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기슭에서, 나 홀로
우에노 지즈코 지음, 박제이 옮김, 야마구치 하루미 일러스트 / 청미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6.6.

인문책시렁 428


《산기슭에서, 나 홀로》

 우에노 지즈코 글

 야마구치 하루미 그림

 박제이 옮김

 청미

 2025.2.20.



  전남 고흥에는 즈믄나무(1000년수)가 있습니다만, 군청은 “관리하기 귀찮”아서 숲빛(천연기념물)으로 올리지 않더군요. 그냥 팽개칩니다. 이뿐 아니라, 즈믄나무 바로 옆에 있는 어느 밥집은 저희 가게로 나뭇가지가 그늘을 드리운다고 하면서 함부로 가지를 동강내었고, 군청은 나무한테 바짝 붙여서 정자까지 짓느라 굵은가지를 치기도 했습니다.


  할 말을 잃을 만한 짓이어서 이제 더는 군청에 대고 말을 안 합니다. 그저 고흥읍 한켠에 선 즈믄나무 옆을 지날 적마다 나뭇잎을 살살 쓰다듬으면서 “너는 늘 푸르고 튼튼해. 즈믄해를 살아왔으니 요 몇 해쯤 너한테는 아무것이 아닌 줄 알 테지. 앞으로 열 해나 스무 해쯤 지나가면 이 모든 부스러기는 다 사라질 테니까, 아무쪼록 새롭게 즈믄해를 살아가기를 바라.” 하고 속삭입니다.


  《산기슭에서, 나 홀로》를 읽었습니다. 지난 2020년 언저리에 돌림앓이로 푸른별이 들끓을 즈음 큰고장을 떠나서 멧자락에 깃들며 지낸 이야기를 풀어낸 꾸러미입니다. 글쓴이는 돈이 있기에 멧자락에 땅을 사고 집을 얻어서 지내었지만, 돈이 없거나 적은 분은 시골살이를 엄두를 못 내었겠지요. 그러나 시골살이는 돈만으로 하지 않아요. 서울살이(도시생활)를 내려놓으면 얼마든지 ‘우리 집과 땅’을 장만해서 고즈넉이 지낼 만합니다.


  ‘서울살이’에 길든 몸을 ‘멧골살이’로 바꾸기란 어려울 만한데, 애써 매무새를 바꾸려 하기보다는 천천히 놀면 됩니다. 아이도 어른도 새길을 배우려면 여러 해를 느긋이 들일 노릇이에요. 하루아침에 못 배웁니다. 하루아침에 장작패기를 잘 해낼 사람은 없습니다. 한 달도 안 되어 호미질을 솜씨있게 할 사람은 없습니다. 한 해만에 심고 거두는 흙살림을 훌륭히 하지 않습니다.


  서울에 처음 깃들어 자리를 잡기까지도 꽤 길게 보내야 합니다. 어느 고장이든 적어도 열 해쯤은 눌러앉고서 이리 부딪히고 저리 흔들려 보아야 비로소 고을빛을 느끼고 마을빛을 헤아리지 않나요? 시골에서도 열 해쯤 느긋이 놀듯 보낼 적에 비로소 시골빛을 헤아리면서 품을 만합니다. 이런 대목으로 본다면 《산기슭에서, 나 홀로》는 꽤 섣부른 줄거리입니다. 몇 해 살지 않고서 덥석 써낸 글이라서 이모저모 아쉽거나 아리송하더군요. 글을 꾸준히 썼더라도, 열 해쯤 시골살이를 한 발자취를 가다듬어서 책으로 꾸렸다면 빛났으리라 봅니다.


