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6.19.

숨은책 1056


《시사만평 2호》

 이명숙 엮음

 사시평론사

 1990.2.1.



  낱말책을 뒤적이는 한자말 ‘시사’가 열여섯 가지나 있습니다. 이 가운데 세 가지는 쓰지만 열세 가지는 아예 쓸 일이 없습니다. 《시사만평 2호》라는 작은책에 붙은 ‘시사(時事)’입니다. 요즈음에도 ‘시사만평’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쓰는데, 거의 ‘정치·사회’를 그림감으로 삼습니다. “크게 벌어진 일”은 으레 나라지기나 벼슬아치하고 얽힙니다. 가만히 본다면 ‘정치·사회를 비꼬면서 속눈을 틔우’려는 붓끝일 테지만, 곰곰이 다시 본다면 ‘정치·사회에 파묻히고 비꼼붓에 사로잡혀서 그만 우리 보금자리·마을·터전·들숲메바다는 모조리 잊거나 등지’려는 붓끝과 같습니다. 모든 ‘시사만평’은 으레 날마다 나오는데, 날마다 이 붓끝을 펴려고 ‘새뜸(신문)’을 뒤적입니다. 몸소(직접경험) 부대끼거나 찾아보는 붓끝이 아닌, 거쳐서(간접경험) 얻은 몇 가지 조각을 잇는 얼거리예요. 또한 모든 붓끝이 서울에 쏠립니다. 서울 한복판에서 나라일(정치·사회)을 꾸린다고 여기느라 온통 서울 목소리인데, 이러다 보니 시골에서 터지는 말썽거리는 아예 눈감거나 놓치거나 흘리기 일쑤요, 무엇보다도 우리가 새롭게 살림을 가꾸고 사랑으로 삶을 짓는 길을 붓끝으로 안 담거나 못 담습니다. ‘싸워서 없앨 놈’만 다루려고 한다면 오히려 얕지 않을까요? ‘살면서 풀 이야기’를 다뤄야 비로소 참다이 ‘살림붓(시사만평)’이지 않을까요?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목각인형



 각광을 받는 목각인형으로는 → 눈길을 받는 나무둥이로는

 특색 있는 목각인형을 전시하는 중이다 → 남다른 작은나무를 선보인다

 목각인형의 세계로의 초대에 → 작은사람 나라로 모셔서


목각인형 : x

목각(木刻) : 1. 나무에 그림이나 글자 따위를 새기는 일. 또는 거기에 새긴 그림이나 글자 ≒ 나무새김 2. [미술] 나무에 새긴 그림 = 목각화 3. [미술] 중국의 목판화를 이르는 말 4. [매체] 나무에 새긴 활자 = 목각 활자

인형(人形) : 1. 사람이나 동물 모양으로 만든 장난감 2. 사람의 형상 3. 예쁘고 귀여운 아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역사] 뼈, 돌, 진흙 따위로 사람의 얼굴이나 몸체를 본떠 만든 고대의 우상(偶像)



  나무를 깎아서 마련하는 장난감이 있어요. 이때에는 ‘나무둥이’라 할 만합니다. 수수하게 ‘작은나무·잔나무’라 할 수 있고, ‘장난감’이라고만 해도 됩니다. 따로 ‘작은이·작은사람·작은별·작은빛·작은님’처럼 가리켜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원래 지역 산업은 목각인형이니까요

→ 예부터 마을일은 나무둥이니까요

→ 워낙 마을에서 작은나무를 깎았어요

《행복은 먹고자고 기다리고 4》(미즈나기 토리/심이슬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 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목로주점



 결코 시시한 목로주점은 아니었다 → 그리 시시한 널술집은 아니었다

 노천 목로주점에서 마시기 위해서 → 길가 시렁술집에서 마시려고


목로주점(木?酒店) : 목로를 차려 놓고 술을 파는 집 ≒ 목로술집·목롯집

목로(木?) : 주로 선술집에서 술잔을 놓기 위하여 쓰는, 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 ≒ 목로판·주로



  널을 한자말로 ‘목로’라 하고, 술집을 한자말로 ‘주점’이라 하기에 ‘목로주점’인 얼개입니다. 그러면 우리로서는 ‘술널·술시렁’이나 ‘술집·술가게·선술집’이라 하면 됩니다. ‘널술집·시렁술집’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널집·시렁집’이라 할 만하지요. 수수하게 ‘작은술집·작은술칸’이라 할 만합니다.



