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면 - 2025 볼로냐 라가치 오페라 프리마 선정 핑거그림책 12
진주 지음, 가희 사진 / 핑거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5.15.

그림책시렁 1552


《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면》

 진주 글

 가희 사진

 핑거

 2024.9.12.



  빨간 딸기를 먹고 싶다면 딸기씨를 심어서 겨울나기를 하는 딸기덩굴을 돌볼 노릇입니다. 빨간 능금이 먹고 싶다면 능금씨를 심어서 여러해 지켜볼 일입니다. 그런데 딸기씨에 능금씨를 심으려면 먼저 땅이 있어야 할 테고, 누르스름하게 죽은 땅뙈기가 아닌, 까무잡잡하게 살아숨쉬면서 온풀이 자라는 땅이 있을 노릇입니다. 《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면》은 시골에서 살아가는 두 아이가 하루를 어떻게 노는지 가만히 보여줍니다. 시골살이는 으레 들숲메바다를 곁에 안는 나날입니다. 시골놀이는 들빛과 숲빛과 멧빛과 바다빛을 스스럼없이 품는 길입니다. 이 책은 줄거리를 재미나게 풀어내는구나 싶으면서 여러 가지 아쉽습니다. 재미난 엮음새에서 그치기보다는, 마지막에 할매 할배 아재 누나가 ‘열매’랑 ‘씨앗’이랑 ‘삽’이랑 ‘어린나무’를 하나씩 건네는 결로 맺을 만하지 않았을까 싶어요. 나무 한 그루를 더 심을 수 있어요. 이러면서 새로 심는 나무에 아이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또는 아이랑 멧마실을 가서 멧자락에서 스스로 자라는 나무 한 그루를 알려주면서, “이 나무한테서 얻었지” 하고 빙그레 웃으면서 숲길과 숲놀이와 숲살림을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애써 시골을 바탕으로 삼는데, 너무 ‘집 안쪽’에서만 머무는 얼거리여서 아쉽습니다. 그리고 해는 ‘해님’으로 적습니다. ‘햇살·햇볕·햇빛’은 ‘ㅅ’을 붙이고요.


ㅍㄹㄴ


《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면》(진주·가희, 핑거, 2024)


햇님처럼 빨갛고 보석처럼 빛나는

→ 해님처럼 빨갛고 별처럼 빛나는

1쪽


내일 또 만나자며 어디론가 날아갔죠

→ 다시 또 만나자며 어디로 날아갔죠

→ 이튿날 만나자며 날아갔죠

2쪽


벌레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나는 언제나 동생보다 늦게 집에 도착해요

→ 벌레 이야기를 듣다 보면 언제나 동생보다 늦게 집에 와요

→ 벌레하고 이야기하다 보면 언제나 동생보다 늦게 집에 와요

2쪽


나는 우리 집이 참 좋아요

→ 나는 우리 집이 참 신나요

→ 나는 우리 집이 즐거워요

4쪽


빨간 사과를 향해 달려갔어요

→ 빨간 능금한테 달려가요

→ 빨간 능금을 보며 달려가요

24쪽


맛있는 빨간 사과를 먹을 거예요

→ 맛있는 빨간 능금을 먹을래요

44쪽


꼭 그런 건 아닌 것 같아요

→ 꼭 그렇지는 않은가 봐요

→ 꼭 그렇지는 않나 봐요

→ 꼭 그렇지 않은 듯해요

6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들의 Zearth[지어스] 완전판 5
키토 모히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15.

만화책시렁 753


《지어스 5》

 키모 모히로

 최윤선 옮김

 대원씨아이

 2006.12.15.



