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찻길이 두 갈래로 나 있으며 하루에 수백 차례 오가던 나날 이곳이 이렇게 텃밭으로 바뀔 줄 알리라 생각하던 사람은 아무도 없다. 어느덧 하루에 한 대만 지나가는 기찻길로 바뀐 요즈음, 이 자리에 공무원들이 해마다 '자갈 세례' 를 퍼부어 봄이 되면 아름다운 텃밭이 그예 자갈밭이 되더라도 동네사람은 다시금 텃밭을 일구는 슬프면서 어여쁜 모습을 늘 되새기는 가운데 사진 한 장을 담았다. 이 사진을 예술가랑 공무원은 썩 좋아하지 않더라. 사진학과 교수나 사진 전문가도 안 좋아하더군. 그러나 내가 좋아하고 내 살붙이랑 내 동무들이랑, 누구보다 이 동네 이웃들이 좋아해 주면 나로서는 참 기쁘다.

- 2010.9.3. 인천 남구 숭의1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삶을 읽는 마음


 책읽기이는 삶읽기이고, 삶읽기는 책읽기입니다. 책 한 권 마음을 들여 읽는 사람은 누구나 삶을 마음을 들여 읽을 수 있습니다. 삶 한 자락 마음을 쏟아 읽는 사람은 언제나 책을 마음을 쏟아 읽곤 합니다.

 책을 잘 읽는다거나 삶을 잘 읽는 사람이란 없습니다. 책을 제대로 삭여 삶을 제대로 꾸린다거나, 삶을 제대로 꾸리면서 책을 제대로 삭이려는 사람이 있습니다.

 책을 못 읽는다거나 삶을 못 읽는 사람 또한 없습니다. 책을 지식으로 머리에 쑤셔넣는다거나, 삶을 돈바라기로 내팽개치는 사람이 있습니다.

 무슨 책을 읽었는가는 하나도 따질 대목이 아닙니다. 어떤 삶을 꾸렸는가는 조금도 살필 구석이 아닙니다. 책을 읽은 사람이 어디에서 누구하고 어울리며 어떻게 지내는가를 헤아릴 노릇입니다. 살림을 꾸리는 사람이 어디에서 누구하고 어깨동무하며 어떠한 길을 걷느냐를 돌아볼 일입니다.

 아이한테 읽힐 좋다는 책을 찾아보는 일이란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나 좋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우리 아이한테 좋다는 책을 읽히기 앞서 우리 어른부터 나한테 좋을 만한 책을 나 스스로 살피고 찾고 골라 기쁘게 읽어내어 삭여야 합니다. 아이와 함께 즐거이 읽을 책을 내 눈썰미와 눈높이에 따라 곰곰이 곱씹으며 찾아내야 합니다. 그런데 책을 왜 읽히려 하는지요. 책은 왜 읽어야 하는가요. 책을 손에 쥐고 싶다면, 책을 손에 쥐어야 하는 까닭을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책을 꼭 손에 쥐어야 하는 까닭을 반드시 생각해야 합니다. 책을 읽어 내 삶이 어떻게 거듭나는가를 어김없이 생각해야 합니다.

 5만 평에 이르는 논밭을 일군다고 훌륭한 농사꾼일는지, 다섯 평짜리 텃밭을 일군다고 꾀죄죄한 농사꾼일는지 궁금합니다. 5만 권에 이르는 책을 사들여 읽었다고 훌륭한 책꾼일는지, 다섯 권 겨우 빌려서 읽었다고 형편없는 책꾼일는지 궁금합니다.

 나한테 돈 5만 원이 있으면 이 돈 가운데 책값으로 얼마를 빼시렵니까. 나한테 돈 50만 원이 있으면 이 돈 가운데 책값으로 얼마를 나누시렵니까. 나한테 돈 500만 원이 있으면 이 돈 가운데 책값으로 얼마를 쓰시렵니까. 나한테 돈 5000만 원이 있으면 이 돈 가운데 책값으로 얼마를 더시렵니까. 나한테 돈 5억 원이 있으면 이 돈 가운데 책값으로 얼마를 바치시렵니까. 나한테 돈 50억 원이 있으면 이 돈 가운데 책값으로 얼마를 즐기시렵니까.

