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5. 새여름



  서울서 사는 어느 문학평론가 교수님이 쓴 산문집을 읽었다. 그분은 ‘새여름’이나 ‘새가을’ 같은 말은 없다고 말씀하더라. 그러나 말이 되는가? 서울에서 살며 부릉부릉 모니까 철을 모르면서 그분이 안 쓸 뿐이고, 그분이 읽는 책이나 만나는 사람이 으레 서울내기라서 철을 모를 수밖에 없기 때문 아닌가. ‘키’나 ‘절구’를 그분이 곁에 둘 일이 없대서 “없는 살림”일 수 없다. 여름에 오는 비를 왜 ‘여름비’라 안 하는가? 서울에서야 봄비나 가을비나 여름비를 하나하나 가릴 일이 없을 만하고, 첫여름비와 늦여름비와 한여름비를 헤아릴 일도 없을 만하며, 첫봄비와 한봄비와 늦봄비가 어떻게 다른지 살필 일이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철마다 다르고 달마다 더더욱 다른 비와 바람과 날과 볕과 별을 “없는 일”이라고 섣불리 말해도 될까? 이런 눈으로 ‘문학평론·문학수업’을 한다면, 오늘날 글꾼(시인·소설가·기자)은 무슨 글을 내놓는다는 뜻일까?


  《비상계엄을 이겨낸 대한국민 이야기》가 갓 나왔다. 고흥읍으로 저잣마실을 나온 길에 걸어다니면서 읽는다. 짧은 틈에 바지런히 잘 엮은 책이라고 느끼되, ‘절대다수 국회’는 여태 무엇을 했는지 안 다루는 대목이 아쉽다. 함부로 계엄령을 읊는 놈이 잘한 짓이란 터럭만큼도 없으나, ‘절대다수 국회’는 여태 이 나라 사람들을 헤아리는 무슨 일을 했는지 하나도 알 길이 없다. ‘국회가 빌미’였다는 뜻이 아니라 ‘일 안 하는 국회’였는데, ‘새나라’로 나아갈 ‘촛불물결’을 헤아리자면, “왜 이들도 일을 안 했을까?”에다가 “이들은 앞으로 어떤 일을 해야 할까?” 같은 이야기를 나란히 적을 노릇이라고 느낀다. 우리는 ‘언놈’을 미워하거나 나무라려는 일을 할 까닭이 없다. 우리 스스로 그릴 새길을 함께 이야기하고 짚고 살필 노릇이다.


  그리고, 저놈이 계엄령을 걸 적에, 다른 놈은 “무안공항에 국제노선을 조용히 열”며 전라남도 구석구석 “간편 해외여행”을 알렸으며, 이런 지 한 달이 안 되어 무안공항에서 애꿎게 192분이 이슬이 되고 말았다. 새로 나라지기 자리에 선 분은 아직 “무안공항 특검과 진상조사”를 말하지 않는다. 아니, 여태 “무안공항 특검과 진상조사”를 말한 바 없다고 느낀다. 언제쯤 새 나라지기나 총리는 “무안 특검과 조사”를 할 수 있을까? ‘항공기 조종사’는 온힘을 다하여 겨우 비행기를 살려냈으나, 무안공항에서 갑작스레 불꽃으로 터지면서 멍하니 먼지처럼 불타고 말았다.


  이 나라가 아름답기를 빈다. 이쪽에 서거나 저쪽에 서는 길이 아닌, 어린이 곁에 서고, 들숲메바다를 품기를 빈다. 누구를 밀거나 모시는 굴레가 아닌, 푸름이 곁에서 어깨동무하고, 풀꽃나무와 해바람비를 이 터전에 푸르게 담기를 바란다. 새여름인 엿쨋달이다. 첫여름에 접어든 2025년 올해는 무더위가 아닌 알맞춤한 더위요, 밤과 새벽은 서늘하다. 하늘은 사람을 헤아리면서 아름날씨를 베푼다. 이제 사람이 사람으로서 할 몫이 남았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368 : 영혼 편하게 -의 걸 -게 된 것


영혼을 편하게 하는 일이 숲의 일이라는 걸 알게 된 것

→ 숲은 넋을 달래는 줄 알았고

→ 숲은 넋을 다독이는 줄 알았고

《정오에서 가장 먼 시간》(도종환, 창비, 2024) 10쪽


아파서 우는 넋을 달랩니다. 앓고 슬픈 넋을 다독입니다. 숲이 하는 일을 지켜봅니다. 숲이 사람한테 베풀듯, 사람으로서 이웃하고 어깨동무합니다. 이 글월은 “-게 하는 일”하고 “-의 일이라는 걸”이 맞물리면서 군더더기입니다. “알게 된 것”도 군더더기예요. 임자말을 ‘숲은’으로 바로잡고서 ‘알았고’로 끝맺으면 단출합니다. ㅍㄹㄴ


