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803 : 호 집



서른 호 정도의 집

→ 서른 집 즈음

→ 서른 채 남짓


호(戶) : 1. 호적상의 가족으로 구성된 집 2. 집을 세는 단위

집 : 사람이나 동물이 추위, 더위, 비바람 따위를 막고 그 속에 들어 살기 위하여 지은 건물 ≒ 사옥 2. 사람이나 동물이 살기 위하여 지은 건물의 수효를 세는 단위 3. 가족을 구성원으로 하여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 4. 칼, 벼루, 총 따위를 끼거나 담아 둘 수 있게 만든 것 5. [체육] 화투나 마작 따위의 놀이에서 어느 한편을 이르는 말 6. [체육] 바둑에서, 자기 돌로 에워싸 상대편 돌이 들어올 수 없게 한, 바둑판의 빈 자리



  살림을 하는 자리를 ‘집’이라 일컫습니다. 살림자리를 셀 적에도 ‘집’이라 합니다. “서른 집이 있다”처럼 써요. ‘집’은 따로 ‘채’로도 셉니다. “집이 서른 채 있다”처럼 씁니다. 우리말 ‘집’하고 ‘채’를 한자로는 ‘가(家)’나 ‘호(戶)’로 세기도 합니다. “서른 호 정도의 집”은 겹말이에요. 그저 우리말로 “서른 집”이나 “서른 채”라 하면 됩니다. ㅍㄹㄴ



100호 남짓한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그 조그만 마을은

→ 100채 남짓 옹기종기 모인 그 조그만 마을은

→ 100집 남짓 옹기종기 모인 그 조그만 마을은

《스물네 개의 눈동자》(쓰보이 사카에/김난주 옮김, 문예출판사, 2004) 7쪽


서른 호 정도의 집들이 서로 다투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 서른 집 즈음이 서로 다투지 않을 만큼 알맞게 떨어져서

→ 서른 채 남짓이 서로 다투지 않을 만큼 슬슬 떨어져서

《낮은 데서 시간이 더 천천히》(황화섭, 몰개, 2023) 5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804 : 끈질기고 집요



끈질기고 집요한 인간들을

→ 끈질긴 사람들을

→ 검질긴 사람을

→ 물고늘어지는 사람을


끈질기다 : 끈기 있게 검질기다

집요(執拗) : 몹시 고집스럽고 끈질기다



  한자말 ‘집요’를 우리말 ‘끈질기다’로 풀이합니다. ‘집요 → 끈질기다’로 고쳐쓰면 된다는 뜻입니다. 말뜻을 헤아린다면 “끈질기고 집요한” 같은 겹말을 안 쓸 테지요. 단출히 ‘끈질긴’만 쓸 테고, 비슷하면서 다른 ‘검질긴’을 쓸 수 있고, ‘물고늘어지는’을 써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나는 끈질기고 집요한 인간들을 볼 때마다 몸서리가 쳐졌다

→ 나는 끈질긴 사람들을 볼 때마다 몸서리를 쳤다

→ 나는 물고늘어지는 사람을 볼 때마다 몸서리를 쳤다

《바다를 말하는 하얀 고래》(루이스 세풀베다/엄지영 옮김, 열린책들, 2025) 10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805 : 봉홧불



봉홧불일

→ 불빛일

→ 알림불일


봉화(烽火) : [역사] 나라에 병란이나 사변이 있을 때 신호로 올리던 불. 전국의 주요 산정(山頂)에 봉화대를 설치하여 낮에는 토끼 똥을 태운 연기로, 밤에는 불로 신호를 하였는데, 상황에 따라 올리는 횟수가 달랐다 ≒ 관화·낭화·봉수

봉홧불(烽火-) : 봉화로 드는 횃불



  알리려고 올리는 불을 한자말로 ‘봉화’라 하니, ‘봉홧불’이라 하면 겹말입니다. 지난날에는 한문을 쓴다면서 ‘烽火’라 했을 텐데, 이제는 ‘알림불’이나 ‘올림불’로 옮길 노릇이고, 수수하게 ‘불’이나 ‘불빛’이라 하면 됩니다. ㅍㄹㄴ



자신의 바람을 주위에 알리기 위한 봉홧불일 수도 있다

→ 바라는 바를 둘레에 알리려는 불빛일 수도 있다

→ 바라는 뜻을 둘레에 펴는 알림불일 수도 있다

《시바타 신의 마지막 수업》(이시바시 다케후미/정영희 옮김, 남해의봄날, 2016) 2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806 : -네 집



