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잘 지내시지요?

 지난주에 ㅈ일보 사람들 연락을 받고, 그쪽에서 취재를 온다며 법석을 떨고 찾아와서 보여준 여러 모습을 보며 곰곰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책이든 도서관이든 있는 그대로 볼 준비가 안 된 사람들한테는 백 마디 말이 아무런 쓸모가 없다고 느낍니다. 우리는 우리 빠르기대로 살아야 하며, 다른 사람들 빠르기대로 살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좇아가려고 하면 가랑이도 찢어지겠지만, 우리 삶터가 죄다 무너질 테니까요. 우리를 만나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우리 빠르기에 맞춰야겠지요. 우리는 자전거를 타거나 두 다리로 걷고 있는데, 골목길에서조차 씽씽 내달리는 자동차를 몰고 와서 사진을 찍어대거나 속사포처럼 물어대는 사람들하고는 아무런 이야기를 나눌 수 없습니다. 그들이 우리처럼 자전거를 타거나 두 다리로 걸을 생각이 없다면.

 책을 읽기 앞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사진을 찍기 앞서 자기가 찍으려는 대상이나 사람하고 한식구가 되어야 한다고, 헌책방 나들이를 하기 앞서 책이 무엇인지 돌아볼 수 있어야 한다고, 숱하게 글을 써 본들 무슨 쓸모가 있을까요. 굶주린 승냥이처럼 먹이감(취재거리)만 찾아헤매는 사람들한테 우리 마음이 다치게 하는 일은, 우리 스스로 멀리해야지 싶어요.

 꼭 그런 뜻에서만은 아니지만, 손전화를 한동안 끊어 두기로 했습니다. 한동안 끊어 둘 수 있는 날짜는 아흔 날, 석 달이라고 합니다. 석 달 동안 끊은 뒤 다시 아흔 날을 더 끊을 수 있다고 하네요. 그동안에는 달마다 삼천 얼마가 전화값으로 빠져나간다고 합니다. 요사이는 손전화에 들어가는 이 만원 조금 넘는 돈도 버겁다고 느껴서 아예 손전화를 없앨까 싶기도 합니다. 집전화가 있고 편지가 있으니까요. 제 연락처를 묻는 분이 있으면, 두 가지 연락처만 알려주시면 좋겠어요.

 ㄱ.사는 곳 :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 4-1번지 3층 (우 401-802)
 ㄴ.인터넷편지 : hbooklove@empal.com

 그물코 사장님이 저한테 보내는 인터넷편지 주소는 몇몇 사람한테만 알려준 편지주소입니다. 그 주소는 다른 이한테 알려주지 마셔요. 엠파스 편지 하나만 알려주시면 돼요. 언론매체에서 연락이 온다면 (사는 곳)만 알려줘서 그 사람들이 손으로든 타자로든 편지를 써서 부치게 하면 더 좋겠어요.

 그물코 사장님은 홍성에서 지내니까 그물코 사장님을 만나보려면 마땅히 홍성으로 찾아가야 하고, 저는 인천에 사니까 저를 만나보려면 마땅히 인천으로 찾아와야 합니다. 사람과 사람으로서 만나볼 생각이라면 홍성이든 인천이든, 찾아가는 일은 쉽습니다. 대중교통 찻삯이거나 조금 더 얹으면 넉넉하니까요.

 아무쪼록 새로운 책 펴내는 일에 힘내시면 좋겠고, 몸 간수도 늘 튼튼히 잘하시면 좋겠습니다~ (4340.8.13.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홉 번째 사진 전시회를 준비하며

 : 사진잔치 - 헌책방 이야기 9



 한 사람 손을 거친 책이 모여 새 사람 손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열어 놓은 자리가 헌책방입니다.

 저마다 자기가 좋아하는 책을 새책방에서 사기도 하고, 비매품 회원자료로 엮어서 나누기도 합니다. 어떤 책은 꼼꼼히 다 읽고, 어떤 책은 미처 못 읽습니다. 오래오래 간직하고픈 책이 있는 한편, 이제는 짐더미가 되어 버린 책이 있습니다. 읽으며 밑줄을 긋기도 하고, 빈자리에 자기 생각을 적기도 합니다. 때때로 사진을 꽂아 놓다가 잊고, 돈이나 도서상품권이나 꽃잎을 끼워 놓기도 합니다. 책갈피 삼아 광고전단지를 쓰기도 하는데, 세월이 흐른 뒤 펼쳐보다가 ‘아, 예전에는!’ 되새기기도 합니다.