 따뜻한 넋, 따뜻한 손, 따뜻한 눈, 따뜻한 몸, 따뜻한 삶, 따뜻한 길, 따뜻한 집, 따뜻한 벗, 따뜻한 꿈, 따뜻한 말, 따뜻한 책, 따뜻한 땀이 반갑습니다. 따뜻한 바람을 맞아들이고픈 구월이요 시월입니다. (4343.8.30.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을 쓰는 마음


 제아무리 훌륭한 책을 읽었다 할지라도 이 책 하나를 이야기하는 글은 곧바로 써낼 수 없습니다. 고작 쓴다는 글이라고 해 봐야 ‘이 책 참 대단히 훌륭합니다’쯤입니다. 참으로 훌륭하다고 하는 책을 이야기하려는 글이라 한다면 ‘이 책 참 훌륭하다’라고 밝히지 않으면서 넌지시 아름다움이 무엇이요 훌륭함이 무엇이며 참됨이 무엇인가를 밝힐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책 하나로 내 삶부터 어떻게 거듭나거나 달라지고 있는지를 낱낱이 드러낼 수 있어야 합니다.

 온누리에 가득한 숱한 책느낌글을 읽거나 살피면서 내 가슴이 촉촉하게 젖어드는 일이 퍽 드뭅니다. 낯이 간지러운 부추김글은 널렸어도, 낯이 환해지는 보살핌글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좋은 책을 읽은 넋이라면 좋은 삶을 가꾸는 좋은 몸으로 다시 태어나서 좋은 글을 써야 하지 않겠어요. 그렇지만 좋은 책을 읽고도 좋은 글을 일구지 못한다면, 이이는 좋은 책을 읽지 못한 셈입니다. 좋은 책에 깃든 좋은 삶을 받아들이지 못한 노릇입니다. 좋은 책이 왜 얼마나 어떻게 좋은가를 느끼지 못한 탓입니다.

 책느낌글을 쓸 때마다 저 스스로 지나온 내 모습을 모두 내려놓습니다. 백 꼭지에 이르는 책느낌글을 썼다면 백 꼭지째 책느낌글은 첫 꼭지째 책느낌글하고 견줄 수 없는 제 알찬 삶입니다. 왜냐하면 첫 꼭지부터 백 꼭지까지 모두 백 차례에 이르도록 거듭나고 탈바꿈을 해 왔으니까요. 오백 꼭지째 글을 썼다면 오백 차례 새로 태어난 셈이요, 즈믄 꼭지째 글을 썼으면 즈믄 차례 다시 태어난 셈입니다.

 그런데 이냥저냥 대충대충 얼렁뚱땅 글을 쓴다 해서 늘 거듭 태어나는 셈이 아닙니다. 참되고 착하고 곱게 살아가며 글을 써야 비로소 새로 태어나는 셈입니다. 다 읽은 책이라 할지라도 마음속에서 절로 우러나와 제 손가락이 홀가분하게 움직이며 글을 쓸 때까지 기다리고 견디고 삭입니다. 두 번 읽어야 하는지 세 번 읽어야 하는지, 다 읽고 곰곰이 되씹으며 한 해를 보내야 할는지 두 해를 지내야 할는지 가만히 기다리고 참으며 녹입니다.

 자랑하려고 읽는 책이 아닌 만큼, 자랑하려고 쓰는 글이 아닙니다. 내세우려고 사들이는 책이 아니듯이, 내세우려고 쓰는 글이 아닙니다. 우쭐거리고자 들먹이는 책이 아니라, 우쭐거리고자 들먹이는 글이 아닙니다. 제 모두를 쏟아 읽으면서 제 모두를 씻어 보듬으려는 책이면서 글입니다. 제 발걸음을 디뎌 생각하면서 제 삶자락을 추슬러 살아내려는 책이면서 글입니다.

