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6.13.) 19시에는 부산 <책과 아이들>에서

이튿날(6.14.) 20시에는 부산 <카프카의 밤>에서

여러 이야기꽃을 폅니다.

모레(6.15.)에는 10-15시 사이에 부산 <책과 아이들>에서

이런저런 이야기꽃을 펴고요.

.

.

이오덕 읽는 “이응모임” 14걸음

― 새롭게 있고, 찬찬히 읽고, 참하게 잇고, 느긋이 익히고



때 : 2025.6.14.토. 19시 30분

곳 : 부산 연산동 〈카프카의 밤〉

님 : 숲노래



열넉걸음 : “내 글부터 내가 다 못 고쳐 부끄럽다”


  이오덕 님이 늘그막에 자주 읊은 말씀 한 마디는 “내 글부터 내가 다 못 고쳐 부끄럽다”라고 합니다. 이오덕 님은 오래도록 ‘글쓰기 가르침’을 폈으되, 정작 스스로 어떤 낱말과 말씨를 가려서 써야 하는가 하고 깨달은 때는 1986∼87년이라고 합니다. 예순 살을 훌쩍 넘은 때예요. 이때까지만 해도 ‘몇 가지 일본말씨 부스러기’는 걸러야 하는 줄 느꼈으되, “나(이오덕) 스스로 쓰는 모든 낱말과 말씨를 짚어야 한다”는 데까지는 마음이 미처 못 닿았다고 합니다.


  끝까지 어린이 곁에 서서 어린배움터에서 작은길잡이로 일하려는 마음이었습니다만, 전두환은 이오덕 님을 끝까지 괴롭혀서 ‘교장 최초 불명예퇴직’을 시켰습니다. 그런데 전두환이 이오덕 님을 어린배움터에서 도려내어 아이들 곁에서마저 떨어뜨린 터라, 한신대학교에서 이오덕 님한테 말씀을 여쭈어서 “대학생한테 우리말로 글쓰기를 가르쳐 주십사” 하는 길을 열었습니다. 그리고 이오덕 님은 대학생을 이태 가르치고 이끌면서 “아무리 어린이를 어질게 가르치고 이끌어 본들, 중·고등학교를 다니며 대학입시에 사로잡히면 그만 모두 망가지는구나!” 하고 느껴서 한숨이 절로 나왔다고 합니다.


  다만, 한숨은 몇날만 쉬고 그친 듯합니다. 이내 《우리글 바로쓰기》라는 책을 바지런히 쓰셨거든요. 거꾸로 본다면, 전두환이 이오덕 님을 안 괴롭혔다면, 모질게 괴롭혀서 아예 어린배움터 길잡이라는 자리마저 빼앗지 않았다면, 이오덕 님으로서는 ‘대학 강의’를 할 일이 없었을 만합니다. ‘하루배움’을 하는 자리는 으레 다녔으나, 똑같은 젊은이를 넉 달씩 맡아서 꾸준히 이끄는 일은 이때까지 없었거든요.


  《우리글 바로쓰기》라는 책을 여미는 이오덕 님은 늘 “내 글이 가장 엉망이고 엉터리이다” 하고 느꼈다고 합니다. 젊은이를 나무라기 앞서 이미 이오덕 님 글부터 ‘안 쉽고 안 바르고 안 깨끗하다’고 깨달으면서 더없이 창피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에 실은 글을 꽤 고쳐써서 《참교육으로 가는 길》이라는 책에 새로 실었습니다. 두 책을 나란히 펴면 ‘똑같은 글’이 아닌, ‘이오덕 님 스스로 처음 고쳐쓴 글결’을 살필 만합니다.


  그러나 이오덕 님으로서도 처음으로 느끼고 깨달아서 손질하려는 글결인 터라, 아직 성기고 서툽니다. 이오덕 님도 처음에는 매우 성기고 서툽니다. 그리고 스스로 성기고 서툰 줄 알아보면서 더더욱 갈고닦습니다.