유하네 집은

→ 유하네는

→ 유하집은


-네 : 1. ‘같은 처지의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그 사람이 속한 무리’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

집 : 사람이나 동물이 추위, 더위, 비바람 따위를 막고 그 속에 들어 살기 위하여 지은 건물



  “누구네 집”이라 하면 겹말입니다. 미처 못 느끼는 분이 많습니다만, ‘누구네’라고 하면 “누구 집안”이나 “누구가 있는 집”을 가리켜요. ‘누구네 = 누구집’입니다. “유하네 집은”은 “유하네는”이나 “유하집은”으로 고쳐씁니다. 이때에는 ‘-집’을 앞말하고 붙이는 쪽이 어울립니다. ㅍㄹㄴ



유하네 집은 별천지 신나는 놀이터

→ 유하네는 새롭고 신나는 놀이터

→ 유하집은 꽃누리 신나는 놀이터

《우리나라 시골에는 누가 살까》(이꽃맘, 삶창, 2022) 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재미있는 숙제, 신나는 아이들 - 이호철의 교실 혁명 살아있는 교육 47
이호철 지음 / 보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푸른책 / 숲노래 청소년책 2025.5.10.

푸른책시렁 182


《재미있는 숙제 신나는 아이들》

 이호철

 보리

 1994.6.15.



  모든 하루가 살림거리이고, 집살림이건 바깥살림이건 책살림이건 글살림이건, 또는 돈살림이나 밥살림이나 옷살림이건, 모두 우리가 손수 돌아보면서 보듬는 길이라고 느낍니다. 누구는 누구보다 잘 한다고 여길 수 있고, 나는 누구보다 못 한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렇지만 누구나 다르게 태어나서 다르게 살아갈 뿐이라, 서로 다른 결로 모든 살림을 맞아들이지 싶습니다.


  마음을 기울이면 이 일도 제법 하고 저 일도 꽤 해낸다고 느낍니다. 마음을 덜 기울이거나 못 기울인 탓에 이 일도 엉성하고 저 일도 어줍짢지 싶습니다. 그러나 이런 잣대도 남이 재는 틀일 뿐, 우리 스스로 엉성하거나 어수룩하거나 어지럽더라도 웃고 노래하면서 누리면 모두 빛나는 살림이라고 느껴요.


  즐겁게 짓기에 즐겁게 나누고, 즐겁게 읽기에 즐겁게 쓴다고도 봅니다. 차근차근 읽는 손길은 언제나 찬찬히 돌아보는 손빛과 눈빛으로 이어갈 테고요.


  《재미있는 숙제 신나는 아이들》은 1994년에 처음 나옵니다. 아직 배움터마다 ‘짐(숙제)’을 매우 무겁게 씌우는 나라이던 무렵에, ‘짐’이 아니라 ‘배움놀이’로 바꾸어 보자는 뜻을 편 길잡이 한 사람 이야기가 흐릅니다. 날마다 아이들한테 뭘 맡기거나 시켜야 한다면, 억지스런 짐이 아닌 재미난 놀이를 알려줄 노릇이라고 여기는 마음입니다.


  저는 이 책을 1998년에 처음 만났고, 이 작은 꾸러미는 틀림없이 이 나라를 바꾸는 밑거름이 되겠거니 여겼습니다. 책이 처음 나오고서 서른 해가 지나는 동안 ‘매질(체벌)’은 사라지고, 어린빛(아동인권)을 헤아리는 목소리가 자리를 잡습니다. 그런데 거꾸로 ‘아동학대’라는 이름으로 ‘교사학대’가 불거질 뿐 아니라, 짐(숙제)도 ‘배움놀이’도 사라진 자리에 모둠밥(급식)과 ‘캐릭터 교과서’가 판치면서 막상 어린배움터나 푸른배움터에서는 배움놀이뿐 아니라 배움길마저 사라지는 듯합니다.