ㅍㄹㄴ


장마가 끝나면 반딧불이의 계절도 끝난다. 어느 날 문득, 늦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올해도 반딧불이의 계절을 놓치고 만 것이다. (35쪽)


우물물을 퍼 올리는 펌프도 고장 나서 교체했었다. 20년이라는 세월이 흐르니 기계가 못 버텨줄 뿐 아니라 고치려 해도 부품이 없다고 했다. (47쪽)


나에게 이렇게까지 ‘집순이’ 기질이 있었던가 싶어서 놀란다. 그랬다. 어릴 때부터 ‘읽기’와 ‘쓰기’가 좋았다. (75쪽)


옛날 사람들은 다리가 튼튼했다고 하는데 지금은 시골사람일수록 걷는 거리가 적다. 아주 조금 떨어진 곳이나 장을 보러 갈 때도 자동차로 가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114쪽)


#上野千鶴子 #八ヶ岳南麓から


+


《산기슭에서, 나 홀로》(우에노 지즈코/박제이 옮김, 청미, 2025)


친구란 참 고마운 존재여서 일단 신뢰 관계가 생기면

→ 동무란 참 고마워서 문득 믿으면

→ 동무란 참 고마우니 암튼 믿으면

7쪽


줄곧 이 산속 집에 머무르게 되었다

→ 줄곧 이 멧집에 머무른다

→ 줄곧 이 멧골집에 머문다

10쪽


활엽수가 나뭇잎을 죄 떨구고, 낙엽송마저 바늘 같은 잎을 떨구고 나면 숲은 순식간에 환해진다

→ 넓은잎나무가 잎을 죄 떨구고, 잎갈나무마저 바늘 같은 잎을 떨구고 나면 숲은 어느새 환하다

14쪽


산속 집을 불규칙하게 오가다 보니

→ 멧골집을 더러 오가다 보니

→ 멧집을 이따금 오가다 보니

→ 멧집을 드문드문 오가다 보니

20쪽


하계(下界)의 벚꽃이 다 지고

→ 땅에는 벚꽃이 다 지고

→ 이곳은 벚꽃이 다 지고

22쪽


주변에 종묘 농가가 여럿 있어서

→ 마을에 씨앗집이 여럿 있어서

→ 모를 파는 여러 집이 있어서

26쪽


산에 살아서 좋은 점은 화목 난로를 쓸 수 있다는 것이다

→ 멧골서 살면 나무를 땔 수 있어서 즐겁다

→ 멧집에서는 불을 땔 수 있어서 신난다

→ 멧골에서는 나무로 불을 때니 포근하다

39쪽


산 땅의 지목은 산림이다

→ 산 땅은 숲이다

→ 산 땅은 갈래가 숲이다

42쪽


두 번째 초간단요리는 역시나

→ 둘째 단출밥은 아무래도

→ 다음 쓱삭밥은 뭐

→ 이다음 뚝딱밥은

63쪽


1년에 한 번 산나물 튀김 파티를 주최하는데, 무척 큰 즐거움이다

→ 해마다 멧나물튀김잔치를 여는데 무척 즐겁다

→ 봄마다 멧나물튀김잔치를 무척 즐겁게 연다

86쪽


너무나도 훌륭한 싱글 라이프이기에 나는 명함도 못 내밀겠구나

→ 혼길이 더없이 훌륭하기에 나는 이름도 못 내밀겠구나

→ 혼살림이 무척 훌륭하기에 나는 얼굴도 못 내밀겠구나

→ 혼자서 참으로 훌륭히 살기에 나는 쪽도 못 내밀겠구나

89쪽


주변에 나 홀로족이 점점 늘고 있다

→ 둘레에 나홀로가 차츰 는다

→ 곳곳에 혼살림이 꾸준히 는다

101쪽


로그아웃만 하면 순식간에 나만의 시간으로 돌아온다

→ 나오기만 하면 바로 내 틈으로 돌아온다

→ 떠나기만 하면 곧장 내 삶으로 돌아온다

106쪽


주소를 하나로 정할 필요가 어디 있겠는가

→ 집을 하나로 둘 까닭이 어디 있겠는가

→ 사는곳이 하나일 까닭이 어디 있겠는가

113쪽


마당이 딸린 단독 주택을 지으리라는

→ 마당이 딸린 한채를 지으리라는

→ 마당이 딸린 홑채를 지으리라는

150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영어] 매직미러magic mirror



매직미러(magic mirror) : [공업] 은이나 주석으로 도금하여 반투막으로 만든 판유리 = 반투명경

magic mirror : 일방투명경(一方透明鏡)

マジック·ミラ-(일본조어 magic + mirror) : 매직 미러. 한 쪽에서만 안이 들여다보이는 거울



‘매직미러’는 일본영어라고 합니다. 한자말로는 ‘반투명경·일방투명경’을 쓴다고도 하는데, 한쪽에서만 거울이라는 얼거리에다가, 바깥에서만 거울이라는 쓰임새입니다. 이런 모습을 살핀다면 ‘바깥거울·밖거울’처럼 새말을 엮을 만합니다. ‘한쪽거울·한거울’이라 엮어도 어울려요. ‘외거울·외쪽거울’이라 해도 되어요. ㅍㄹㄴ



매직미러 같은 거야?

