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5.13.

오늘말. 그냥밥


풀짐승은 늘 날로 먹습니다. 미리 풀을 뜯어 놓고서 싱싱칸 같은 데에 두지 않아요. 사람이 풀을 먹을 적어도 날차림이 가장 즐겁습니다. 그냥밥이랄까요, 풀밥살림이란 마당이며 밭에서 훑는 그대로 누리는 풀살림입니다. 해바람비를 누리면서 자라는 풀은 철마다 새롭게 돋아요. 늦겨울과 첫봄 사이에 돋는 풀이 있고, 한봄에 돋는 풀이 있고, 늦봄에 돋는 풀이 있어요. 첫여름과 한여름과 늦여름에 따라 풀꽃살이가 다르니, 푸른밥이란 언제나 새롭게 싱그러이 빛나는 길이기도 합니다. 늦봄이 무르익으며 토끼풀밭을 이루면 토끼풀꽃을 따서 가락지나 띠를 엮을 수 있습니다. 푸른살림을 이은 모든 겨레는 풀꽃놀이를 하면서 푸른바람을 누렸어요. 가만히 보면 밥뿐 아니라 옷도 풀꽃한테서 얻습니다. 모시도 삼도 솜도 풀숨입니다. 꽃이 피고 지면 하얗게 터지는 솜입니다. 온누리 겨레옷이란 제 삶터에서 나고자라는 풀꽃을 돌보고 건사하면서 지은 살림옷입니다. 우리옷도 이웃옷도 푸른옷입니다. 오래 이은 옷살림이고, 푸른빛을 품은 온옷입니다. 내림살림으로 일군 풀꽃옷이란 수수하면서 아름다운 한옷입니다.


날밥·날로 먹다·날먹기·날차림·날차림밥·싱싱밥·그냥밥·그냥먹다 ← 생식(生食)


숲밥·푸른밥·풀밥·풀을 먹다·풀밥살이·풀밥살림·풀밥차림·푸른살림·풀빛살림·풀살림·풀살이·풀꽃살림·풀꽃살이 ← 자연식(自然食)


갓·띠·쓰개·씌우다·쓰다 ← 관(冠)


솜·솜꽃·솜풀·핫- ← 목화(木花)


겨레옷·나라옷·마을옷·내림옷·물림옷·우리옷·한겨레옷·배달옷·옛옷·오래옷·오랜옷·살림옷·온옷·한옷·텃옷 ← 한복(韓服)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숲빛 하늘빛 (2023.6.17.)

― 서울 〈글벗서점〉



  바쁠수록 더 느슨히 하루를 새기면서 말 한 마디에 마음을 담는다면, 어느새 읽고 쓰고 새기는 새길을 가꾸는 길로 나아갈 만하지 싶어요. 느긋할수록 한결 신나게 오늘을 그리면서 말 두 마디에 마음을 얹는다면, 문득 들려주고 듣는 이야기로 살림을 일구는 길을 걸어갈 만하지 싶습니다.


  어제오늘 이야기꽃을 마친 늦은저녁에 새삼스레 책집마실을 하면서 쉽니다. 책벌레는 서울마실을 할 적에 책집에서 쉽니다. 시골에서는 들숲가락을 귀여겨듣고 눈여겨보면서 쉽니다. 큰고장에서는 책을 읽으면서 걷습니다. 시골에서는 멧새를 헤아리면서 거닙니다. 둘레에서 마주하는 모든 숨빛이 읽을거리입니다.


  작은책집 한 곳이 마을에 있기에, 아이어른이 함께 쉬면서 놀고 배울 수 있지 싶어요. 작은들숲이 마을 곁에 있으니, 어른아이가 모두 일하고 어울리면서 노래할 만하지 싶습니다. 우리는 삶을 노래하고, 살림을 이야기합니다.


