 하다가 그만두고서 덕성여대 앞에 있는 〈신고서점〉으로 찾아간다. 큰지기님은 몸이 몹시 힘드신 듯하다. 책집지기님이 사랑하는 책을 오래오래 읽으시려면 튼튼몸이셔야 할 텐데. 햇볕을 넉넉히 쬐시면서 이 하루를 돌보시기를 비는 마음이다. 잔뜩 장만한 책을 앞뒤로 안고 지면서 일찌감치 길손집으로 간다. 씻고 쉬며 등허리를 편다. 슬슬 일어나서 7016 버스를 탄다. 새터로 옮긴 〈글벗서점〉으로 찾아간다. 22시에 닫으시기에 닫을 즈음까지 책을 읽고서 이야기를 한다. 《활활발발》을 돌아본다. ‘활발’이라는 한자말은 안 나쁘지만, ‘活潑’처럼 적으면 몇몇만 겨우 알아보겠지. 한글로 적는들 널리 알아볼 만하지 않다. ‘즐즐겁겁’이나 ‘신신바람’이나 ‘움직움직’이나 ‘방긋방긋’처럼, 그저 쉬우면서 투박한 우리말로 이름을 붙인다면, 낱말 하나를 살짝 바꾼 손길이 어느새 빛나면서 새길을 걷는 줄 알아챌 만하다고 본다. 글은 대단하지 않다. 글로 옮기는 말이 사랑스럽다. 말로 담아내는 마음이 빛난다. 마음으로 그리는 삶이 이야기밭이다. “그냥 우리말”을 쓰면 ‘담’은 저절로 사라진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3.25.


《오늘 아내에게 우울증이라고 말했다》

 김정원 글, 시공사, 2019.2.20.



어젯밤은 한숨도 잠들지 못 한다. 길손집에 일찌감치 깃들었는데, 누워도 누운 듯하지 않고, 쉬려 해도 쉬는 듯하지 못 하다. ‘왜 이러지?’ 혼잣말을 하는데, 가만 보니 어제 그야말로 느긋하고 널널하게 움직였다. 바깥일을 보면서 차분하고 참하게 걸어다닌 터라, 외려 잠들지 못 할 수 있네. 아침에 〈라이브러리 두란노〉로 가서 10시부터 이야기꽃을 편다. 믿음길(신앙)을 품는 이웃님이 저마다 어떤 비나리꽃(기도)으로 스스로 사랑할 만한가 하는 대목을 ‘서다’라는 아주 쉽고 흔한 낱말 하나로 풀어서 들려준다. 멈춰서는 섣달이기에, 일어서는 설날로 건너간다. 영 마음에 안 드는 굴레에서 스스로 멈춰서기에, 이제부터 꿈씨앗을 심고서 일어설 수 있다. ‘일다 + 서다’인 ‘일어서다’요, “물결이 일”듯 스스로 일으키는 몸짓이기에 ‘일’이다. 우리는 ‘노동’도 ‘근로’도 아닌 ‘일’을 스스로 하면 된다. 《오늘 아내에게 우울증이라고 말했다》를 읽었다. 돌봄터(병원)에서 말하는 ‘우울증’이라는 이름을 받아들이지 않아도 된다. 처지거나 슬프면, “내가 이럴 때 이렇게 처지고 슬프구나” 하고 느끼고서 넘어가면 된다. 물결이 일고 바람이 일듯, 스스로 꿈씨앗을 심는 아침을 열며 살아내기에 바람빛을 먹는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3.25. 악플이란 없다



  우리는 으레 ‘악플’이란 이름을 붙이지만, 정작 ‘악플’은 없다. “배우려 하지 않기에 귀를 닫고 눈을 감고 등을 돌리고 마음을 막은 사람들이 보여주는 미움불씨”를 볼 뿐이다.


  적잖은 사람들은 ‘악플’이라는 이름인 ‘미움불씨’를 심는다. 배우려 하지 않기 때문에 쓴소리를 하나도 안 들을 뿐 아니라, 싫은소리가 오히려 피와 살이 되는 이바지말인 줄 몰라보니까.


  우리가 어떤 소리가 ‘싫다’고 느낄 적에는, 우리 스스로 마음을 사랑으로 다스리지 못 하거나 않는다는 뜻이다. 싫은 소리란 없고, 좋은 소리도 없다. 다시 말해서, 누가 나나 너를 추킨다(칭찬)고 해서 즐거울 일이란 없다. 스스로 꿈으로 그린 길을 걸어갈 적에 즐겁다. 남이 나나 너를 추키더라도 하나도 안 즐겁다. 그래서 남이 나나 너를 깎아내리거나 할퀴거나 갉더라도 아랑곳할 까닭이 없다. 그저 그분들은 스스로 안 배우려고 하는 나머지, “그분들뿐 아니라 우리까지 안 배우면서 같이 구렁텅이에 박혀서 쌈박질을 벌이기”를 바란다. 그래서 ‘악플’이라는 이름인 미움불씨를 훅훅 날리고 심고 뿌린다.


