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18.


《아무리 얘기해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 마영신 그림, 창비, 2020.4.3.



사흘째 부산에서 보내는 새벽이다. 고즈넉이 흐르는 바람을 느끼면서 ‘갈다’라는 글이름으로 노래 한 자락을 쓴다. 우리는 오늘부터 갈닦고 갈아엎고 갈아치우는 마음이어야지 싶다. 이제 ‘기념사업회’는 사라져야 할 때라고 느낀다. ‘오월광주’는 ‘기념사업’이 아니라 ‘읽기모임’으로 돌아보고 짚고 헤아리고 살피면서 ‘이야기’로 그려서 풀어낼 노릇이라고 본다. ‘그들은 안 뉘우친다’고들 여기지만, 막상 그들이 빛고을로 찾아와서 엎드리려고 할 적에 담벼락을 누가 닫어거는지 곱씹어야 한다. 그들이 빛고을에 안 올 적에는 안 온다고 나무라다가, 그들이 모처럼 빛고을에 올 적에는 왜 오느냐고 나무라면, 그들이 스스로 뉘우칠 틈을 안 내는 셈이다. 아무 틈을 내주지 않는다면 그들이 어떻게 뉘우칠까? 그들을 그만 ‘나무랄’ 일이다. 그들하고 ‘함께읽기’를 하면서 앞으로 새롭게 어깨동무하면서 품어낼 빛을 그려야 한다고 본다. 《아무리 얘기해도》는 대단히 아쉬운 책이다. ‘기념사업회’라는 이름을 붙들기 때문에 이런 책을 낼 테지. 그들한테 ‘얼마나’ 말을 해보았기에 “아무리 얘기해도”라 할 수 있을까? 위에서 내려다보거나 깔보거나 얕보는 마음이 매우 짙다. ‘그들이 뉘우치면서 배울 틈’을 내주지 않으면서 비꼬고 비아냥거리는 데에서 그친다면, ‘너희는 꼴통이잖아?’ 하면서 아예 내치기만 한다면, 예나 이제나 앞으로나 미움불씨만 심게 마련이다. ‘얘기’란 “주고받는 마음과 말”이다. 오직 그들한테 말하기만 할 뿐, 그들이 뉘우치려는 말을 안 들으려고 했다고 느낀다. 그들이 어설프건 어줍건 엉성하건, 그들도 말을 해볼 틈을 내주면서 지켜보아야 한다. 이러고서 다시 말을 들려주고, 또 듣고, 다시 들려주고, 또 듣기, 주고받는 말을 차근차근 풀고 맺으면서 “제대로 얘기”를 할 때라야 비로소 이 나라에 어깨동무(평화)라는 씨앗을 심는다.


다시 짚자면, ‘오월광주’라는 줄거리는 《아무리 얘기해도》라고 하는 ‘내려다보기(선민의식)’가 아니라 “얘기 좀 해볼까?”나 “우리 이제 얘기하자”라는 마음으로 나란히 서고 만날 노릇이다. 그들이 아무리 못나고 엉터리에 볼꼴사납더라도, 그들을 바닥에 내리깔지 말자. 그들하고 나란히 서자. 그들하고 나란히 ‘얘기’를 좀 하자. 그들을 그만 손가락질하자.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17.


《끝의 시작》

 서유미 글, 민음사, 2015.1.9.



밤에 제대로 못 잔 듯싶다. 시골집에서는 나무바닥에 요만 깔고서 눕기에, 살짝 등허리를 펴더라도 나무가 베푸는 숨빛을 머금으면서 개운하다면, 큰고장이나 서울에서는 하나같이 폭신자리(침대)이게 마련이라 영 거북하다. 그러나 어느 자리에서 잠들든 마음을 바꾸면 될 노릇인데, ‘자리 핑계’를 댄 셈 아닌가. 뒤척이다가 잠을 물린다. 어둑한 밤부터 하늘빛을 머금는다. 동틀녘에는 해를 먹는다. 아침에는 자주 해를 쬐면서 풀밭에 맨발로 선다. 잠을 거의 안 이루었지만 몸이 스르르 풀린다. 한낮에 조금 눈을 붙인 다음 촛불보기를 한다. 이윽고 수영초등학교 곁 마을책집 〈여기서책〉을 찾아간다. 마을아이랑 마을어른이 책집을 기웃기웃하는구나. 새로 연 책집을 놀랍고 반갑게 맞이한다고 느낀다. 이제 연산동 〈카프카의 밤〉으로 건너가서 《일하는 아이들》을 놓고서 ‘이오덕 마음을 읽고 잇는 이야기’를 편다. 《끝의 시작》을 돌아본다. 우리글꽃(한국문학)은 이렇게 ‘바람질(불륜)’ 또는 ‘난봉’이어야 글감인가? 순이돌이는 서로 짝짓기 말고는 하고 싶은 일이 없을까? 마음을 나누고 집안일을 함께 꾸리고 손수 하나하나 짓고 돌보는 보금자리를 들려주는 줄거리는 아예 마음에 없을까? “끝의 시작”이라는 일본말씨를 바꿀 수 있을까? 끝은 처음, 끝부터, 끝에서, 끝에서 새로, 끝을 가다, 끝에서 가다, 여러모로 우리말씨를 헤아려 본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16.


《어둠을 지나 미래로》

 박근혜 글, 중앙books, 2024.2.5.