  〈글벗서점〉에서 낯설면서 새로운 책을 마주합니다. 눈에 익은 책이 있고, 처음 들추는 책이 있습니다. 이미 읽은 책이 있고, 아직 안 읽은 책이 있습니다. 오늘까지 일군 마음밭을 새롭게 일구는 손길로 북돋울 책을 살핍니다.


  ‘생각’이란, 스스로 마음에 일으키려고 차근차근 심는 ‘씨앗’입니다. 생각은 처음부터 ‘씨앗·빛’인 터라 ‘새로울’ 수밖에 없고, ‘생각인 척’할 적에는 언뜻 ‘새로워 보여’도 조금도 안 새롭게 마련이에요. ‘생각품’을 넓히려면, ‘둘레(사회)에서 떠드는 소리’에 휩쓸리지 않도록 스스로 숨결을 짓고 마음에 씨앗을 심는 ‘말’이 있으면 되어요. 스스로 ‘꿈말’을 심는 데에 기운을 들이면, 구태여 바깥소리(사회의식)를 쳐낼 일조차 없이 어느새 빛나는 길에 한 걸음 떼어놓습니다. 무슨 책이든 ‘나’를 바탕으로 헤아리기에 ‘너’를 만납니다.


  시골에서는 숲빛으로 읽고, 시골이 아닌 곳에서는 하늘빛으로 읽습니다. 우리가 펴거나 짓는 이야기는 언제 어디에서나 숲빛과 하늘빛을 고르게 품으면서 너그럽습니다. 뚜벅뚜벅 걷는 길에 징검다리로 삼는 책입니다. 모든 하루는 빛나는 날입니다. 모든 걸음은 새로운 꽃입니다.


  봄이 저물기에 여름이고, 여름이 저물기에 가을이고, 가을이 저물기에 겨울입니다. 저무는 철이 있어서 새바람이 깨어나요. 지는 꽃이 있어서 씨앗을 새로 맺어요. 읽기에 익히면서 잇습니다. 잇기에 다시 일으켜서 새로 이룹니다. 이루기에 이야기하면서 일구고, 일군 손길이 차근차근 자라서 숲을 이룹니다. 숲은 하늘을 바라보고, 하늘은 숲을 마주합니다. 사람은 숲과 하늘 사이에 있습니다.


ㅍㄹㄴ


《別冊 1億人の昭和史 : 日本植民地史 1 朝鮮》(松井孝也 엮음, 每日新聞社, 1978.7.1.)

《別冊 1億人の昭和史 : 日本植民地史 3 臺灣·南洋群島·樺太》(松井孝也 엮음, 每日新聞社, 1978.10.1.)

- 樺太 : 사할린

《朝鮮人女工のうた, 1930年·岸和田紡續爭議》(金贊汀, 岩波書店, 1982.8.20.)

- 東京都新宿區立戶山圖書館 廢棄. 36964. 1982.9.24.

- リサイクル資料

《とりぱん 1》(とりの なん子, 講談社, 2006.3.23.첫/2012.5.2.16벌)

《とりぱん 2》(とりの なん子, 講談社, 2006.9.22.첫/2013.7.1.14벌)

《とりぱん 3》(とりの なん子, 講談社, 2007.5.23.첫/2013.4.10.10벌)

《とりぱん 4》(とりの なん子, 講談社, 2007.10.23.첫/2011.12.22.7벌)

《とりぱん 5》(とりの なん子, 講談社, 2008.5.23.첫/2011.11.1.5벌)

《とりぱん 6》(とりの なん子, 講談社, 2008.11.21.첫/2011.12.22.4벌)

《とりぱん 7》(とりの なん子, 講談社, 2009.5.22.첫/2012.4.2.3벌)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 교회사》(김세복, 참빛사, 1969.12.20.)