  누구나 ‘살려’고 무슨 일이든 합니다. 그런데 “나만 잘먹고 잘살”려고 붓을 쥘 적에는 사람들한테 거짓바람을 일으키는 짓입니다. 지난날 일본허수아비나 이승만·박정희·전두환한테 빌붙어 “내내 잘먹고 잘살”려고 붓을 이은 사람들은, 참으로 불쌍하고 안쓰럽기만 합니다. 그런데 적잖은 사람들은 “그저 먹고살려고”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남이나 이웃을 죽이는 짓도 서슴지 않습니다. “내가 살려면 어쩔 길이 없다”는 핑계를 붙여요. 이제는 이런 짓을 멈추거나 끝낼 때라고 느껴요. “내가 살아남으려고 남을 죽이”면, “내가 죽은 사람한테서 씨앗을 이어받은 아이들이 머잖아 나를 죽여서 앙갚음을 할” 테고, 이윽고 “나한테서 씨앗을 이어받은 아이들이 새롭게 앙갚음하려고 그 아이들을 찾아갈” 테지요. 《지어스 5》을 곰곰이 읽습니다. 삶죽음 사이를 잇는 길을 지켜보는 아이들 손바닥을 돌아보는 줄거리입니다. 이제 열너덧 살에 이른 아이들 손바닥에 따라서 별 하나가 살아남거나 사라진다지요. 나라를 이룬 어른들은 총칼로만 놈(적군)을 물리쳐야 한다고 여깁니다. ‘삶’이 아닌 ‘살아남기’만 쳐다보는 어른들은 아이들이 묻는 “왜 살아요?”나 “왜 죽여요?” 같은 말에 제대로 대꾸를 못 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스스로 묻고 길을 찾아나섭니다. ‘남으려는 삶’이 아닌 ‘살다가 떠나는 나’를 바라볼 뿐 아니라, ‘나(아이)를 잇는 아이(씨앗)’를 바라본다지요.


ㅍㄹㄴ


‘넌 어떻게 성장할까. 어떤 인생을 보내게 될까. 울기도 하고, 웃기도 하고, 화도 내면서, 내가 겪어 보지 못한 여러 가지 일들을 체험하면서, 좌절할 때도 있을지 몰라. 힘들 때도 있을지 몰라. 그래도 네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감사의 마음을 잊어선 안 돼. 널 이렇게나 소중히 생각하는 사람이 있었다는 걸―.’ (91쪽)


‘또 다른 지구. 또 다른 우리들. 그건 적인 걸까. 그걸 희생시키면서까지 우리들의 이 지구는 존속할 가치가 있는 존재일까?’ (196쪽)


#ぼくらの #鬼頭莫宏 #きとうもひろ


+


《지어스 5》(키모 모히로/최윤선 옮김, 대원씨아이, 2006)


순간의 승기(勝機)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거야

→ 문득 오름결을 이룰 수 있어

→ 살짝 오름길을 탈 수 있어

15쪽


그 엉덩이라면 남자들 뇌쇄시키고도 남아

→ 그 엉덩이라면 사내들 녹이고도 남아

→ 그 엉덩이라면 사내들 사로잡고도 남아

82쪽


널 이렇게나 소중히 생각하는 사람이 있었다는 걸―

→ 널 이렇게나 고이 생각하는 사람이 있은 줄

→ 널 이렇게나 사랑하는 사람이 있은 줄

91쪽


식목의 전정(剪定) 같은 거라고 보면 돼

→ 가지치기 같다고 보면 돼

→ 가지를 끊는다고 보면 돼

145쪽


그건 적인 걸까. 그걸 희생시키면서까지 우리들의 이 지구는 존속할 가치가 있는 존재일까

→ 그쪽은 몹쓸놈인가. 그쪽을 죽이면서까지 우리별은 이어갈 값어치가 있을까

→ 그사람은 나쁜가. 그사람을 없애면서까지 우리별은 살아갈 만할까

196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3.


《9일간의 영혼 여행》

 안케 에베르츠 글/추미란 옮김, 샨티, 2025.2.10.



구름이 모인 아침이다. 비가 뿌릴까. 비가 없이 지나갈까. 후박꽃을 보고, 괴불주머니를 보고, 돌나물을 살피고, 이제 막 녹듯 사라지려는 민들레와 여러 봄맞이꽃을 보는데, 빗방울이 듣는다. 비날로 흐르는구나. 팔다리에 등허리에 온몸이 녹을 듯하다. 끙끙 누워서 몸을 푼다. 일어나서 빗방울을 맞으며 마당을 거닌다. 물 한 모금을 마시고서 다시 눕는다. 바깥일은 하루를 보건 사흘을 보건, 이틀 마실길이건 나흘 마실길이건 몸을 쉬잖고 굴린다. 시골집에서는 새와 풀벌레와 개구리와 바람과 별이 마음을 달래면서 풀어준다면, 서울이며 큰고장은 쉬잖고 흐르는 쇳덩이와 끝없는 불빛이 사람들 몸을 갉는다고 느낀다. 《9일간의 영혼 여행》을 읽었다. 죽음맞이(임사체험)를 들려주는 줄거리이다. 온누리에 죽음맞이를 해본 사람이 무척 많으리라 본다. 나도 숱하게 죽음맞이를 했고, 넋이 몸을 떠나서 바깥을 으레 떠돌곤 했다. 어릴적에는 날마다 집 안팎에서 얻어맞으면서 몸벗이(유체이탈)와 죽음맞이를 치렀고, 두바퀴를 달리다가 치여서 죽음맞이를 겪기도 했다. ‘죽어보기’나 ‘죽을맛’은 삶을 늘 다시 짚고 생각하는 발판이다. 몸을 떠나 보기에 왜 이 별에서 몸을 입고서 삶을 누리며 사랑을 그리는지 새롭게 배울 수 있다.