  가만히 보자. 그야말로 어디에도 ‘악플’은 없다. 이 글자락(악플)을 읽거나 스치는 사람이 확 타오르면서 이글이글 ‘다른 미움불길’을 일으키려는 장작이 있을 뿐이다. 때린이(가해자)는 맞은이(피해자)가 때린이하고 똑같이 주먹을 휘두르기를 바란다. 그래서 둘레 여러 사람들이 “아니, 누가 때린놈이고 누가 맞은놈이야? 둘 다 진흙수렁 싸움판이잖아?” 하고 느끼기를 바란다.


  미움불씨일 뿐인 악플을 심으려는 누가 있다면, 즐겁게 지나가면 된다. 우리는 우리 하루를 꿈으로 그려서 생각씨앗을 심을 뿐이다. 예부터 미운아이한테 떡 하나 더 준다고 했듯이, 미움불씨를 심는 이들한테 빙그레 웃음을 짓고서 지나가면 된다. 우리가 그분들한테 할 만한 말이란 오직 하나이니, “즐겁게 배우셔요. 언제나 즐겁게 하루를 그리셔요.”이다.


  수저를 안 쥐려고 하는 사람한테 억지로 수저를 쥐여 준들, 이분들은 밥을 맛나게 못 즐긴다. 스스로 수저를 쥐고서 느긋이 먹으려고 해야 비로소 맛을 느끼고 밥차림에 깃든 손길을 느끼면서, 밥살림이란 늘 사랑이라는 대목을 어렴풋이 헤아린다. 그러니 미움불씨가 둘레에서 이래저래 퍼지면 가만히 마음을 다독이면서 우리 꿈그림을 다시 생각할 노릇이다. 이다음에 새삼스레 방긋방긋 웃으면서 노래하고 춤을 추면 된다.


  일본말씨로 “무지의 소치”란, 우리말씨로 “어리석은 짓”이다. 또는 “얼뜬 짓”이나 “모르는 짓”이다. 배우려 하지 않으니 모를 수밖에 없고, 모르니 어리석고, 어리석으니 얼뜬다. 얼뜬 짓을 하는 사람더러 “넌 왜 얼뜬 짓을 하니?” 하고 물은들 또다시 미움불씨를 마구마구 뱉을 뿐이다.


  우리는 ‘사람’이라서 악플에 불끈하거나 발끈하기 쉽다고 말씀하는 분이 제법 있다만, 우리는 ‘사람’이기에 어떤 악플이나 미움불씨도 ‘사랑’으로 풀고 녹이고 달래면서, 우리 스스로 그저 스스럼없이 꿈길을 걸어갈 만하다. 굳이 안 달려도 된다. 거닐면 된다. 바람을 읽고 하늘을 마시고 들꽃과 동무하면서 찬찬히 걷는 동안 모든 수수께끼를 풀 수 있고, 언제나 활활 날개를 펴면서 홀가분히 노래할 수 있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이다음으로 2025.3.14.쇠.



꽃으로 피지 않고서 맺는 열매란 없어. 씨앗을 품지 않는 열매도 없어. 꽃과 잎이 살찌우고, 가지와 줄기가 북돋우고, 뿌리가 받치면서 곱게 영그는 열매야. 꽃은 스스럼없이 피어나고서 기꺼이 져. 씨앗은 열매 한켠에 알맞게 자리를 잡지. 이다음으로 땅에 드리워서 자라려면, 땅한테도 고맙다고 여쭈려고 달며 푸진 물빛(속살)을 품는 씨앗이야. 땅은 나무와 풀을 반기면서 언제나 까무잡잡 구수하게 살림터를 이뤄. 나무와 풀은 즐겁게 땅에 깃들면서 푸릇푸릇 싱그럽게 살림빛을 맺어. 사람은 속으로 무슨 씨를 품을까? 사람은 이다음으로 무엇을 할 셈일까? ‘씨앗’이란, 아기를 낳는 몸빛만 가리키지 않아. 씨앗이란, 손으로 일구는 솜씨에, 마음으로 담는 마음씨가 늘 어울린단다. 오늘을 살면서 이다음으로 내딛을 길을 헤아리렴. 오늘을 마무리하는 밤에 스스로 “고마워.” 하고 속삭이며 눈을 감으렴. 오늘을 여는 새벽에 스스로 “반가워.” 하고 속살이며 눈을 뜨렴. 이다음으로 할 일이 잔뜩 있지? 아무리 많구나 싶은 일이어도 한꺼번에 못 해치워. 다 하나하나 하지. 아무리 실컷 먹더라도 하나하나 집어서 따로따로 먹는단다. 그러니까 오늘 하루 할 만큼 즐겁게 하고서 닫으렴. 폭 닫고서 푹 쉬고, 활짝 열고서 환하게 하렴. 미처 매듭을 못 지었으니 이제부터 매듭을 지어. 아직 덜익었으니 이제부터 찬찬히 익어. 오늘은 어제와 모레를 이으면서, 이다음을 기쁘게 맞이하려는 길목이야. 길목 한복판에서 온곳을 둘러봐.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