 주머니 가벼운 학생들이 새책 못 사 아쉬운 마음을 달래기도 합니다. 주머니가 넉넉하지만 살림돈 아끼자고 찾아오기도 합니다. 도서관에도 없고 판끊어진 책을 찾아서 다리품을 팔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찾아서 쥐어들 수 있는 헌책은, 누군가 제 주머니 털어서 산 책이기에, 자기한테 보물이 되는 그 책을 선선히 내놓아 주어야 우리들이 만납니다.

 책을 사들여 책꽂이를 꾸밀 수 있습니다. 줄거리를 곰삭여 마음에 채울 수 있습니다. 온몸으로 받아들이고 옮겨내어 세상에 펼칠 수 있습니다. 어떤 이한테는 값싼 잡지를, 어떤 이한테는 교재와 참고서를, 어떤 이한테는 판끊어진 보기드문 책을, 어떤 이한테는 새책으로는 비쌌으나 헌책으로는 싼 책을, 어떤 이한테는 마음을 살찌우는 작은 책을, 어떤 이한테는 지식을 넘어선 슬기를 일깨우는 조촐한 책을, 어떤 이한테는 처세에 쓸 수 있는 책을 만나는 헌책방입니다.

 헌책은 값이 싸기도 하고, 값이 비싸기도 합니다. 헌책은 2007년 7월 15일에 펴낸 책이기도 하고, 200년 앞서 나온 책이기도 합니다. 모든 책은 헌책이자 새책입니다. 모두 같은 책입니다. 모든 책방은 헌책방이자, 새책방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낮부터 전화기를 꺼 놓고 있다. 손전화 말이다. 오늘까지도 켜지 않고 있다. 굳이 손전화로 받아야 할 연락이 있을까 싶고, 내 소식이 궁금하면 집전화를 하든 인터넷편지를 하겠지. 이참에 아예 손전화를 없앨까 싶은 생각도 든다. 손전화를 없애면 내가 번거로울까, 내 둘레에 있는 사람이 번거로울까. 번거롭다면 무엇이 번거로울까. (4340.8.12.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8-13 09:32   좋아요 0 | URL
주변 사람이 괴롭겠죠 :)
연락이란 건 아무래도 급한 용무가 있을 때 하지 않나요?
기동성 면에서 필요한게 손전화니까요.
저도 전화를 어지간히 안하는 사람이라서 ^^ 없애고픈 심정도 동감은 합니다만...

참, 도서관에서 책 조금 읽어보았습니다. 헌책방과 함께한- 책 맞죠? ^^
의미있는 일 하신다 생각하고 있어요.
댓글은 매번 못달지만 자주 들여다 본답니다. :)

숲노래 2007-08-14 09:54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주변사람을 괴롭히는 일이 될 것도 같은데...
아마, 저한테 문자를 보내는 분들은
이 녀석이 씹네... 하고 생각할 듯해서 ^^;;;;
 


 어제 낮, 헌책방 나들이를 하려고 서울로 전철을 타고 가는 길에 《하종강-길에서 만난 사람들》(후마니타스,2007)을 읽습니다. 73쪽, 다큐멘타리 영화를 찍는 태준식 감독 이야기를 읽다가 한동안 책을 덮습니다.


.. 그렇다. 사람은 ‘사상’이 아니라 ‘삶’으로 평가받는 것이다 ..


 볼펜으로 꾹꾹 눌러 가면서, 책에 몇 글자 적습니다.

 사람은 그이가 써낸 책이 아니라, 그이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며 살았느냐로 평가를 받는다. 《무소유》라는 책이 아니라, 이 책을 쓴 분이 어떤 모습으로 어디에서 누구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로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지금 이 나라에서는 삶이 아닌 책으로 사람을 따진다.

 사람은 그이가 번 돈이 아니라, 그이가 어디에서 어떻게 돈을 쓰며 살았느냐로 평가를 받는다. 재산이 얼마요 땅이 얼마가 아니라, 그만한 돈을 번 사람이 무슨 일을 어떻게 했고, 이렇게 번 돈을 어디에서 누구하고 어떠한 일을 하는 데에 썼는가로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지금 이 나라에서는 그이가 무슨 짓을 했고 말고는 헤아리지 않고 돈크기가 얼마이냐만으로 사람을 잰다.