 덜 읽었으면 마저 읽어야 하고, 덜 삭였으면 다시금 삭여야 하며, 덜 느꼈으면 더 느끼도록 애써야 합니다. 쌀을 씻어 알맞게 불 때까지 기다리고, 불린 쌀이 알맞게 익을 때까지 기다리며, 잘 지은 뜨거운 밥이 알맞게 식을 때까지 기다리며 밥술을 듭니다. 한 번 더 마음을 쏟을 줄 안다면, 내 손아귀에 쌀알이 들어오는 길을 돌아볼 터이고, 두 번 더 마음을 쏟을 줄 안다면, 내 손에 낫자루와 괭이자루를 쥐어 땅을 일구어 나락을 얻으려 할 터이며, 세 번 더 마음을 쏟을 줄 안다면, 내 목숨을 이어 주는 고마운 바람과 물과 흙과 해 모두를 사랑하며 엎드려 절을 할 테지요. 책읽기란 삶읽기이고, 삶읽기는 삶쓰기인 글쓰기로 이어집니다. (4343.5.3.달.ㅎㄲㅅㄱ) 

(이런 글을 5월에 진작 써 놓은 줄 오늘 비로소 새삼스레 깨닫다. 써 놓고 곧장 올리지 못한 일이 이제 와서 생각하니 고맙다. 내가 쓴 글이든 남이 쓴 글이든, 그때뿐 아니라 나중에 읽어도 가슴으로 와닿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 웅진 지식그림책 20
윤여림 지음, 정유정 그림, 이은주 감수, 조은화 꾸밈 / 웅진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식 키우는 책과 삶을 살리는 책
 [책읽기 삶읽기 19] 윤여림+정유정,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



 아이하고 날마다 갖가지 그림책을 읽는다. 아이한테 읽히려고 하다가 애 아빠 혼자서 한참 들여다보는 그림책이 있어 아이가 아빠 팔을 잡아당기는 때가 있고, 애 아빠는 좋다고 아이한테 읽히는데 아이는 다른 놀이를 한다며 딴전을 피울 때가 있다. 틀림없이 아이도 좋아하는 그림책이지만 이날 따라 딴짓을 하고파 본 척 만 척한다면 괜찮다. 그러나 아이와 함께 그림책을 읽는데 아이는 지루해 하고 애 아빠도 따분해 하면 큰일이다. 이때에는 이 그림책에 담긴 그림이 아무리 예쁘장하다 해도 달갑지 않다. 이렇다면 이 그림책에 깃든 줄거리가 아무리 알차다 해도 반갑지 않다.

 그림책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를 읽다. 이 그림책에는 ‘지식 그림책’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데 이런 이름은 보지 않고 골랐다. 우리 나라에서도 창작 그림책이 제법 나오기는 하지만, 우리 둘레 삶터를 찬찬히 헤아리며 알뜰히 담아내는 그림책은 아직 얼마 못 본다. 이런 가운데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라는 작품은 책이름이나 짜임새에서 무언가 수수하고 맛깔스러운 이야기를 담지 않았겠느냐 생각했다.

