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5.12.

숨은책 1058


《박시백의 그림세상》

 박시백

 해오름

 2002.10.5.



  ‘옳고그름’이란 무엇인지 헤아리지 않는다면, 우리는 늘 올가미에 갇힌 마음으로 하루하루 헤매게 마련입니다. ‘옳다’고 믿기에 ‘올가미’입니다. ‘오른손·왼손’은 남남이 아닌 한몸으로 움직이도록 오롯이 다룰 적에 ‘온빛’이게 마련일 뿐 아니라, ‘오른·왼’은 말밑이 ‘오·옳’에 ‘알·얼’로 같습니다. 그러나 오른이건 왼이건 ‘외짝’만 쓰려고 하니 외눈박이로 기울면서 외곬로 빠지고, 외나무다리에 서는 올가미에 옭아매는 틀에 사로잡힙니다. 《박시백의 그림세상》은 ‘오른(우파)’은 언제나 모두 나쁘고 ‘왼(좌파)’은 늘 모두 좋다는 틀로 줄거리를 짭니다. 그러나 왼오른을 이렇게 나눠도 될까요? 왼오른을 쩍 갈라서 나쁜 저놈은 다 없애거나 죽여야 한다고 여기면 이 나라가 즐겁거나 아름다울까요? 잘못은 누가 저질러도 잘못이고, 잘하는 일은 누가 해도 잘한 일입니다. 왼이라서 낫거나 오른이라서 나쁘지 않아요. 우리가 볼 곳은 왼손이냐 오른손이냐가 아닌, 어떤 마음으로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 마음인 사람이냐 하나입니다. 아마 박시백 씨를 비롯한 붓바치 스스로 못 느끼는 듯싶은데, “말도 안 되는 짓을 일삼는 놈”을 다스리려고, “말도 안 되는 짓을 일삼는 놈”이 꾀하는 주먹다짐이나 윽박질을 그대로 쓰더군요. 왜 그럴까, 왜 굴레를 스스로 쓰면서 옭매일까 하고 돌아보노라니, 숱한 ‘진보 지식인·작가·정치인’은 하나같이 서울에서 살더군요. 이를테면 ‘전남 고흥 국회의원’이더라도, 서울에서 살며 가끔 시골에 얼굴 내밀러 올 뿐입니다. 다른 고장도 매한가지예요. 서울 한복판에 눌러앉아서 돈걱정 없이 붓을 놀리는 분들은 막상 서울 기스락조차 모르고, 작은고장이나 시골은 아예 모를 뿐 아니라, 글감이나 그림감으로는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 줄마저 모릅니다.


“이 녀석이 맞을 짓을 하잖아요.” “맞을 짓이라니?” “보세요. 자식이 꼬박꼬박 대들잖아요. 그냥 콱.” “그럼 네가 이 애 말을 안 들고 대들면 얘도 너를 그렇게 팰 수 있니?” “에이, 그런 말도 안 되는 말씀을, 하하.” “그런 말도 안 되는 짓을 너는 왜 해? 누가 네게 그런 특권을 줬어, 엉? 못써. 그런 클린턴 같은 심보를 가지면.” (12쪽)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둥지 안의 작은 행복 - 삶을 이끄는 누군가 있다는 것 박시백이 그리는 삶과 세상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12.

만화책시렁 744


《둥지 안의 작은 행복》

 박시백

 휴머니스트

 2014.4.7.



  《둥지 안의 작은 행복》은 박시백 씨가 아직 〈한겨레〉에 그림을 싣던 때에 일군 이야기입니다. 처음 이 그림을 실을 무렵에는 ‘작고 수수한 삶’을 그린다고 여겼습니다. 2014년에 낱권으로 나온 뒤에 다시 읽으면서, 또 2025년에 문득 뒤적여서 넘기는 동안, ‘남한테는 작고 수수하게 살라’고 읊되, ‘그들끼리’는 ‘서울 한복판 비싼 잿집과 높자리’를 거머쥔 길을 갔구나 하고 느낍니다. 나라지기가 되겠노라 나서는 이를 보면, 환하게 드러낸 돈이 14억에 25억에 30억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이런 돈을 모을 수 있을까요? 돈을 이만큼 모으면서 이웃하고 나누는 길은 얼마나 걸었을까요? 한 채에 10억이 넘든 5억이 넘는 잿집에서 산다면, 이 엄청난 집값에 손가락을 떨어야 하지 않나요? 작고 수수한 살림집으로 옮겨서 밭을 일구고 나무를 돌보아야 하지 않나요? 돈은 돈대로 거느리면서, 이름은 이름대로 날리고, 힘은 힘대로 부리는 그들로서는 ‘작은기쁨’도 ‘작은살림’도 아닌, 허울좋은 목소리와 입발린 목소리만 욀밖에 없다고 느낍니다. ‘탈레반’은 ‘평화’를 바라지 않을 뿐 아니라, 순이를 엄청나게 깎아내리고 괴롭힙니다. 총을 든 평화란 터무니없는 소리입니다. ‘말랄라 유사프자이’라는 아이가 나타나지 않았어도 이미 ‘총을 든 탈레반’이 어떤 짓을 했는지 제법 알려졌습니다. 박시백 씨는 왜 이런 이야기에는 귀를 닫을까요? 아니, 《이재명의 길》을 그렸으니, 처음부터 ‘둥지살림’하고는 등돌린 이름길을 달렸다고 해야 맞다고 느낍니다.


