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11. 참새를 옮기다
아침길을 나서며 논둑길을 달린다. 한참 땀을 빼는데 길바닥에 참새 한 마리가 곱게 누웠다. 새벽에 쇳덩이가 치었을까? 그나마 밟히지는 않았다. 가만히 든다. 아주 가볍다. 이 작은새는 늘 마을에 깃들면서 내내 벌레잡이를 한다. 참새가 날기에 논밭이 푸르고, 참새가 노래하기에 밤낮이 흐르는 길을 알아본다.
적잖은 새는 치이거나 부딪혀서 죽는다. 죽음물을 탄 모이를 쪼다가 죽기도 한다. 논밭에 뿌려대는 죽음물에 곧장 목숨을 빼앗기기도 한다. 우리는 참새 한 마리가 죽어도 안 쳐다보거나 아예 모른다. 참새 두셋이나 열스물이 죽어도, 참새 온(100)이나 즈믄(1000)이 죽어도 까맣게 모른다.
들과 마을에서 참새가 죽고, 들숲에서 참나무가 죽고, 온누리에서 참사람이 죽어나갈 수 있다. 참하거나 착하지 않은, 그러니까 ‘척하는’ 무리가 힘을 뻗는 듯 보인다. 겉보기로는 참빛은 거짓빛에 가리거나 눌린 듯하다. 그러나 드센 거짓빛일수록 후줄근하다. 허울스런 거짓일수록 껍데기만 단단하고 반들거린다.
겉글이란 거짓글이고, 껍데기책이란 거짓책이다. 점잖게 빼입기에 점잖지 않다. 차분하고 참하게 살림을 짓는 사랑일 적에 비로소 차분하고 참하다. 참새를 잊고 등지는 나라에서는 글쓴이도 글읽는이도 나란하게 스스로 가둔다.
작은새를 눈여겨보는 마음이기에 작은이(소수자)가 누구인지 알아본다. 작은이란 누구보다도 ‘어린이’이다. 어린이 이야기를 짚거나 다룰 적에 비로소 작은길을 밝힌다. 우리 스스로 ‘어린이’라고 하는 작은씨를 등지기에, 바로 남이 아닌 내가 나를 괴롭히고 누르면서 이웃과 동무를 함께 잊고 말기에, 작은새도 작은이도 못 보고 못 느끼는 굴레를 뒤집어쓴다.
이제 봄제비는 거의 다 새끼제비를 돌보아서 날갯짓을 시킨다. 함께 파란하늘을 가르는 제비떼가 있으니, 이 나라는 아직 앞길이 조금은 밝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