목로집에서 새벽 장꾼들과 어울려 뜨거운 해장국을 마셨다

→ 시렁집에서 새벽 저잣꾼과 어울려 속풀이국을 마셨다

→ 널술집에서 새벽 장사꾼과 어울려 술풀이국을 마셨다

《달넘세》(신경림, 창작과비평사, 1985) 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18. 잔소리를 하다



  새뜸나름이(신문배달)를 한창 하던 1999년에 첫 이야기꽃(강의)을 폈다. 하루 두 시간 이야기로 그날 20만 원을 받았고, 새뜸나름이 일삯이 31만 원이었으니 목돈이다. 그때 나로서는 석 달치 책값을 번 셈이었다. 그날부터 오늘 2025년 6월 18일까지 이야기꽃을 꽤 폈는데, 오늘 처음으로 이야기를 멈추고서 잔소리를 했다.


  나는 혼자 말하기를 안 바라기에, 듣는 사람이 문득 말을 터뜨리면 기꺼이 기다리며 듣는다. 오늘은 초등3∼4년 어린씨가 수다조차 아닌 ‘함부로’를 10분쯤 이으시기에 자리에서 일어섰다. 이러고서 30분 동안 아뭇소리를 내지 말라 이르고는 잔소리를 나지막히 들려주었다.


  장난을 넘어설 만큼 마구 구는 아이를 보면, 집에서부터 사랑받지 못 하느라 쌓인 불길이 대단하다. 그래서 5분쯤은 불풀이를 해도 넉넉하다고 느낀다. 그러나 혼자 10분 넘게 불풀이라면 학교에 다닐 까닭이 없다. 일자리를 찾아서 집을 일찌감치 떠나야지. 또는 엄마아빠한테 큰소리를 쳐서 아이 스스로 저희 집을 바꾸어야 한다.


  아이는 집에서 엄마아빠한테 큰소리로 “난 사랑받으려고 태어났어! 난 시달리거나 따돌림받으려고 태어나지 않았어!” 하고 외칠 노릇이다.


  나는 이미 어릴적에 우리 아버지한테 이렇게 외쳤고, 틈틈이 외쳤으며, 우리 아버지가 여든 살이 넘어도 철이 안 들기에, 아버지란 나한테 없는 사람이라고 여긴다.


  타이르거나 달래며 함께 살림을 지으려 하기에 잔소리를 한다. 잔소리란 살림소리이다. 잔소리를 못 받아들이는 사람은 언제나 속없이 겉치레로 흐르더라. 오늘날 숱한 사람들은 잔소리를 못 견뎌 하는데, 그만큼 안 배우겠다면서 철없이 구는 짓이다. 잔소리를 받아들여야 철이 들면서 스스로 배운다.


  큰소리는 와장창 허물고서 아예 새로 세워야 할 때에 터뜨린다. 다시 태어나야 하기에 호통치며 꾸짖는다. 큰소리는 바로 어른과 어버이가 아이한테서 들어야 한다.


  시골아이가 걸어다니기를 빈다. 서울아이도 걸어다니기를 빈다. 아이들이 안 걸으니 도무지 철이 안 든다. 어른이란 몸이지만 땀내며 걷는 일이 사라지니, 몸뚱이는 크고 나이는 많지만 철없이 굴며 나뒹군다. 그대가 어른이라면 자가용을 버리든지 적게 타든지 자주 걷고 자전거를 타며 땀을 뺄 노릇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17. 어떻게 쓰나요



  누구나 이웃님이라고 여긴다. 내가 쓴 책을 사주는 분도 안 사고 안 읽는 분도 다 다르게 이웃님이다. 내 책을 사주는 분을 만나면 그곳에서 바로 바람과 해와 별과 비와 흙과 풀과 꽃과 나무와 나비와 벌레한테 묻는다. “오늘 마주하는 이분한테 어떻게 넉줄글을 적어서 건네며 함께 즐거울까?”


  마음으로 묻고서 마음으로 듣는다. 마음으로 들으면서 마음으로 쓴다. 마음으로 읽고 새기고 나누고 문득 눈을 감는다. 어느 이웃숨빛이 나한테 목소리를 들려주었을까. 나는 어느 이웃숨빛하고 속으로 마주했을까.


  오늘 이곳을 쓴다. 오늘 만나는 하늘빛을 쓴다. 오늘 너랑 나는 눈빛으로 읽고 듣고 말하고 쓴다. 어제부터 이은 마음을 쓰고는, 이제부터 걸어갈 마음을 쓴다.


  어느 말에든 마음을 담으니, 어느 곳에서 어느 이웃님을 만나서 어느 말을 나누든, 스스로 눈을 뜨고서 함께 길을 연다. 고흥읍 나래터로 나와서 책을 부치고서 집으로 돌아간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