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순간의


 순간의 감정을 못 이기고 → 왈칵하는 한때를 못 이기고 / 왈칵질을 못 이기고

 그 순간의 기쁨이란 → 그때 그 기쁨이란

 순간의 선택이 오래간다 → 문득 고르면 오래간다 / 얼결에 고르면 오래간다

 순간의 힘 → 한때힘 / 토막힘 / 느닷힘 / 반짝힘 / 번쩍힘 / 벼락힘


  ‘순간(瞬間)’은 “1. 아주 짧은 동안 ≒ 순각(瞬刻) 2. 어떤 일이 일어난 바로 그때. 또는 두 사건이나 행동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바로 그때”를 가리킨다고 해요. ‘순간 + -의’는 ‘-의’부터 털고서, ‘그때·그때그때·이때·때·한때·무렵·즈음·날’로 손볼 만합니다. ‘가볍다·넌지시·이내·이윽고’나 ‘살그머니·살며시·살살·살짝’이나 ‘슬그머니·슬며시·슬슬·슬쩍’로 손보고, ‘갑자기·급작스레·그만·문득’이나 ‘곧·곧바로·곧이어·곧장·막바로’나 ‘걸핏·얼핏·선뜻·언뜻·어느덧·어느새’로 손봐요. ‘슥·스치다·쑥·쓱·씽·쌩’이나 ‘김·얼김·덧·맡·번개·벼락·우레·천둥’이나 ‘날름·널름·늘름·냅다·냉큼·닁큼·넙죽’으로 손볼 만하고, ‘눈깜짝·눈깜짝새·눈썹 날리다’나 ‘느닷없다·드디어·바로·불쑥·불현듯·두말없다’로 손봅니다. ‘다다닥·와락·화다닥·확·훅·홱·후다닥·후딱·휙·홱’이나 ‘대뜸·댓바람·더럭·덜컥·하루아침·한달음’으로 손보아도 어울리고, ‘한붓에·한숨에·한칼에’나 ‘아차·아차차·얼결에·엄벙뗑·엉겁결·어쩌다’로 손볼 수 있어요. ‘여기·오늘·이곳·이쪽’이나 ‘딱·뚝·똑·뚝딱·착·척·팍·퍼뜩’으로 손보고, ‘빠르다·빨리·어서·몰록·모르는 새·무척 빠르다’로 손보며, ‘바람같다·발빠르다·벼락같다·불길같다’나 ‘번뜩이다·벌떡·발딱·뻘떡·번쩍·반짝’이나 ‘재빠르다·잽싸다·짧다’로 손보면 되어요. 때로는 ‘늘·노상·언제나·자꾸’로 손보고요. ㅍㄹㄴ



순간의 승기(勝機)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거야

→ 문득 오름결을 이룰 수 있어

→ 살짝 오름길을 탈 수 있어

《지어스 5》(키모 모히로/최윤선 옮김, 대원씨아이, 2006) 15쪽


순간의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으니

→ 누구나 한때 잘못을 할 수 있으니

→ 누구나 살짝 잘못을 할 수 있으니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 2》(미카미 엔·나카노/최고은 옮김, 디앤씨미디어, 2014) 117쪽


순간의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이리저리 돌려 말하거나

→ 그때를 벗어나려고 이리저리 돌려 말하거나

→ 그 한때를 벗어나려고 이리저리 돌려 말하거나

《언어의 온도》(이기주, 말글터, 2016) 25쪽


그 순간의 떨림을 잊지 못합니다

→ 그 떨리는 때를 잊지 못합니다

→ 그 떨림을 잊지 못합니다

→ 그렇게 떨린 때를 못 잊습니다

《그림책 톡톡 내 마음에 톡톡》(정봉남, 써네스트, 2017) 76쪽


그대의 생일은 순간의 깨달음으로 부딪쳐 오나니

→ 그대 생일은 문득 깨달으면서 부딪쳐 오나니

→ 그대 태어나는 날은 몰록 깨달으며 부딪쳐 오나니

《황색예수》(김정환, 문학과지성사, 2018) 2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수상가옥