 사람은 그이가 알고 지내는 사람들(동무나 이웃이나 피붙이)이 아니라, 그이가 어디에서 누구와 어울리며 함께 일하고 노느냐로 평가를 받는다. 이름난 사람, 힘있는 사람, 돈있는 사람과 가까이 지낸다고 해서 이름이 나거나 힘이 있거나 돈이 있지 않다. 훌륭한 사람을 많이 알고 지낸다고 해서, 훌륭한 사람들 책을 많이 읽어서 알고 있다고 해서 그이도 훌륭하겠는가. 하지만, 지금 이 나라에서는 그이가 옆에 어떤 사람을 가까이 두고 있느냐를 놓고만 사람을 살핀다.

 사람은 그이가 얻거나 갖춘 지식이나 학벌이 아니라, 그가 어디에서 누구와 자기 지식을 베풀거나 나누었는가로 평가를 받는다. 아는 것 많아 똑똑하다거나 높은 학교를 마쳤다거나 나라밖으로도 공부를 다녀왔다고 해서, 그이가 세상을 좀더 두루 살펴볼 줄 알거나 깊이 파헤칠 줄 알겠는가. 하지만, 지금 이 나라에서는 퀴즈대회에서 우승하고, 졸업장이나 자격증 숫자가 많으며, 온갖 어려운 학술 낱말로 자기를 감싸는 사람이 대단한 무엇을 보여주고 있기라도 한듯 떠벌리고 부풀린다. (4340.8.10.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무장지대에서의 사색
이시우 사진 / 인간사랑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 책이름 : 비무장지대에서의 사색
 - 글ㆍ사진 : 이시우
 - 펴낸곳 : 인간사랑(1999.1.15.)
 - 책값 : 1만 원



 이 책 하나 17 ― 대한민국은 평화나라가 아니다
 : 《비무장지대에서의 사색》을 보고 나서


 

 사진을 찍는 이시우 님이 국가보안법을 어겼다고 해서 붙잡혔습니다. ‘이시우 님 한 사람만이 국가보안법을 어겼는가’ 생각해 본다면, 이 땅에서 안 붙잡힐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시우 님만이 붙잡힙니다.

 이시우 님이 붙잡힌 뒤 얼마 지나지 않아, 헌책방 일꾼도 차례차례 ‘국가보안법을 어겼다’는 까닭에 발목잡혀서 붙들립니다. 그나마(?) 이시우 님은 중앙에서 알려진(?) 사진작가이기 때문에 몇몇 언론매체에 소식이 나왔습니다만, 헌책방 일꾼은 전국은커녕 지역에서도 모르기 때문인지 소식을 실어 주는 언론매체가 없습니다. 헌책방 일꾼이 아닌 구멍가게 일꾼이었어도, 동네새책방 일꾼이었어도 마찬가지였으리라 느낍니다. 한편, 이시우 님이나 헌책방 일꾼을 잡아간 ‘국가보안법’을 들이대려 한다면, 누구보다도 노무현, 박근혜, 이회창, 이명박, …… 이런 정치꾼들을 먼저 붙잡아 가두어야 합니다. 이들이야말로 큰힘을 휘두르며 ‘적나라인 북녘에 도움이 되는 몸짓과 말’을 퍼뜨리거든요.


 [53.문산 율곡리]
 : 누가 말했습니다. 싱그런 담쟁이넝쿨이 하루 빨리 자라 철조망을 덮었으면 좋겠다고. 그러나 철조망이 그 안으로 숨어버리면 더 문제입니다. 단절 없는 청산은 낡은 것을 편들기 마련입니다.



 젊은 사내들이라면 누구나 군대로 끌려가는 일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야 하는 이 나라는 평화로운 나라가 아닙니다. 군대에서 두 해를 썩어야 하는 일이 의무가 되어야 한다면, 군인이 되어 나라를 지키는 뜻이 참 평화를 사랑하고 아끼는 일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나라 군대는 사람을 바보로 만드는 한편, 계급에 종이 되도록 짓누르고, 이웃이나 동무조차 적인지 아닌지 의심하도록 마음을 무너뜨립니다. 무엇보다도 모든 목숨붙이를 돌볼 줄 알며 사람 사이에서 서로를 믿고 감싸는 마음을 키워 나가야 할 스물 안팎 풋풋한 나이에 ‘사람 죽이는 훈련’으로 몸과 마음이 모두 길들어야 하는 젊음이 애처롭습니다. 아니, 끔찍합니다. 더욱이, 군대로 끌려가 바보에다가, 개에다가, 종에다가, 쓰레기에다가, 살인기계가 된 사내들이 ‘군 가산점’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에서 쏠쏠히 대접을 받습니다. 예비군이 되어 군인옷을 입고 길거리에서 깽판을 쳐도 붙잡아 가지 않습니다. 해병대 나온 사람들은 ‘나 해병대 몇 기야!’ 하면서 술주정을 부리며 길가는 사람한테 윽박지르기도 하지요. 다른 한편으로는 돈과 힘과 이름이 있는 이들은 ‘구멍난 법 틈’으로 빠져나가 군면제를 받습니다. 어쩌다가 연예인이나 정치꾼 한두 사람은 ‘몰래 군대그물 빠져나간 일’이 들통나지만, 이렇게 들통나서 된서리 맞는 돈꾼ㆍ힘꾼ㆍ이름꾼은 아주 드뭅니다.