#Neun Tage Unendlichkeit #Anke Evertz

#Was mir im Jenseits uber das Bewusstsein, die korperliche Existenz und den Sinn des Lebens gezeigt wurde. Eine außergewohnliche Nahtoderfahrung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2.


《뜨뜨시 할머니의 바다 레시피》

 윤예나 글, 2016.



“아버지 어제 돌아왔는데, 오늘 장보러 가게요? 힘들잖아요?” “몸이야 이튿날 더 쉬면 되고, 이제 어제부터 ‘어린이날 맞이 쉼날잔치’라서, 딱 오늘 읍내로 가야 나래터를 들르고 저잣마실을 할 수 있어.” 시골에서도 날짜에 따라서 움직여야 할 줄은 몰랐다. 달종이에 빨갛게 그리는 쉼날이면 시골버스가 모두 쉰다. 서울에서 쉼날에 버스·전철이 다 쉬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요새는 시골에서 쉼날에 택시조차 거의 쉰다. 군청에서 이바지돈(보조금)까지 받는 시골버스가 쉼날에 쉬어도 될까? ‘시골 다리빛(교통권)’에 목소리를 함께 내는 이웃을 아직 못 만난다. 큰아이가 같이 저잣마실을 가겠노라 한다. 함께 걷고 쉬고 얘기한다. 어린놀이터에 앉아 함께 읽고 쓰고 바람을 쐰다. 꽃이 지고 열매가 익어가는 느티나무를 쓰다듬고서 집으로 간다. 《뜨뜨시 할머니의 바다 레시피》는 2020년에 새로 나온다. 그런데 그림책에 영어 ‘레시피’를 그냥 써도 될까? 어린이는 안 봐도 된다는 마음으로 이런 말씨를 그대로 둔다면 하나도 안 어른스럽다. 그러나 이 책은 ‘어린이 아닌 어른’이 볼 그림책이겠지. 어른도 그림책을 읽을 만하다고 여기는 마음일 텐데, ‘어른도’가 아니라, ‘아이곁에서 함께’라는 마음이어야 하지 않을까?


《바다 레시피》(윤예나 글·서평화 그림, 노란상상, 2020.7.15.)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1.


《낮은 데서 시간이 더 천천히》

 황화섭 글, 몰개, 2023.7.28.



아침 일찍 움직인다. 일빛날(노동절)인 탓인지 인천에서 서울 가는 길이 퍽 느슨하다. 복판마을(센트럴시티)에 닿아서 한 시간쯤 기다리며 책을 읽는다. 구름이 놀랍도록 우람하다. 자리에 앉아서 자다가 읽다가 자다가 쓰는데, 뒤쪽에서 아줌마 서넛이 끝없이 떠든다. 다섯 시간 즈음 떠드는 목청이 대단하다. 고흥에 닿으니 빗줄기가 굵다. 비내음을 맡으며 집으로 돌아간다. 나흘 만에 집밥을 누리고 이야기를 잇고서 까무룩 곯아떨어진다. 빗소리가 포근히 재운다. 《낮은 데서 시간이 더 천천히》를 읽었다. 노래(시)를 이만 하게 쓰는 분이 첫 꾸러미를 내었다니 놀랍다. 그러나 꾸러미를 자주 많이 내어야 노래지기이지 않다. 느즈막이 첫 꾸러미를 내었어도, 노래지기 삶을 차곡차곡 풀어내어 이야기를 여밀 줄 알면 된다. 글멋이나 글치레가 아닌, 삶길과 살림길을 한 올씩 들려주면 된다. 별을 보면서 별을 느끼는 대로 이 마음을 옮기면 글이요 노래이다. 밤을 보내면서 밤빛을 느끼는 대로 이 하루를 적으면 글이자 노래이다. 자라는 아이들을 지켜보면서, 스스로 아이로 뛰놀며 자라던 길을 되새기면서, 앞으로 이 땅에서 태어나 살아갈 아이들이 물려받을 들숲메바다를 그리면서, 이대로 마음씨앗을 얹으면 늘 글씨앗이면서 노래씨앗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