 전통적인 수상가옥이다 → 오랜 물살림집이다

 수상가옥에서 거주하는 민족이다 → 물살이집에서 지내는 겨레이다


수상가옥 : x

수상(水上) : 1. 물의 위. 또는 물길 2. 흐르는 물의 상류

가옥(家屋) : 사람이 사는 집



  물에 집을 지을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물가나 물밭에서 살림을 짓는다는 뜻으로 ‘물살림집’이라 할 만하고, ‘물살이집’이라 하면 되어요. 바다라면 ‘바다살림집·바다살이집’일 테지요. 못가나 못물에 집을 지으면 ‘못살림집·못살이집’입니다. ㅍㄹㄴ



나그네로 머물게 하는 수상가옥이 된다

→ 나그네로 머물 물살림집이 된다

→ 나그네로 머무를 물살이집이 된다

《그래도 일요일》(이유선, 문학의전당, 2023) 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수생곤충·수생동물



 공동으로 수생곤충을 조사했다 → 함께 물벌레를 살폈다

 이 부근에는 여러 종의 수생동물이 서식한다 → 이 둘레에는 물살이가 많다


수생곤충 : x

수생(水生) : [생명] 생물이 물속에서 남. 또는 물속에서 삶

곤충(昆蟲): 곤충강에 속한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수생동물(水生動物) : [동물] 물속에서 사는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수서동물



  물에서 살아가는 벌레라면 ‘물벌레’입니다. 물에서 살아가는 짐승이나 숨빛이라면 ‘물살림·물살이’입니다. 수수하게 물빛으로 바라보고 마주하면 됩니다. ㅍㄹㄴ



일본에서 제일 큰 수생 곤충이야

→ 일본에서 가장 큰 물벌레야

《마이의 곤충생활 2》(아메갓파 쇼죠군/정은서 옮김, 대원씨아이, 2019) 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충결망라



 충결망라의 정신을 새겨서 → 없애려는 마음을 새겨서

 진정한 충결망라를 요구한다 → 참답게 깨뜨리기를 바란다


충결망라 : x

충결 : x

망라(網羅) : 물고기나 새를 잡는 그물이라는 뜻으로, 널리 받아들여 모두 포함함을 이르는 말



  중국말인 ‘충결망라(衝決網羅)’를 우리가 굳이 써야 하거나 배워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치우다·걷다·걷어치우다·치다·쳐내다’라 하면 되어요. ‘찢다·버리다·내버리다·자르다’라 할 만합니다. ‘없애다·태우다·쓸다·쓸어내다·털다’라 할 수 있어요. ‘깨다·깨뜨리다·허물다·무너뜨리다’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박지원보다 한 세기 정도 뒤의 사람인 중국의 담사동은 충결망라(衝決網羅), 즉 세상의 모든 덫을 깨뜨릴 것을 촉구하면서

→ 박지원보다 온해쯤 뒤에 태어난 중국 담사동은 모든 덫을 치우라고 외치면서

→ 박지원보다 온해쯤 뒷사람인 중국 담사동은 모든 그물을 찢으라고 외치면서

《우정이란 무엇인가》(박홍규, 들녘, 2025)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관존민비



 관존민비를 철폐하려는 운동이 → 위아래틀을 없애려는 물결이

 관존민비의 사고방식이 남아 있다는 것은 → 시키려는 마음이 남았다면


관존민비(官尊民卑) 관리는 높고 귀하며 백성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생각



  벼슬자리는 높이면서 사람을 낮춘다면 ‘벼슬질·벼슬놀이’를 일삼는다는 뜻입니다. ‘벼슬아치·벼슬꾼·벼슬자리’인 셈입니다. 이때에는 “위에서 시킨다”는 뜻이면서, “시키고 따른다”는 굴레입니다. ‘시킴질·웃질’이나 ‘위아래·위아래틀’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윗시킴·고분고분’이나 ‘엎드리다·절하다·꾸벅꾸벅’으로 나타내어도 되고요. ㅍㄹㄴ



그야말로 관존민비(官尊民卑)라는 관념이 내 안에는 아직도 건재한 것입니다

→ 나는 그야말로 엎드린다는 마음에 아직도 있습니다

→ 나는 아직도 시키면 따른다는 마음이 그대로입니다

《우정이란 무엇인가》(박홍규, 들녘, 2025) 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