새벽 일찍 움직이려다가 아침을 느긋하게 맞으면서 빨래를 하고 집안일을 한다. 작은아이가 먼저 잠을 깨고, 큰아이도 곧 일어난다. 비오는 아침에 작은아이하고 우리 책숲으로 가서 빗물을 치운다. 작은아이더러 “오늘과 이튿날과 모레에 어떻게 밥을 차려서 먹을는지 같은 수수한 일부터 하루를 그리기에 스스로 꿈을 일구고 이뤄요. ‘글쎄’라는 이름인 밥은 없으니까, 어떤 밥이건 스스로 생각해서 천천히 지어서 누리는 하루이기를 바라요.” 하고 들려준다. 고흥읍을 거치고 순천시를 거쳐서 부산으로 달린다. 북적이는 시외버스에서 쉬잖고 글을 쓴다. 팔뚝과 손목이 저리면 살짝 쉰다. 저녁 19시부터 〈책과 아이들〉에서 ‘깃새글꽃(상주작가)’으로서 〈내가 쓰는 내 사전〉 풀그림을 꾸린다. ‘비’하고 ‘낱말’ 두 가지를 함께 풀고 헤아리면서 첫자리를 연다. 《어둠을 지나 미래로》가 헌책집에 2000원에 나왔을 적에 사읽었다. 읽는 내내 한숨이 나왔다. 박근혜 씨, 언제 철들랍니까. 언제 어른이 되렵니까. 언제 할머니답게 말씀하렵니까. 사람들이 그대롤 제대로 안 쳐다본다고 짜증내거나 부아내지 말고, 빈털터리 맨몸으로 시골자락에 작은집을 빌려서 논밭을 손수 호미와 삽과 낫과 쟁기만으로 일구시기를 바란다. 덤터기를 썼다고 여기지 말고, 이제부터 ‘공주님’ 아닌 ‘시골할매’로서 새길을 가시기를 빈다. 제발 큰고장 비싸고 으리으리한 담벼락집에 머물지 마시라. 땅에 발을 디디고, 하늘숨을 마시고, 스스로 날씨를 읽고, 언제나 땀흘려 일하는 ‘작은이’로 거듭나기를 빈다. 이런 엉터리책을 써내는 데에 아깝게 늘그막을 버리지 말고, 아름책을 읽고서 살림글을 한 자락씩 쓰시기를 빈다. 어느 벼슬길(정치)에도 얼씬거리지 말고, 암말도 하지 말고, 그저 ‘책할매’와 ‘논밭할매’로 이녁 삶을 마무리하기를 빈다. “남이 차려주는 밥”은 그만 드시라. 손수 차려서 드시라. 그리고 ‘노인연금’과 ‘기초수급자 보조금’과 ‘국민연금’을 받으면서 ‘그만 한 돈’으로 어떻게 살림을 꾸려야 하는지, 몸소 처음부터 배우시라. 그래야 사람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874 : 기회·운 긍정적 범위 도달 정확 관련이 맺어지다 등의 지닌다


기회·운 따위가 긍정적인 범위에 도달하다, 정확히 맞다, 서로 관련이 맺어지다 등의 뜻을 지닌다

→ 틈·기운이 열리다, 똑똑히 맞다, 서로 맺다 들을 뜻한다

《제주어 기초어휘 활용 사전》(강양봉·김순자, 한그루, 2021) 587쪽


‘밝다’나 ‘환하다’나 ‘열리다’라 하면 될 텐데, “긍정적인 범위에 도달하다”처럼 늘어뜨려야 하지 않습니다. 똑똑히 맞거나 또렷이 맞을 말씨를 돌아봅니다. “서로 관련이 맺어지다”는 겹겹말이자 옮김말씨입니다. “서로 맺다”나 “서로 얽히다”로 손질합니다. “- 등의 뜻을 지닌다” 같은 옮김말씨는 “뜻한다”로 손질합니다. ㅍㄹㄴ


기회(機會) : 1. 어떠한 일을 하는 데 적절한 시기나 경우 2. 겨를이나 짬

운(運) : 1. = 운수(運數) 2. 어떤 일이 잘 이루어지는 운수

긍정적(肯定的) : 1. 그러하거나 옳다고 인정하는 2. 바람직한

범위(範圍) : 1. 일정하게 한정된 영역 2. 어떤 것이 미치는 한계

도달(到達) :목적한 곳이나 수준에 다다름. ‘이름’으로 순화

정확(正確) : 바르고 확실함

관련(關聯/關連) :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따위가 서로 관계를 맺어 매여 있음. 또는 그 관계

등(等) : 1. 그 밖에도 같은 종류의 것이 더 있음을 나타내는 말 2. 열거한 대상이 복수임을 나타내거나 그것들을 한정함을 나타내는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873 : 청색 합당 존재 사실 확실


네가 청색 옷을 걸치기에 합당한 존재라는 사실을 확실히 보여줘라

→ 네가 푸른옷을 걸치기에 알맞다고 똑똑히 보여줘라

《책벌레의 하극상 2부 7》(카즈키 미야·스즈카·시이나 유우/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23) 152쪽


일본스럽게 ‘존재’라는 한자말을 넣어야 깊거나 넓게 나타내지 않습니다. “합당한 존재라는 사실을 확실히”는 통째로 “알맞다고”나 “어울리다고”나 “-ㄹ 만하다고”로 다듬습니다. 푸른옷을 입을 만한 사람이 있습니다. 푸른옷에 어울리거나 맞거나 걸맞거나 들어맞는 사람이 있습니다. ㅍㄹㄴ


청색(靑色) : 맑은 가을 하늘과 같이 밝고 선명한 푸른색 = 파란색

합당하다(合當-) : 어떤 기준, 조건, 용도, 도리 따위에 꼭 알맞다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사실(事實) : 1.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에 있는 일 2.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일을 솔직하게 말할 때 쓰는 말 3. 자신의 말이 옳다고 강조할 때 쓰는 말

확실하다(確實-) : 틀림없이 그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