 책을 펼치면 아이 얼굴을 가득 덮을 만큼 커다란 나뭇잎에 구멍 둘 송송 내어 탈처럼 쓰는 모습이 하나 있다. 나뭇잎처럼 생긴 종이를 벗기면 아이 얼굴이 드러나고, 다시 나뭇잎처럼 생긴 종이를 책에 붙이면 ‘나뭇잎 탈’이 된다. 아이는 이 책을 보는 내내 이 대목 하나에서만 만지작거리며 “언니 얼굴이네.” 하는 말을 할 뿐, 다른 대목에서는 싱숭생숭. 아이가 하도 재미없어 하기에 ‘공원길을 거닐며 나뭇잎을 줍는 아이들’이 나오는 그림에서 겨우 거미 몇 마리를 찾아내어 “여기 거미 있네.” 하고 가리킨다. 우리 식구 살아가는 시골집에서 거미이며 개미이며 벌레이며 흔히 보니까, 아이는 거미나 개미나 벌레가 나오는 그림을 금세 알아채며 좋아하곤 한다. 그런데 몇 번씩 “여기 거미 있어. 여기 거미 있잖아.” 하고 말해 주어도 못 알아본다. 아예 알아볼 마음이 없는가.

 아이는 아빠랑 그림책 읽기를 그만둔다. 함께 보자는 그림책이 지루하다고 느낀 탓이다. 아빠는 그림책을 마저 펼쳐 살핀다. 왜 이렇게 아이가 지루하다고 느껴 하는가를 생각한다. 그러고는 다른 그림책을 하나 꺼내어 읽어 본다. 아, 금세 느낌이 온다.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는 이 그림책에 붙은 작은 이름 ‘지식 그림책’ 알맹이에 알뜰할 뿐, 정작 그림책이 할 몫을 못한다. 더 생각해 보면 참다운 지식 그림책이라 말하기도 어려우나, 어찌 되었든 지식을 다루는 그림책 자리에 머물 뿐, 이야기를 나누는 그림책이라든지 삶을 밝히는 그림책으로 거듭나지 못한다.

 그림책을 그리는 사람하고 그림책에 글을 쓰는 사랑이랑 그림책을 엮는 사람 모두 생각하고 또 생각해야 한다. 어떤 그림책이든 하나같이 ‘지식 그림책’이다. 지식을 다루지 않는 그림책이란 없다. 스무 해쯤 앞서부터 ‘철학 동화’라는 어린이책이 널리 팔리곤 하는데, 어떠한 동화이든 철학이 안 담긴 동화란 없다. 모든 동화에는 철학, 우리 말로 풀면 ‘생각’을 담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동화이든 가르침을 베푼다. 한자말로 하자면 ‘교훈’이 없는 동화란 없으며, 어른문학도 매한가지이다. 과학 동화나 과학 그림책은 좀 다를는지 모르나, 참다이 빚은 글책과 그림책일 때에는 굳이 ‘과학’이란 이름을 내어 붙이지 않으면서 몹시 아름다운 과학 동화요 과학 그림책이요 된다. 이를테면, 책이름은 참 잘못 붙였는데, 일본사람이 빚은 《도둑고양이 연구》(파랑새,2008)라는 그림책이 있다. 이 그림책은 ‘그냥 그림책’이다. ‘과학’이란 머리말을 달지 않는다. 이 그림책은 ‘도둑고양이’ 아닌 ‘골목고양이’나 ‘길고양이’라는 이름이 붙었어야 옳으나, 아무튼 이 그림책에서 살피어 담아낸 골목고양이 삶자락은 온통 과학이라 할 만하다. 그린이는 과학하는 사람답게 골목고양이 삶을 들여다보면서 이야기를 펼친다.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는 딱히 잘못 그렸다고 하는 대목은 없다. 그러나 살뜰히 그렸다고 하는 대목 또한 없다. 틀리게 그렸다고 하는 대목이란 없다. 그렇지만 살가이 그렸다고 할 만한 대목 또한 없다.