 [7.철원]
 : 지뢰표지판은 비바람 맞아 하루하루 뜯겨 가지만, 꽃잎은 하루하루 거듭납니다.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을 하던 이를 짓밟고 들볶으며 죽이기까지 하던 국가보안법입니다. 민주주의를 짓밟으며 독재정권 탑을 쌓으려고 하던 이승만이 되살려내어 언론통제와 사회통제를 하고자 휘둘렀던 국가보안법입니다.

 해방이 되며 다행스레 국가보안법은 사라졌지만, 이승만이 살려냈습니다. 그나마 열 몇 해에 이르는 독재정권을 젊은 피가 무너뜨렸고(1960년), 젊은 피는 어른이라는 사람들한테 권력을 넘겨주었는데, 이때 권력을 얻은 수구 정치꾼들은 국가보안법을 없애지 않고, 자기들 기득권을 지키려고 또다시 휘둘렀습니다.

 그러고 얼마 있지 않아 군부쿠테타가 일어나 박정희가 독재정권을 움켜쥡니다. 이리하여 일제강점기 때에는 독립운동가를 때려잡던 국가보안법이, 이승만과 박정희와 전두환을 거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평화운동가’와 ‘민주운동가’와 ‘사회운동가’와 ‘노동운동가’와 ‘문화운동가’와 ‘교육운동가’들까지 두루 코를 꿰어 붙들어맵니다.

 코에 걸고 싶으면 코에 걸고, 귀에 걸고 싶으면 귀에 거는 국가보안법입니다. 참말로 나라를 말아먹는 사람들한테는, 참말로 평화를 좀먹는 사람들한테는, 참말로 이웃을 괴롭히며 시커먼 잇속을 챙기는 사람들한테는, 참말로 자연 삶터를 무너뜨리며 물과 바람을 더럽히는 사람들한테는 ‘국가보안법 죄목’을 씌우지 않습니다. 이런 우리 나라가 자유와 민주를 사랑하는 나라라 할 수 있을까요. 휴전선 너머 북쪽에 있는 나라가 ‘인민이 민주주의로 살 수 있는’ 곳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휴전선 남쪽에 있는 나라 또한 ‘한겨레가 크게 하나되어 독립되거나 자유롭거나 평화롭거나 민주를 누리며 살 수 있는’ 곳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2.양구 을지전망대]
 : 군인이 잠시 자리를 비운 초소에 햇살이 가득 들었습니다.



 학교에서는 사람들이 이 세상을 살아가며 머리속에 담아 놓고 있을 지식이 무엇인가를 나눌 수 있어야 좋다고 느낍니다. 사회는 학교에서 얻은 지식을 어떻게 몸으로 껴안고 받아들여서 서로서로 어깨동무를 하며 어울리면 좋은가를 보여주고 이끌 수 있어야 좋다고 느낍니다. 군대가 있어야 한다면, 이 군대에서는 군인이 된 사람 마음을 먼저 가다듬고 추슬러야 한다고 믿습니다. 남을 눌러 제 잇속을 챙길 때 쓰는 힘이 아니라, 힘이 여린 사람을 보듬고 지켜 줄 수 있도록 방패가 되어 주는 매무새를 기르면서,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딛고 일어설 수 있는 단단한 마음결을 갈고닦는 곳이 군대가 될 수 있어야 좋다고 느낍니다.

 비무장지대가 있어야 한다면, 지금처럼 남북녘이 백만에 이르는 군인을 촘촘히 박아 놓고 ‘무장지대’를 만드는 거짓말놀이를 벌여서는 안 된다고 믿습니다. 모든 쇠붙이를 거두어들이고 모든 총부리는 땅에 박아 놓으면서, 사람이든 짐승이든 다치지 않고 스스럼없이 드나들 수 있는 자유터, 평화터, 살림터가 될 수 있어야 좋다고 느낍니다. 누군가 쏜 총알에 맞지 않게, 누군가 심은 지뢰를 밟지 않게. (4340.8.8.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