《신들의 봉우리 1》(유메마쿠라 바쿠 글·다니구치 지로 그림/홍구희 옮김, 애니북스, 2009.9.17.첫/2010.5.31.2벌)

《신들의 봉우리 2》(유메마쿠라 바쿠 글·다니구치 지로 그림/홍구희 옮김, 애니북스, 2009.9.17.첫/2010.5.31.2벌)

《여학교의 별 2》(와야마 야마/현승희 옮김, 문학동네, 2022.5.5.)

#女の園の星 #和山やま

《검찰측의 증인》(애거서 크리스티/최운권 옮김, 해문출판사, 1987.4.20.)

- 교보문고 책싸개

《自己를 찾는 人間》(에리히 프롬/박갑성·최현철 옮김, 종로서적, 1981.9.5.첫/1983.9.10.4벟)

《천사의 앨범》(하마다사끼/김갑수 옮김, 홍성사, 1987.9.20.첫/1993.8.20.14벌)

《만화 나도 멋지게 그릴 수 있다》(이정수 엮음, 민중, 2000.5.20.)

- 일본 그림 베낌

《深夜食堂 1》(安倍夜郞, 小學館, 2007.12.31.첫/2009.9.30.14벌)

《深夜食堂 2》(安倍夜郞, 小學館, 2008.8.4.첫/2009.9.30.10벌)

《深夜食堂 3》(安倍夜郞, 小學館, 2009.2.4.첫/2009.9.30.7벌)

《深夜食堂 4》(安倍夜郞, 小學館, 2009.9.2.)

《わくわくウオッチグ圖鑑 5 田や畑, 畑·水田や小川·ぬま》(內田安茂 엮음, 學習硏究社, 1991.4.1.)

《わくわくウオッチグ圖鑑 8 飼育·觀察》(內田安茂 엮음, 學習硏究社, 1991.4.1.첫/1991.6.8.2벌)

《わくわくウオッチグ圖鑑 9 クジラ·イルカ》(內田安茂 엮음, 學習硏究社, 1993.3.10.)

《星の辭典》(柳谷杞一郞 글·林眞 사진, 雷鳥社, 2016.11.29.첫/2017.7.15.3벌)

《空の辭典》(小河俊哉, 雷鳥社, 2014.4.2.)

《國際法》(橫田喜三郞, 岩波書店, 1933.12.5.첫/1938.9.25.6벌)

《朝鮮戰爭, 金日成とマッカ-サ-の陰謀》(萩原遼, 文藝春秋, 1997.6.10.첫/1997.7.25.3벌)

《ナイルに沈む歷史》(橫田喜三郞, 岩波書店, 1970.10.20.)

《부르는 소리》(니노 살봐네스키/서정화 옮김, 성바오로출판사, 1974.7.10.첫/1986.7.22.중판)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5-13 0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밧사점 사진이네요.사진을 보니 이사하기 전 동교동 삼거리에 있던 서점 사진인지 아님 새로 이사한 곳 사진인지 궁금하네요.예전글을 보니 이사하면서 오랜된 책들을 모두 폐기처분 했다고 들어서요.그나저나 장발의 머리묶은 모습은 예전 숨책에서 뵐때랑 똑같으시네요^^

숲노래 2025-05-13 04:08   좋아요 0 | URL
첫머리에 마실 날짜를 적었듯, 새터로 옮기기 앞서인 2023년 6월 모습입니다. 저는 늘 그대로 살아가기에 그리 바뀌는 모습은 없되, 수첩을 담는 가방은 늘 낡고 닳아서, 곧잘 바뀌어요.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5.12.

숨은책 1031


《內外文庫 6 傀集의 對南策略史》

 편집부 엮음

 내외문제연구소

 1962.6.23.