  처음부터 살림을 훌륭히 여미는 분이 있을 텐데, 살림을 훌륭히 여미는 분은 ‘처음 그대로’ 살림을 하지 않아요. 밖에서 보기에는 훌륭할는지 모르나, 스스로 보기에는 어쭙잖게 마련이거든요. ‘훌륭한 살림꾼’도 늘 새롭게 가다듬고 추스릅니다. 끝없이 손질하고 다스려요.


  우리가 숨을 들이쉬고 내쉴 적에도, 두 다리를 척척 내딛으며 걸을 적에도, 두 손을 써서 쥐고 집고 잡고 나를 적에도, ‘익숙하게 할 줄 안다’는 마음이라면 으레 엇갈리거나 얽히게 마련입니다. ‘오늘 새로 마주한다’는 마음일 때에 비로소 차근차근 참하게 잇습니다.


  이오덕 님은 일본사슬 한복판에 태어나서 배우고 일하던 또래입니다. 옛어른인 터라 “내 글부터 내가 다 못 고쳐 부끄럽다”처럼 스스로 되새기는 말씀을 으레 읊었습니다. 우리는 여태 여러 어른을 지켜보면서 ‘나 스스로 새롭게 서는 어른’으로 오늘을 살아갑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좀 다르게 혼잣말을 할 만합니다. 이를테면 “고쳐써도 부끄럽지만, 또 고치고 즐겁게 고치면서 노래한다”는 마음으로 오늘 이 하루를 웃음꽃으로 피울 만하지요.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오늘 날씨 맑음 2
요시무라 요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6.13.

만화책시렁 756


《오늘 날씨 맑음 2》

 요시무라 요시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3.15.



  비가 내리니 비날입니다. 해가 환하니 해날입니다. 구름이 짙어서 구름날입니다. 날씨는 언제나 새롭습니다. 비가 오든 해가 나든 구름이 끼든 늘 달라요. 똑같이 흐르는 하루는 없습니다. 《오늘 날씨 맑음 2》을 읽으면 두 아이가 한집을 이루면서 맞물리는 살림길을 들려줍니다. 한 사람은 나이가 많되 아이다운 빛이요, 한 사람은 나이가 적되 어른스런 빛입니다. 둘은 서로 다르지만 하나인 마음으로 오순도순 지내고, 이러한 마음씨가 둘레에 풀씨처럼 푸르게 퍼집니다. 꼭 이렇게 해야 하지 않고, 굳이 저렇게 가야 하지 않습니다. 서로 그날그날 다르면서 새롭게 나아가기에 즐겁습니다. 나이가 더 있기에 나잇값을 해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국민·시민’이 아닌 ‘사람’입니다. 사람으로서 사람이라는 빛을 펴면서 살림을 하는 삶입니다. 이름에 허울을 붙이면 이름을 잊다가 잃습니다. 이름을 그대로 마주하면서 품을 때에, 서로 이야기를 하면서 마음을 잇습니다. 나이가 아닌 철을 익히는 사람이기에 집부터 오붓하고 즐거워요. 집부터 느긋하고 아늑하기에 마을과 나라가 아름답습니다. 언제나 ‘우리집’부터 바라보면 됩니다. ‘우리집’이란 나 하나만 살더라도, 나랑 집을 나란히, 나랑 바람과 살림을 함께 아우르는 이름입니다.