→ 바깥거울 같아?

→ 한쪽거울 같아?

《시노자키 군의 정비 사정 1》(부리오 미치루/김명은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 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5.30. 향긋이 살리는



  아침에 큰아이가 “예전에 우리가 가져온, 향긋한 나무가 뭐지요?” 하고 묻는다. ‘유칼립투스’라고 알려준다. 이 이름은 이 나무가 흔히 자라는 터전에서 붙였다. 아이들은 이 이름이 혀에 안 붙는 듯했다. 그렇구나 하고 느끼면서 예닐곱 해쯤 이 나무를 지켜보고 알아보다가 문득 ‘살림나무’란 이름을 떠올렸다. 줄기에 잎에 가지에 그저 온빛으로 둘레를 살리는 몫이니 이렇게 수수하게 이름을 붙이며 마주한다.


  곰곰이 보면 모든 나무는 ‘살림나무’이다. 그래도 ‘살구’란 이름을 한 가지 나무한테 쓰듯 ‘살림나무’라는 이름을 “숲노래 사투리”로 지어서 쓴다.


  지난날에는 누구나 “스스로 짓는 사투리”가 있었다. 우리가 예부터 가리키는 모든 풀꽃나무 이름은 ‘사투리’이다. ‘곰밤부리’나 ‘잣나물’이나 ‘코딱지나물’이나 ‘봄까지꽃’은 사투리이다. ‘민들레’나 ‘냉이’나 ‘망개’도 사투리 가운데 하나인데, 민들레나 냉이나 망개를 가리키는 사투리는 아주 많다. 따로 글꾼(전문가·학자)이 지은 풀이름이나 꽃이름이나 나무이름은 없다. 따로 임금이 지은 새이름이나 벌레이름이 있겠는가? 집과 옷과 밥을 가리키는 모든 이름도 사투리이게 마련이다. 오늘날 우리는 “스스로 짓는 사투리”를 잊으면서 말을 잊고 마음을 잃는다. 이제 우리는 “글꾼이 엮은 말”만 외우면서 말이 어렵고 마음을 닫는다.


  향긋하지 않은 나무란 없다만, 꼭 어느 한 그루한테 “넌 ‘향긋나무’로구나.“ 하고 속삭인다. 사랑을 그리며 이름을 짓는다. 숲을 헤아리며 모든 말글을 가다듬는다. ‘좋은말’이 아니라 ‘삶말’과 ‘살림말’과 ‘사랑말’을 쓰면 된다. ‘꾼말(학술용어)’이나 ‘먹물말(전문용어)’이 아닌, 또한 ‘순우리말’이나 ‘토박이말’이 아닌, 우리 삶과 살림과 사랑을 숲빛으로 추스르는 사투리를 쓰기에 반갑게 어울린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5. 새여름



  서울서 사는 어느 문학평론가 교수님이 쓴 산문집을 읽었다. 그분은 ‘새여름’이나 ‘새가을’ 같은 말은 없다고 말씀하더라. 그러나 말이 되는가? 서울에서 살며 부릉부릉 모니까 철을 모르면서 그분이 안 쓸 뿐이고, 그분이 읽는 책이나 만나는 사람이 으레 서울내기라서 철을 모를 수밖에 없기 때문 아닌가. ‘키’나 ‘절구’를 그분이 곁에 둘 일이 없대서 “없는 살림”일 수 없다. 여름에 오는 비를 왜 ‘여름비’라 안 하는가? 서울에서야 봄비나 가을비나 여름비를 하나하나 가릴 일이 없을 만하고, 첫여름비와 늦여름비와 한여름비를 헤아릴 일도 없을 만하며, 첫봄비와 한봄비와 늦봄비가 어떻게 다른지 살필 일이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철마다 다르고 달마다 더더욱 다른 비와 바람과 날과 볕과 별을 “없는 일”이라고 섣불리 말해도 될까? 이런 눈으로 ‘문학평론·문학수업’을 한다면, 오늘날 글꾼(시인·소설가·기자)은 무슨 글을 내놓는다는 뜻일까?