영혼(靈魂) : 1. 죽은 사람의 넋 2. 육체에 깃들어 마음의 작용을 맡고 생명을 부여한다고 여겨지는 비물질적 실체

편하다(便-) : 1. 몸이나 마음이 거북하거나 괴롭지 아니하여 좋다 2. 쉽고 편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367 : 무성 -에 대 수많 상상 것


무성한이란 말과 수풀에 대해 수많은 상상을 한 것

→ 숱하다란 말과 수풀을 놓고 숱하게 생각을 했고

→ 수북하다란 말과 수풀을 숱하게 생각을 했고

→ 수두룩과 수풀을 숱하게 생각해 보고

《정오에서 가장 먼 시간》(도종환, 창비, 2024) 10쪽


숱하게 있다고 여겨서 ‘숲’이고 ‘수수하다’입니다. 한자말 ‘무성·수많다’를 굳이 쓰기보다는 ‘숱·숲·수수·수풀·수더분·수북’을 차곡차곡 짚으면서 생각을 펼 만합니다. 낱말에 어떻게 얽히며 맺는지 즐겁게 헤아릴 만하지요. ㅍㄹㄴ


무성하다(茂盛-) : 1. 풀이나 나무 따위가 자라서 우거져 있다 2. 털이나 뿌리 따위가 엉킬 정도로 마구 자라 있다 3. 생각이나 말, 소문 따위가 마구 뒤섞이거나 퍼져서 많다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수많다(數-) : 수효가 매우 많다

상상(想像)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90 : 아마추어 이상 프로에 비해 기술적 열등 존재


아마추어란 더 이상 프로에 비해 기술적으로 열등한 존재가 아니다

→ 새내기는 솜씨꾼보다 뒤떨어지지 않는다

→ 즐김이는 재주꾼보다 뒤처지지 않는다

→ 수수한 사람은 잘하는 사람보다 낮지 않다

《내 멋대로 사진찍기》(김윤기, 들녘, 2004) 19쪽


돈을 버느냐 안 버느냐를 놓고서 영어로 ‘아마추어·프로’를 가르곤 합니다. 돈을 벌기에 ‘잘한다’고 여기기도 하지만, 돈은 벌되 썩 잘하지 않기도 합니다. 재주나 솜씨는 그리 다르지 않아요. 그저 즐기려는 수수한 마음인 사람이 있어요. 꼭 돈을 벌거나 장사를 하면서 이름을 펴려는 사람이 있고요. 높거나 낮을 수 없습니다. 드날리거나 뒤처지지 않아요. 누구보다 낫거나 나쁠 일이 없는 줄 알아본다면, 어느 곳에서 무엇을 하든 새롭게 배우면서 아름다이 어울릴 만합니다. ㅍㄹㄴ


아마추어(amateur) : 예술이나 스포츠, 기술 따위를 취미로 삼아 즐겨 하는 사람. ‘비전문가’로 순화 ≒ 아마

이상(以上) : 1. 수량이나 정도가 일정한 기준보다 더 많거나 나음 2. 순서나 위치가 일정한 기준보다 앞이나 위 3. 이미 그렇게 된 바에는 4. 서류나 강연 등의 마지막에 써서 ‘끝’의 뜻을 나타내는 말

프로(←professional) : 어떤 일을 전문으로 하거나 그런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 또는 직업 선수. ‘전문가’, ‘직업’으로 순화 ≒ 프로페셔널

비하다(比-) : 1. 사물 따위를 다른 것에 비교하거나 견주다 2. ‘비교’의 뜻을 나타낸다 3. ‘견주어 말한다면’ 또는 ‘비유하자면’의 뜻을 나타낸다

기술적(技術的) : 1. 기술에 관계가 있거나 기술에 의한 2. 어떤 일을 재치 있거나 요령 있게 처리하는

열등(劣等) : 보통의 수준이나 등급보다 낮음. 또는 그런 등급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82 : 한 소녀


저런! 한 소녀가 울음을 터뜨립니다

→ 저런! 아이가 울음을 터뜨립니다

→ 저런! 아이가 울어요

《나는 해파리입니다》(베아트리스 퐁타넬·알렉상드라 위아르/김라헬 옮김, 이마주, 2020) 8쪽


영어라면 “a girl”처럼 얹음씨를 붙이지만, 우리말은 “한 소녀”처럼 붙이지 않습니다. 또한 우리말은 ‘소녀·소년’처럼 따로 가르기보다는 ‘아이’라고만 합니다. 아이가 울어요. 아이가 울음을 터뜨려요. ㅍㄹㄴ


소녀(少女) :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아니한 어린 여자아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