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18. 잔소리를 하다
새뜸나름이(신문배달)를 한창 하던 1999년에 첫 이야기꽃(강의)을 폈다. 하루 두 시간 이야기로 그날 20만 원을 받았고, 새뜸나름이 일삯이 31만 원이었으니 목돈이다. 그때 나로서는 석 달치 책값을 번 셈이었다. 그날부터 오늘 2025년 6월 18일까지 이야기꽃을 꽤 폈는데, 오늘 처음으로 이야기를 멈추고서 잔소리를 했다.
나는 혼자 말하기를 안 바라기에, 듣는 사람이 문득 말을 터뜨리면 기꺼이 기다리며 듣는다. 오늘은 초등3∼4년 어린씨가 수다조차 아닌 ‘함부로’를 10분쯤 이으시기에 자리에서 일어섰다. 이러고서 30분 동안 아뭇소리를 내지 말라 이르고는 잔소리를 나지막히 들려주었다.
장난을 넘어설 만큼 마구 구는 아이를 보면, 집에서부터 사랑받지 못 하느라 쌓인 불길이 대단하다. 그래서 5분쯤은 불풀이를 해도 넉넉하다고 느낀다. 그러나 혼자 10분 넘게 불풀이라면 학교에 다닐 까닭이 없다. 일자리를 찾아서 집을 일찌감치 떠나야지. 또는 엄마아빠한테 큰소리를 쳐서 아이 스스로 저희 집을 바꾸어야 한다.
아이는 집에서 엄마아빠한테 큰소리로 “난 사랑받으려고 태어났어! 난 시달리거나 따돌림받으려고 태어나지 않았어!” 하고 외칠 노릇이다.
나는 이미 어릴적에 우리 아버지한테 이렇게 외쳤고, 틈틈이 외쳤으며, 우리 아버지가 여든 살이 넘어도 철이 안 들기에, 아버지란 나한테 없는 사람이라고 여긴다.
타이르거나 달래며 함께 살림을 지으려 하기에 잔소리를 한다. 잔소리란 살림소리이다. 잔소리를 못 받아들이는 사람은 언제나 속없이 겉치레로 흐르더라. 오늘날 숱한 사람들은 잔소리를 못 견뎌 하는데, 그만큼 안 배우겠다면서 철없이 구는 짓이다. 잔소리를 받아들여야 철이 들면서 스스로 배운다.
큰소리는 와장창 허물고서 아예 새로 세워야 할 때에 터뜨린다. 다시 태어나야 하기에 호통치며 꾸짖는다. 큰소리는 바로 어른과 어버이가 아이한테서 들어야 한다.
시골아이가 걸어다니기를 빈다. 서울아이도 걸어다니기를 빈다. 아이들이 안 걸으니 도무지 철이 안 든다. 어른이란 몸이지만 땀내며 걷는 일이 사라지니, 몸뚱이는 크고 나이는 많지만 철없이 굴며 나뒹군다. 그대가 어른이라면 자가용을 버리든지 적게 타든지 자주 걷고 자전거를 타며 땀을 뺄 노릇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