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0. 입틀막 하는 자유화
서울에서는 예전 대통령이 ‘올라오시’면서 한껏 잔치판이라 한다. ‘서울국제도서전’을 사유화로 거머쥐려는 이들은 도종환 씨도 옆구리에 끼고서 활짝 웃는다. 이분들은 ‘도서전 사유화 반대’라는 작은소리를 내는 사람을 보고서 ‘관변단체’라거나 ‘출판노조’ 쪽 아니냐고 지청구를 한다.
고개를 갸우뚱한다. 출판노조 사람이 어떻게 관변단체와 손을 잡지? 말이나 되는가? 예전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꾼을 거느려서 기념사진을 쏟아내어 새뜸(언론)에 뿌리는 이들이야말로 관변단체이지 않은가?
작가와 출판단체라면, 누구를 지지하건 말건 누가 뽑히건 말건, 책잔치 자리에는 정치인과 지자체장은 그저 손님 하나로만 받아야 할 뿐, 기념사진도 기념사도 안 해야 마땅하다. 관변과 금을 그어야 책과 말이 제자리이지 않은가?
책잔치 임자(주인공)는 유명작가나 대형출판사가 아니며, 이분들일 수 없다. 책잔치에는 예전 대통령이나 정치꾼이 찰칵찰칵 찍으면서 웃음마당을 벌이는 곳이 아니며, 이럴 수도 없다. 모든 글지기와 책지기와 책집지기와 책손, 이렇게 넷이 어깨동무로 너나없이 어울릴 노릇인 책잔치여야 맞고 마땅하다.
‘도서전 사유화(서울국제도서전·부산국제아동도서전)’가 거리끼지 않다면 ‘수다판(자유토론)’을 나라 곳곳에서 벌여야 마땅하다. 뒤(밀실)에서 기자들한테 밥사주고 모시면서 보도자료만 내는 일이야말로 관변단체 모습이라고 느낀다.
‘도서전 사유화 반대 이야기마당’을 막으려는 그들은 무엇이 구려서 숨겨야 하기에 안절부절을 못 하는지, 그야말로 딱하다. 반대 목소리에 귀기울여야 출판인 아닌가? 반대 목소리를 찍어누르려는 그대들은 관변일 뿐 아니라 독재라고 느낀다. 누가 입틀막을 하겠는가? 참(진실)이 두려우니 뒤에서 수군거리는구나 싶다. 참낯이 드러날까 싶어서 들숲을 모두 불태우려고 하는구나.
https://blog.naver.com/no_priv_sibf/223896590508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