ㅍㄹㄴ


“치하루 요리에 담겨 있는 치하루의 사랑은 무엇보다 맛있어.” (78쪽)


“고자질이 뭐야?” “이르지 말라고.” “나쁜 짓이라고 생각해?” “…….” (82쪽)


“사토는 딱히 동생 때문에 화가 난 게 아니라, 사토의 말을 듣지 않는 엄마가 싫은 거 아닐까, 라는 정도야.” “내가 그렇게 마구 욕을 했는데.” “엄마 얘길 할 때 목소리가 달라졌거든.” (97쪽)


“루이 옆에 치하루가 있는데, 쓸데없는 시간 따위 한순간도 없어.” (109쪽)


#晴れ晴れ日和 #吉村佳


+


《오늘 날씨 맑음 2》(요시무라 요시/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


나중에 곤란하지 않도록 혼영까지 가르쳐 줬어

→ 나중에 힘들지 않도록 여러헤엄 가르쳐 줬어

→ 나중에 어렵지 않도록 섞는헤엄 가르쳐 줬어

39쪽


치하루 요리에 담겨 있는 치하루의 사랑은 무엇보다 맛있어

→ 치하루 밥에 담긴 치하루 사랑은 무엇보다 맛있어

78쪽


“고자질이 뭐야?” “이르지 말라고.”

→ “이름질이 뭐야?” “이르지 말라고.”

→ “찌르기가 뭐야?” “이르지 말라고.”

8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5.17. 날마다 조금씩


 ㄱ


  봄은 하루아침에 안 온다. 겨울은 하루아침에 안 온다. 봄이 오기까지 천천히 하루가 흐른다. 겨울이 오기까지 찬찬히 하루가 지난다. 첫봄과 한봄과 늦봄이 있다. 첫겨울과 한겨울과 늦겨울이 있다. 우리는 예부터 봄과 여름과 가을과 겨울이라는 이름으로 철을 바라보았고, 네철을 다시 석걸음으로 마주하였는데, 석걸음인 네철은 다달이 새롭다.


  동박나무는 여름에 잎을 떨군다. 아니 늦봄 무렵부터 가랑잎을 낸다. 마당에 동박나무를 심는 사람이라면 서울 한복판에서도 ‘여름가랑잎’을 안다. 바닷마을이나 섬마을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후박나무도 나란히 여름가랑잎을 내는 줄 안다. 늘푸른나무는 늘푸른잎을 건사하려고 여름에 헌잎을 내려놓으면서 새잎을 낸다.


  날마다 조금씩 자라면서 푸르게 물드는 잎이고, 날마다 조금씩 시들면서 노랗게 물드는 잎이다. 하루아침에 자라지 않고, 하루아침에 시들지 않는다.


  삶이란 물줄기처럼 흐른다. 멧골에서 샘솟아 들숲을 적시며 흐르더니 갯벌을 거쳐서 바다로 스미고는 새삼스레 하늘로 올라서 비로 내리는 물줄기이다. 삶이란 바람줄기처럼 감돈다. 모든 숨붙이는 들숨날숨을 잇고, 사람과 풀꽃나무는 서로 들숨날숨을 이으면서 푸르게 노래하면서 이 땅에 선다.


 ㄴ


  하루글(일기)이란, 하루를 적는 글이다. 하루글이란, 스스로 살아낸 오늘 하루를 그대로 옮기는 글이다. 하루글이란, 즐겁든 슬프든 고스란히 밝히면서 웃음과 눈물을 나란히 노래하는 글이다. 하루글이란, 새롭든 똑같든 살림을 지은 내 발걸음과 손길을 그저 받아들이면서 익히려는 글이다.


  씨앗 한 톨이 영글기까지 한 해가 걸리는데, 씨앗 한 톨을 영그는 푸나무는 온삶을 기울여서 자란다. 나무는 씨앗 한 톨을 맺는 어른나무로 서기까지 스무 해쯤 느긋이 자란다. 풀포기도 씨앗 한 톨을 맺는 어른풀로 서기까지 긴긴 나날을 가만히 꿈꾸면서 자란다.


  힘든 오늘이라면 “아, 힘들어. 한 줄을 적기도 힘들어.” 하고 남길 수 있다. 신나는 오늘이라면 조잘조잘 주절주절 몇 쪽이고 옮길 수 있다. 고단한 오늘이라면 날짜만 겨우 적고서 넘어갈 수 있다. 기쁜 오늘이라면 글을 안 쓰더라도 그림으로 가득 채울 수 있다.


