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18 : 백경 나의 백지 -ㅁ 수심 망망대해 나의 있음
그대가 찾는 백경이 나의 백지이기도 함을 수심을 알 수 없는 망망대해를 나의 종이도 품고 있음을
→ 그대가 찾는 흰고래가 흰종이에, 깊이를 알 수 없는 허허바다를 종이도 품는 줄
→ 그대가 찾는 하얀고래가 하얀종이에, 깊이를 알 수 없는 난바다를 종이도 품는데
《붉은빛이 여전합니까》(손택수, 창비, 2020) 48쪽
한자말 ‘백경·백지’를 일부러 맞물린 글월이로구나 싶은데, 이때에는 ‘흰고래·흰종이’처럼 우리말을 맞물리면 됩니다. ‘희다·하얗다’는 ‘하늘·허허’하고도 맞물리기에 ‘망망대해’ 같은 한자말씨를 손질하면서 더욱 남다르게 글결을 추스를 만합니다. 일본말씨 ‘나의’는 다 솎아내고, 옮김말씨 “-ㅁ을”을 다듬고, ‘수심’은 ‘깊이’로 고쳐씁니다. ㅍㄹㄴ
백경(白鯨) : [문학] 미국의 작가 멜빌이 지은 해양 소설. 흰 고래 모비 딕에게 한쪽 발을 잃은 후 복수의 화신이 되어 버린 노선장 에이하브의, 광기와도 같은 추격을 뼈대로 운명에 도전하는 인간을 상징적으로 그렸다. 1851년에 발표하였다 = 모비딕
백지(白紙) : 1. 닥나무 껍질로 만든 흰빛의 우리나라 종이. ‘흰 종이’로 순화 2. 아무것도 적지 않은 비어 있는 종이. ‘빈 종이’로 순화 3. = 백지상태 4. 어떤 대상이나 일에 대하여 이미 있었던 사실을 없는 것으로 하거나 무효화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수심(水深) : 강이나 바다, 호수 따위의 물의 깊이
망망대해(茫茫大海) : 한없이 크고 넓은 바다 ≒ 망망대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