  ‘내외문제연구소’는 어떤 곳이며, 누가 언제 어떻게 세워서, 누가 어떻게 돈을 대면서 꾸린 곳인지 수수께끼입니다. 다만, 이곳은 박정희를 기리는 글과 책을 끝없이 쏟아내었습니다. 북녘은 ‘김일성 우상화’를 했다면, 이곳은 ‘남녘 박정희 우상화’를 앞장서서 편 무리입니다. 《內外文庫 6 傀集의 對南策略史》는 “解放以後 오늘에 이르기까지” 같은 이름을 달고서 1962년에 태어납니다. 주머니에 들어갈 만큼 작고 가벼울 뿐 아니라, 종이가 반들반들합니다. 1962년 언저리에 나온 우리나라 책은 거의 모두 똥종이에 쉽게 삭는데, 내외문제연구소는 비싼 종이에 척척 찍어냈습니다. 저는 1992년 10월에 헌책집에서 이 책을 보았고, 우리 민낯을 잊지 않도록 기꺼이 장만했습니다. 이 책을 읽다가 책갈피로 삼으려고 ‘4800원(5000원) 공중전화카드’도 꽂아두었더군요. 바보짓을 일삼은 책이라 해서 솥받침이나 불쏘시개로 버린다면 다 잊어버려요. 민낯을 읽고 새기면서 참낯을 헤아리는 밑거름으로 삼는 책 하나입니다.


실력과 실력! 민주실력과 공산실력의 대결! 물론 우리의 실력은 정의의 실력이요 북괴의 실력은 불의의 실력이다. 그러나 실력은 글자 그대로 그 실제의 힘이 문제이다. 이 실력, 우리의 민주실력을 압도적으로 키우는 것, 이것이 승공의 길이요, 민주통일의 길이다. 이것이 성취될 때 북괴의 대남정책사는 그 수치스러운 끝 장을 맺게 되는 것이다. (131쪽)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5.12.

숨은책 1058


《박시백의 그림세상》

 박시백

 해오름

 2002.10.5.



  ‘옳고그름’이란 무엇인지 헤아리지 않는다면, 우리는 늘 올가미에 갇힌 마음으로 하루하루 헤매게 마련입니다. ‘옳다’고 믿기에 ‘올가미’입니다. ‘오른손·왼손’은 남남이 아닌 한몸으로 움직이도록 오롯이 다룰 적에 ‘온빛’이게 마련일 뿐 아니라, ‘오른·왼’은 말밑이 ‘오·옳’에 ‘알·얼’로 같습니다. 그러나 오른이건 왼이건 ‘외짝’만 쓰려고 하니 외눈박이로 기울면서 외곬로 빠지고, 외나무다리에 서는 올가미에 옭아매는 틀에 사로잡힙니다. 《박시백의 그림세상》은 ‘오른(우파)’은 언제나 모두 나쁘고 ‘왼(좌파)’은 늘 모두 좋다는 틀로 줄거리를 짭니다. 그러나 왼오른을 이렇게 나눠도 될까요? 왼오른을 쩍 갈라서 나쁜 저놈은 다 없애거나 죽여야 한다고 여기면 이 나라가 즐겁거나 아름다울까요? 잘못은 누가 저질러도 잘못이고, 잘하는 일은 누가 해도 잘한 일입니다. 왼이라서 낫거나 오른이라서 나쁘지 않아요. 우리가 볼 곳은 왼손이냐 오른손이냐가 아닌, 어떤 마음으로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 마음인 사람이냐 하나입니다. 아마 박시백 씨를 비롯한 붓바치 스스로 못 느끼는 듯싶은데, “말도 안 되는 짓을 일삼는 놈”을 다스리려고, “말도 안 되는 짓을 일삼는 놈”이 꾀하는 주먹다짐이나 윽박질을 그대로 쓰더군요. 왜 그럴까, 왜 굴레를 스스로 쓰면서 옭매일까 하고 돌아보노라니, 숱한 ‘진보 지식인·작가·정치인’은 하나같이 서울에서 살더군요. 이를테면 ‘전남 고흥 국회의원’이더라도, 서울에서 살며 가끔 시골에 얼굴 내밀러 올 뿐입니다. 다른 고장도 매한가지예요. 서울 한복판에 눌러앉아서 돈걱정 없이 붓을 놀리는 분들은 막상 서울 기스락조차 모르고, 작은고장이나 시골은 아예 모를 뿐 아니라, 글감이나 그림감으로는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 줄마저 모릅니다.