  이렇게 해야 하지 않고, 저렇게 하기에 나쁘지 않다. 하루글도 오늘글도 삶글도 살림글도 사랑글도 숲글도 노래글도 느낌글도 책글도 매한가지이다. 누구나 스스로 살아내는 이야기를 적는다. 저마다 스스로 살림하는 이곳 이때 이 마음 이 숨결을 쓴다.


 ㄷ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님이 남긴 책 가운데 《씨앗의 희망》이 있다. 이오덕 님이 남긴 책 가운데 《이오덕 교육일기》가 있다. 두 책 모두 하루아침에 태어나지 않았다. 그저 꾸준히 하루하루 적고 그리고 담고 남긴 이야기를 꾸리니 어느새 도톰하게 깨어날 뿐이다.


  잘하는 살림과 잘못하는 살림은 따로 없다. 네가 짓는 살림과 내가 빚는 살림이 있으며, 우리가 돌보는 살림이 있다. 살림에는 높낮이가 없다. 살림에는 이야기가 있다. 살림에는 옳고그름이나 좋고나쁨이 없다. 살림은 늘 살림이고, 살림길이란 살림씨앗을 사뿐히 심으면서 걸어가는 하루이다.


  이오덕 님은 왜 어른일까? 권정생 님은 왜 어른인가? 두 분은 왜 어른일까? 우리는 오늘 어른인가? 어른이란 먼곳에 있을까? 아이를 낳아 돌보는 누구나 어른이지 않을까? 아이를 안 낳았어도 마을에 있는 모든 아이를 따사로이 바라보고 돌아볼 줄 알면 언제나 어른이지 않은가? 나이가 많기에 어른이지 않다. 나이가 적기에 어른이 아니지 않다. 뭘 알거나 잘 다루기에 어른이지 않다. 뭘 모르거나 못 다루기에 어른이 아닐 수 없다.


  철을 알고 익히면서 나눌 줄 아는 마음이기에, 나이가 아무리 적거나 어려도 어른이다. 철을 등지고 배우지 않으면서 하나도 못 나누는 마음이라서, 나이가 아무리 많더라도 어른이 아니다.


  너는 어른이고, 나는 어른이다. 우리는 어른이다. 서로 어른이고 함께 어른이다. 먼곳에 있는 어른이 아닌, 우리 누구나 어른이다. 그래서 《어린이는 모두 시인다》 같은 책이 태어났다. 그래서 “어린이와 어른은 모두 노래꽃”이면서 “사람은 모두 아이답게 빛나고 어른답게 철들면서 함께 이야기하는 사이로 어울리기에 이 푸른별을 가꾸고 이 파란별을 보살피는 꿈씨앗과 사랑씨앗을 왼손과 오른손에 한 톨씩 놓고서 사뿐사뿐 나들이를 한다”고 여길 만하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9. 우는 소리



  서울 복판마을(센트럴시티)에서 버스를 기다린다. 아기를 수레에 태워서 밀고 다니는 어버이가 있고, 아기는 끝없이 옹알이 같은 말을 한다. 어버이는 아기가 말한다고 여길까? 아기가 부디 조용히 자기를 바랄까? 아기는 아직 어른처럼 말소리를 못 터뜨리지만, 늘 마음을 드러낸다. 어버이는 늘 마음을 틔우면서 마음소리를 귀담아들을 노릇이다.


  수레에 누운 아기로서는 보꾹에 달린 불빛에 눈이 따갑게 마련이다. 아기 위쪽에 불빛이 많으면 가려 주거나 품에 안고서 토닥이고서 눈길을 바닥이나 앞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아기로서는 복닥거리는 이곳이 얼마나 괴롭고 힘겨울까.