ㅍㄹㄴ


‘재산은 별로 없지만 큰 부채도 없고 오손도손 모두가 건강한 가족들이 있는 오늘이 좋다.’ (37쪽)


“방송이 온통 미국 쪽 정보뿐이니 제대로 판단하기가 힘들잖아.” “이 책을 읽어 봐. 라덴이나 탈레반 쪽에 대한 정보들이 꽤 많아.” “이 책도 미국 측 시각에서 쓰인 책이네 뭐.” “그렇긴 하지만 정보는 풍부하니까 80년대 신문 보던 방법으로 읽으면 쓸 만해.” (75쪽)


‘자율학습 시간은 말 그대로 자율학습 시간이다. 필요한 정보들이 강물처럼 흐르는!!’ (267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결정장애



 매사에 결정장애를 일으킨다 → 언제나 머뭇거린다 / 늘 엉거주춤이다

 항상 결정장애를 보인다 → 늘 망설인다 / 노상 길을 잃는다

 결정장애라도 있는지 → 헤매기라도 하는지


결정장애 : x

결정(決定) : 1. 행동이나 태도를 분명하게 정함. 또는 그렇게 정해진 내용 2. [법률] 법원이 행하는 판결·명령 이외의 재판

장애(障碍) : 1. 어떤 사물의 진행을 가로막아 거치적거리게 하거나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함. 또는 그런 일 2. 신체 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 3. [정보·통신]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에서 유효 신호의 전송을 방해하는 잡음이나 혼신 따위의 물리적 현상



  어느 길로 선뜻 가지 못 할 적에는 ‘갈팡질팡·망설이다·뭉개다·길잃다·두루뭉술’로 나타냅니다. 이쪽으로도 못 가고 저쪽으로도 안 가기에 ‘머무적·머뭇머뭇·미적거리다·뭉그적·밍기적’입니다. ‘서성이다·서슴다·싱숭생숭·쭈뼛거리다’라고도 하지요. 이때에는 ‘어물어물·우물우물·엉거주춤·주춤주춤’이라고도 합니다. 그저 ‘이랬다저랬다·오락가락·왔다갔다’이면서 ‘헤매다·헷갈리다·흔들리다’이기도 합니다. ㅍㄹㄴ



사이에서 마음이 흔들리는 결정장애다

→ 사이에서 마음이 흔들린다

→ 사이에서 망설인다

→ 사이에서 머뭇거린다

《나는 고딩 아빠다》(정덕재, 창비교육, 2018) 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식이요법



 적당한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다스리고 계신다 → 알맞게 움직이고 밥길을 다스리신다

 식이요법으로 건강을 회복하였다 → 밥돌봄으로 몸을 되찾았다


식이요법(食餌療法) : [보건 일반] 음식물의 품질, 분량 따위를 조절하여서 직접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고 장기(臟器)를 보호하면서 전신의 영양을 완전하게 하는 방법. 당뇨병, 위장병, 콩팥병, 비타민 결핍증, 순환기·호흡기병 따위에 쓴다.≒ 식사요법·식사치료법·영양요법·음식치료법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서 몸이 바뀝니다. 그리고 어떤 마음으로 먹느냐에 따라서 몸이 거듭납니다. 몸에 따라서 ‘군살덜기·살빼기·살덜기’를 합니다. 수수하게 몸이며 마음을 짚기에 ‘다스리다·다스림길’일 테고, ‘몸가꿈·몸가꾸기·몸돌봄·몸돌보기’입니다. ‘몸무게덜기·몸무게 줄이기·몸집덜기·몸집줄이기’를 할 때가 있어요. ‘밥다스림·밥돌봄·밥줄임’을, 그러니까 “밥을 다스리다·밥을 돌보다·밥을 줄이다”라 할 매무새로 나아가기도 합니다. 밥으로 몸을 돌보는 길이니 ‘밥길·밥살림’입니다. ㅍㄹㄴ



분명 병자에게 이로운 식이요법임에 틀림없다

→ 틀림없이 앓는 사람한테 이바지할 밥길이다

→ 아픈 사람을 도울 밥살림이 틀림없다

《百濟 百濟人 百濟文化》(박종숙, 지문사, 1988) 13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해로 海路


 험난한 해로 → 거친 바닷길

 보기 좋은 해로를 만들고 있었다 → 볼 만하게 뱃길을 그린다


  ‘해로(海路)’는 “바다 위의 배가 다니는 길”을 가리킨다지요. ‘길·길눈·길꽃’이나 ‘바닷길·뱃길’로 고쳐씁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해로’에 영어 ‘해로’를 싣는데, 다 털어냅니다. ㅍㄹㄴ



해로(解?) : [한의] 어린아이의 머리 숫구멍이 나이에 비하여 지나치게 열려 있거나, 닫혀야 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닫히지 않는 병

해로(harrow) : 쟁기로 땅을 간 뒤에, 흙덩이를 잘게 쳐서 깨는 서양 농기구

해로(Harrow) : [지명] 영국 런던의 서북쪽에 있는 도시. 주택 지구이며, 1571년에 세워진 퍼블릭 스쿨이 있다. 면적은 51㎢



그들이 이용했을 海路에 대해서는 최소한 세 가지 海路

→ 그들이 탔을 바닷길은 적어도 세 가지

→ 그들이 다녔을 뱃길은 적어도 세 가지

《百濟 百濟人 百濟文化》(박종숙, 지문사, 1988) 34쪽


유럽으로 가는 해로는

→ 하늬로 가는 뱃길은

《실크로드 세계사》(피터 프랭코판/이재황 옮김, 책과함께, 2017) 3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