 숲에 들어가 보자. 수목원이나 동네 공원에 ‘사람이 억지로 심어 가꾸는’ 나무숲이 아닌, 나무와 풀과 짐승이 자연스러이 어우러져 있는 ‘사람이 오가는 길이 없는’ 그냥 숲에 들어가 보자. 억지로 키우는 숲이 아닌 곳에 들어가 보면 어떠한 나뭇잎을 만나는지 느껴 보자. 억지로 키우는 숲일지라도 얼마나 많은 나뭇잎이 있는지 헤아려 보자. 사람들이 으레 ‘참나무’라 하는 나무는 가짓수가 얼마나 많은지 곰곰이 살피고, 같은 소나무라 하더라도 나뭇잎이 얼마나 다른지를 바라보며, 감나무 한 그루에서 떨어져 흙바닥에 깔려 있는 가랑잎 모양이 얼마나 다른가를 느끼자. 나뭇잎 이야기는 지식이 아니라 삶이니까, 사람하고 같이 살아 주고 있는 고마우며 사랑스러운 나무이니까, 나무 한 그루 튼튼하게 살아 있음을 보여주는 싱그러운 나뭇잎 하나이니까, 이러한 목숨붙이와 자연을 꾸밈없이 가슴으로 받아들이자.

 그러고 보면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 같은 그림책은 ‘지식 그림책’이라는 이름이 아닌 ‘자연 그림책’ 같은 이름이 붙어야 한다. 처음부터 이와 같은 이름을 붙이려 하면서 책을 엮었어야 조금이나마 살가우며 아리따운 작품으로 거듭나지 않았겠느냐 생각한다.

 온갖 나무가 골고루 어깨동무하면서 살아가지 못하는 도시에 아주 많은 사람들이 살 뿐 아니라, 오늘날 거의 모든 아이들은 도시에서 바글바글거리는 틈바구니에 찡기어 있다. 오늘날 아이들은 아이답게 살아가지 못한다. 오늘날 아이들은 제 또래 동무나 손위 언니 오빠 형 손아래 동생하고 신나게 부대끼며 뛰어놀지 못한다. 나뭇가지를 함부로 꺾으면 안 되지만, 불을 땔 삭정이를 줍고 장작을 패거나 나무 열매를 따는 일을 할 겨를이 없다. 오늘날 아이들은 저잣거리조차 잘 가지 않고 마트에만 갈 뿐이다. 감이 감나무에서 열리는지, 배가 배나무에서 열리는지, 포도가 포도나무에서 열리는지를 모른다. 오늘날 과일밭은 얼마나 과일나무를 모질게 다루는지를 모르고, 옹글게 자라는 능금나무 한 그루를 보지 못한다. 복숭아나무를 모르고 살구나무를 모르면서 복숭아며 살구며 오얏이며 먹는다. 이러한 열매들을 오로지 ‘값 얼마짜리’로만 여긴다.

 어른이고 아이이고 ‘배추 한 포기 얼마, 배 한 알 얼마’ 하는 지식으로만, 숫자로만, 틀에 박힌 도시내기 쳇바퀴로만 바라본다. 어른부터 아이까지 나무 한 그루 사랑스레 얼싸안거나 쓰다듬지 못한다. 이리하여 그림책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는 그린이나 글쓴이나 엮은이나 ‘지식 그림책’ 울타리에서 스스로 헤어나올 수 없겠구나 싶다. 이 책을 장만하여 읽힐 어버이와 어린이 또한 이 그림책이 한결 참답고 착하며 곱게 다시 태어나야 하는 줄을 못 깨달을밖에 없다.

 가장 좋은 지식 그림책은 멧자락과 들판에 있다. 멧기슭이 바로 좋은 그림책이고, 너른 들판이 빛나는 그림책이다. 파란 바다와 하늘이 훌륭한 그림책이며, 멧새와 멧짐승이 고마운 그림책이다. (4343.10.23.흙.ㅎㄲㅅㄱ)


― 내가 만난 나뭇잎 하나 (윤여림 글,정유정 그림,웅진주니어 펴냄,2008.10.20./95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으로 보는 눈 141 : 책사랑 삶사랑

 아이는 읽은 책을 또 읽습니다. 하루에도 여러 차례 보고, 이듬날이건 다음날이건 줄기차게 읽습니다. 이 책 하나가 틀림없이 좋기 때문이겠지요. 다른 수많은 책이 없어도 이 책 하나로 넉넉하기 때문이겠지요. 먼길을 나서며 책 하나 챙겨야 한달 때에 아이는 어느 책을 챙길는지를 잘 알겠다고 느낍니다.