“이 녀석이 맞을 짓을 하잖아요.” “맞을 짓이라니?” “보세요. 자식이 꼬박꼬박 대들잖아요. 그냥 콱.” “그럼 네가 이 애 말을 안 들고 대들면 얘도 너를 그렇게 팰 수 있니?” “에이, 그런 말도 안 되는 말씀을, 하하.” “그런 말도 안 되는 짓을 너는 왜 해? 누가 네게 그런 특권을 줬어, 엉? 못써. 그런 클린턴 같은 심보를 가지면.” (12쪽)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둥지 안의 작은 행복 - 삶을 이끄는 누군가 있다는 것 박시백이 그리는 삶과 세상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12.

만화책시렁 744


《둥지 안의 작은 행복》

 박시백

 휴머니스트

 2014.4.7.



  《둥지 안의 작은 행복》은 박시백 씨가 아직 〈한겨레〉에 그림을 싣던 때에 일군 이야기입니다. 처음 이 그림을 실을 무렵에는 ‘작고 수수한 삶’을 그린다고 여겼습니다. 2014년에 낱권으로 나온 뒤에 다시 읽으면서, 또 2025년에 문득 뒤적여서 넘기는 동안, ‘남한테는 작고 수수하게 살라’고 읊되, ‘그들끼리’는 ‘서울 한복판 비싼 잿집과 높자리’를 거머쥔 길을 갔구나 하고 느낍니다. 나라지기가 되겠노라 나서는 이를 보면, 환하게 드러낸 돈이 14억에 25억에 30억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이런 돈을 모을 수 있을까요? 돈을 이만큼 모으면서 이웃하고 나누는 길은 얼마나 걸었을까요? 한 채에 10억이 넘든 5억이 넘는 잿집에서 산다면, 이 엄청난 집값에 손가락을 떨어야 하지 않나요? 작고 수수한 살림집으로 옮겨서 밭을 일구고 나무를 돌보아야 하지 않나요? 돈은 돈대로 거느리면서, 이름은 이름대로 날리고, 힘은 힘대로 부리는 그들로서는 ‘작은기쁨’도 ‘작은살림’도 아닌, 허울좋은 목소리와 입발린 목소리만 욀밖에 없다고 느낍니다. ‘탈레반’은 ‘평화’를 바라지 않을 뿐 아니라, 순이를 엄청나게 깎아내리고 괴롭힙니다. 총을 든 평화란 터무니없는 소리입니다. ‘말랄라 유사프자이’라는 아이가 나타나지 않았어도 이미 ‘총을 든 탈레반’이 어떤 짓을 했는지 제법 알려졌습니다. 박시백 씨는 왜 이런 이야기에는 귀를 닫을까요? 아니, 《이재명의 길》을 그렸으니, 처음부터 ‘둥지살림’하고는 등돌린 이름길을 달렸다고 해야 맞다고 느낍니다.


ㅍㄹㄴ


‘재산은 별로 없지만 큰 부채도 없고 오손도손 모두가 건강한 가족들이 있는 오늘이 좋다.’ (37쪽)


“방송이 온통 미국 쪽 정보뿐이니 제대로 판단하기가 힘들잖아.” “이 책을 읽어 봐. 라덴이나 탈레반 쪽에 대한 정보들이 꽤 많아.” “이 책도 미국 측 시각에서 쓰인 책이네 뭐.” “그렇긴 하지만 정보는 풍부하니까 80년대 신문 보던 방법으로 읽으면 쓸 만해.” (75쪽)


‘자율학습 시간은 말 그대로 자율학습 시간이다. 필요한 정보들이 강물처럼 흐르는!!’ (267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