  《세속도시》를 읽는다. 시골에서 살아가며 읽자니 사뭇 다르게 느낄 만하다. 책읽는 사람들이 한 손으로는 아기를 안고서 책을 쥐면 확 다르리라. 우리가 어른이라면, 한 손으로 아기를 안는 삶이라고 늘 생각해야지 싶다. 아기를 잊거나 모르거나 멀리하면서 책민 쥘 적에는 살림길하고 등지더라. 여느 일자리와 벼슬과 글도 매한가지이다. 돌봄손으로 일하고 지을 적에 스스로 빛나면서 서로 반갑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상책 上策


 처음부터 피해 가는 게 상책이다 → 처음부터 비켜 가야 낫다

 빨리 잊는 게 상책이다 → 빨리 잊어야 한다

 뒤에 가 보는 게 상책일 것 같았고 → 뒤에 가 보아야 좋을 듯했고

 달아나는 게 가장 상책이었다 → 달아나기가 가장 나았다


  ‘상책(上策)’은 “가장 좋은 대책이나 방책”을 가리킨다고 해요. 말뜻처럼 “가장 좋다”나 “가장 낫다”로 손봅니다. ‘좋다·낫다’나 ‘하다·되다·옳다·바르다’로 손보아도 되고, ‘훌륭하다·뛰어나다·으뜸’으로 손볼 만해요. ‘돕다·도와주다·이바지’나 ‘맞다·어울리다·알맞다’로 손보아도 되어요. 이밖에 닡말책에 한자말 ‘상책’이 두 가지 나오는데, 둘 모두 털어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상책(尙冊) : [역사] 조선 시대에, 내시부에서 책 관리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종사품 벼슬

상책(商策) : 상업에 관한 계책



그냥 내버려두는 게 상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그냥 내버려두어야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냥 내버려두자고 생각했습니다

→ 그냥 내버려두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산적의 딸 로냐》(아스트리드 린드그랜/김라합 옮김, 일과놀이, 1992) 97쪽


섣불리 움직이지 않는 게 상책이지

→ 섣불리 움직이지 않는 쪽이 낫지

→ 섣불리 움직이지 않아야지

《이누야샤 5》(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2) 69쪽


그것도 안 되면 삼십육계가 상책이다

→ 이렇게 안 되면 달아나야 한다

→ 이마저 안 되면 그냥 달아난다

《잉카의 웃음, 잉카의 눈물》(이기식, 작가, 2005) 46쪽


섣불리 겐쇼에 데려가지 않는 게 상책일 수도

→ 섣불리 겐쇼에 데려가지 않아야 할 수도

→ 섣불리 겐쇼에 데려가지 않는 길이 나을 수도

《책 속으로의 여행 2》(아마노 타카/박선영 옮김, 학산문화사, 2008) 117쪽


성가신 일에는 엮이지 않는 게 상책이야

→ 성가신 일에는 엮이지 않아야 좋아

→ 성가신 일에는 엮이지 않아야지

《거짓말풀이 수사학 1》(미야코 리츠/김시내 옮김, 학산문화사, 2016) 15쪽


아버지의 인생을 통해 나는 진심이 담긴 경영이 상책임을 배웠다

→ 아버지 삶에서 나는 참이 담긴 살림짓기가 가장 낫다고 배웠다

→ 아버지 삶을 보며 나는 참다이 꾸려야 가장 옳다고 배웠다

→ 아버지 삶에 비추어 나는 참답게 가꾸어야 한다고 배웠다

《자전거 타는 CEO》(킹 리우·여우쯔엔/오승윤 옮김, OCEO, 2017) 148쪽


그럴 때는 재빨리 피하는 게 상책입니다

→ 이럴 때는 재빨리 벗어나야 합니다

→ 이럴 때는 재빨리 비켜야 합니다

《생명을 보는 눈》(조병범, 자연과생태, 2022) 11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