 애 아빠는 읽은 책을 또 읽기도 하지만, 으레 새로운 책을 읽으려 듭니다. 사람들이 “가장 좋다 여길 만한 책은 무엇인가요?” 하고 물으면 “이제까지 읽은 좋은 책들이 참 많지만, 바로 오늘 제 손에 쥐어들어 읽는 책이 가장 좋아요.” 하고 대꾸합니다. 저로서는 제 책삶이 이러하니까 이런 말을 하고야 맙니다.

 생각해야 합니다. 곰곰이 생각하며 느껴야 합니다. 애 아빠는 책을 만들거나 쓰는 일을 하는 가운데, 책이야기를 글로 풀어내는 일을 합니다. 언제나 ‘새로 나오는 책’ 흐름을 알아야 하고, ‘예전에 나왔으나 제대로 사랑받지 못한 책’ 자취를 헤아려야 합니다. 이러한 일 매무새가 내 삶 매무새로 자리잡습니다.

 아이로서는 읽은 책을 또 읽는다기보다 좋아하는 책을 즐겨읽습니다. 사랑할 만한 책을 사랑해요. 가슴에 꼬옥 안으며 아낄 만한 책을 참말 가슴에 꼬옥 안으며 아껴 읽습니다.

 그러니까, 손꼽히는 책이라 한다면, 나라 안팎에서 널리 사랑받는다는 책이라 한다면, 아주 마땅한 소리인데 ‘새로 나오는 책’이 손꼽힐 책이 될 수 없습니다. ‘많이 알려지’거나 ‘홍보가 잘 되어 잘 팔리는 책’이 손꼽을 책이 되지 못합니다. 사람들이 손꼽는 좋은 책·고운 책·빛나는 책·어여쁜 책·훌륭한 책·멋진 책이란 곧 두고두고 되읽는 책입니다. 이 책 하나로 내 삶을 밝게 일군다 싶을 때에 저절로 손가락을 꼽으며 싱긋 웃습니다.

 애 아빠는 살림을 꾸려야 합니다. 애 아빠는 집식구 오순도순 살아갈 돈을 마련하고 밥을 하며 빨래랑 갖가지 뒤치다꺼리를 해야 합니다. 숨돌릴 겨를은 있으나 멈출 수 없는 쳇바퀴를 돌립니다. 언제나 새로운 마음과 몸으로 새 하루를 맞이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아이는 무엇을 하며 새 하루를 맞이하고, 새 날을 어떤 마음과 몸으로 즐길까요. 애 아빠 눈썰미가 아닌 아이 눈높이로 바라보는 집살림이란, 마을살이란, 보금자리란, 멧기슭 터전이란, 하루란, 삶이란 어떤 모습일까요.

 아이는 그림책 《로타와 자전거》랑 《까만 크레파스》를 보고 보며 또 봅니다. 아이를 무릎에 앉히고 아이가 보고 보며 또 본 그림책을 읽히다 보면, 이 그림책은 질리지 않습니다. 지루하지 않습니다. 볼 때마다 지난번에는 놓치거나 느끼지 못한 즐거움을 찾습니다. 만화영화 〈이웃집 토토로〉를 보든 영화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나 〈천국의 아이들〉이나 〈라 스트라다〉를 보든 매한가지입니다. 볼 때마다 새삼스러우며 지난번에 못 본 이야기와 모습을 느낍니다. 저한테는 날마다 먹는 밥하고 같은 책들이요 영화들입니다. 날마다 먹으며 날마다 남다른 맛인 밥처럼 날마다 마음껏 즐기며 신나게 얼싸안을 수 있는 책일 때에 책상맡에 놓고 꾸준히 사랑할 만합니다. (4343.10.22.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