  배움터란, 아이들을 지켜보고 기다리면서 아이 누구나 스스로 살림길을 열도록 싹을 틔우는 터전이어야 맞습니다. 배움터는 모둠밥터(급식실)가 아닌 부엌을 두고서 아이 누구나 스스로 제 몸과 마음을 살피는 밥을 지어서 먹도록 이끌어야 맞습니다. 그러니까 11시부터 12시 사이에는 아이들이 ‘밥짓는 배움길’을 누려야지요. 모든 아이가 왁자지껄 밥을 지으면 힘들 수 있으니, 달날부터 쇠날까지 갈라서 다섯 모둠이 갈마들면서 ‘밥짓는 배움길’을 누리면 되고, 이동안 다른 네 모둠 아이들은 배움터 곳곳을 손수 쓸고 치우고 닦으면서 돌보는 살림길을 익힐 수 있습니다. 또는 서로 책을 소리내어 읽어 주는 배움짬을 누릴 만합니다.


  2025년에 《재미있는 숙제 신나는 아이들》을 되읽자니, 이제 이 책은 쓰임새를 다한 듯싶습니다. 또는 이 책을 새롭게 되살려서 ‘어린이와 푸름이가 손수 살림배움길을 걷는 하루’로 나아가도록 얼거리를 다시 짜서 엮을 수 있을 테지요. ‘재미있는 숙제’가 아닌 ‘즐거운 살림배움’을 겪고 배울 노릇인 아이어른입니다. 길잡이도 아이곁에서 함께 낮밥을 지으면서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자리를 누릴 때라야 배움터가 배움터답게 일어서리라 봅니다. 순이돌이 누구나 집살림을 맡을 줄 알 때에 이 나라가 거듭납니다. 둘 다 어릴 적부터 집일과 집살림을 익히면서 ‘왜 배우는가?’를 스스로 묻고 찾아나설 노릇입니다. 나라지기도 새로 뽑을 일이되, 나라지기에 앞서 우리 아이들부터 제대로 바라보는 어른과 길잡이로 설 수 있기를 빕니다. 


ㅍㄹㄴ


그 본래의 귀함을 잊고 사는 것이다. 부모님의 사랑 또한 그러하다. 이러한 때 부모님의 팔다리 30분쯤 주물러 드리기를 숙제로 내어 보자. (34쪽)


한 주 전에 숙제로 내어 주워 온 돌을 제자리에 갖다 놓도록 하는 것이다. 까닭을 모르는 아이들은 투덜대기도 할 것이다. (61쪽)


노는 습관이 붙은 아이들에게 집 둘레 청소를 시킨다면 그렇게 반가워하지는 않을 것이다. 어떤 일이든지 하기 싫어하는 습관이 하루이틀에 형성된 것이 아니므로 하루아침에 고칠 수는 없다. (80쪽)


도대체 어떤 사람이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버릴까? 함부로 버리는 것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며, 버리지 말아야겠다는 마음을 단단히 다지도록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도 좋을 듯하다. (108쪽)


우리의 옷에 우리의 말이 얼마만큼 씌어 있나 찾아보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그림이 얼마나 그려져 있는지도 찾아보도록 하면 좋겠다. (152쪽)


그러나 작은 도시 가까이에 있는 논밭이기 때문에 그곳에 버린 휴지나 깡통 같은 쓰레기가 논밭을 뒤덮고 있음을 아이들이 눈으로 보고 남다른 느낌을 가졌을 수도 있다. (226쪽)


+


《재미있는 숙제 신나는 아이들》(이호철, 보리, 1994)


사람이 살아가는 가운데서 삶을 배우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 사람이 살아가는 길을 배워야 한다고 본다

→ 사람으로 살며 배워야 한다고 본다

22


재미있는 숙제거리는 아이들의 생활에서 찾는 것이 좋다

→ 재미있는 배움거리는 아이들 삶에서 찾으면 된다

→ 재미있는 익힘거리는 아이들 삶자리에서 찾는다

26


하기 싫어하는 습관이 하루이틀에 형성된 것이 아니므로

→ 하기 싫어하는 버릇이 하루이틀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 하기 싫어하는 매무새가 하루이틀에 나오지 않으므로

80


함부로 버리는 것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며

→ 함부로 버리는 일을 돌아볼 틈을 두며

→ 함부로 버리는 삶을 곰곰이 짚으며

→ 함부로 버리는 모습을 가만히 살피며

108


우리의 옷에 우리의 말이 얼마만큼 씌어 있나 찾아보도록 하는 것이다

→ 우리 옷에 우리말이 얼마만큼 있나 찾아본다

→ 우리 옷에 적힌 우리말을 찾아본다

152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