  《비상계엄을 이겨낸 대한국민 이야기》가 갓 나왔다. 고흥읍으로 저잣마실을 나온 길에 걸어다니면서 읽는다. 짧은 틈에 바지런히 잘 엮은 책이라고 느끼되, ‘절대다수 국회’는 여태 무엇을 했는지 안 다루는 대목이 아쉽다. 함부로 계엄령을 읊는 놈이 잘한 짓이란 터럭만큼도 없으나, ‘절대다수 국회’는 여태 이 나라 사람들을 헤아리는 무슨 일을 했는지 하나도 알 길이 없다. ‘국회가 빌미’였다는 뜻이 아니라 ‘일 안 하는 국회’였는데, ‘새나라’로 나아갈 ‘촛불물결’을 헤아리자면, “왜 이들도 일을 안 했을까?”에다가 “이들은 앞으로 어떤 일을 해야 할까?” 같은 이야기를 나란히 적을 노릇이라고 느낀다. 우리는 ‘언놈’을 미워하거나 나무라려는 일을 할 까닭이 없다. 우리 스스로 그릴 새길을 함께 이야기하고 짚고 살필 노릇이다.


  그리고, 저놈이 계엄령을 걸 적에, 다른 놈은 “무안공항에 국제노선을 조용히 열”며 전라남도 구석구석 “간편 해외여행”을 알렸으며, 이런 지 한 달이 안 되어 무안공항에서 애꿎게 192분이 이슬이 되고 말았다. 새로 나라지기 자리에 선 분은 아직 “무안공항 특검과 진상조사”를 말하지 않는다. 아니, 여태 “무안공항 특검과 진상조사”를 말한 바 없다고 느낀다. 언제쯤 새 나라지기나 총리는 “무안 특검과 조사”를 할 수 있을까? ‘항공기 조종사’는 온힘을 다하여 겨우 비행기를 살려냈으나, 무안공항에서 갑작스레 불꽃으로 터지면서 멍하니 먼지처럼 불타고 말았다.


  이 나라가 아름답기를 빈다. 이쪽에 서거나 저쪽에 서는 길이 아닌, 어린이 곁에 서고, 들숲메바다를 품기를 빈다. 누구를 밀거나 모시는 굴레가 아닌, 푸름이 곁에서 어깨동무하고, 풀꽃나무와 해바람비를 이 터전에 푸르게 담기를 바란다. 새여름인 엿쨋달이다. 첫여름에 접어든 2025년 올해는 무더위가 아닌 알맞춤한 더위요, 밤과 새벽은 서늘하다. 하늘은 사람을 헤아리면서 아름날씨를 베푼다. 이제 사람이 사람으로서 할 몫이 남았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368 : 영혼 편하게 -의 걸 -게 된 것


영혼을 편하게 하는 일이 숲의 일이라는 걸 알게 된 것

→ 숲은 넋을 달래는 줄 알았고

→ 숲은 넋을 다독이는 줄 알았고

《정오에서 가장 먼 시간》(도종환, 창비, 2024) 10쪽


아파서 우는 넋을 달랩니다. 앓고 슬픈 넋을 다독입니다. 숲이 하는 일을 지켜봅니다. 숲이 사람한테 베풀듯, 사람으로서 이웃하고 어깨동무합니다. 이 글월은 “-게 하는 일”하고 “-의 일이라는 걸”이 맞물리면서 군더더기입니다. “알게 된 것”도 군더더기예요. 임자말을 ‘숲은’으로 바로잡고서 ‘알았고’로 끝맺으면 단출합니다. ㅍㄹㄴ


영혼(靈魂) : 1. 죽은 사람의 넋 2. 육체에 깃들어 마음의 작용을 맡고 생명을 부여한다고 여겨지는 비물질적 실체

편하다(便-) : 1. 몸이나 마음이 거북하거나 괴롭지 아니하여 좋다 2. 쉽고 편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