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나의 봄 2
Takeru ATSUMI 지음, 오경화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4년 7월
평점 :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6.29.
책으로 삶읽기 1023
《작은 나의 봄 2》
아츠미 타케루
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7.30.
《작은 나의 봄 2》(아츠미 타케루/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을 돌아본다. 작은아이가 작은몸으로 작은길을 걸어가면서 작은꿈을 작은씨로 심어서 작은빛으로 일구는 하루를 차분히 들려주는 줄거리이다. 모든 사람은 다르고, 모든 풀과 나무는 다르다. 해바라기나 모시처럼 껑충껑충 솟는 풀꽃이 있다면, 민들레나 꽃다지나 토끼풀처럼 나즈막이 어울리는 풀꽃이 있다. 더 나은 풀꽃이 없고, 더 나쁜 풀꽃이 없다. 저마다 스스로 피어나는 꽃길을 바라보면서 비바람길을 받아들이는 삶이다. 얼핏 보면 봄 같지 않을 수 있지만, 작은아이한테는 작은봄이다. 그렇다면 큰아이한테는 큰봄일까? 아니다. 큰아이한테도 작은봄이다. 큰아이한테도 작은길이요 작은씨앗이다. 두 아이는 다른 몸이기에 다른 마음이지만, 나란히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는 숨빛으로 만난다. 겉모습이 아닌 속마음을 들여다보려는 눈망울이기에 손을 맞잡고 어깨동무를 한다.
‘설령 이번 일이 잘못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해도, 나는 앞으로 단 한 번도 실수를 저지르지 않고 살 수 있을까?’ (51쪽)
‘나는 사람들이 결과밖에 봐주지 않는 것이 못 견디게 싫었던 주제에, 그 누구보다도 결과에 집착하고 있었다는걸.’ (111쪽)
‘최고다! 지는 것 최고. 공 걷어내지는 것 최고.’ (115쪽)
#小さい僕の春 #渥美駿
+
특히나 남학생들한테는 동경의 대상이다
→ 더구나 머스마들이 바라본다
→ 게다가 사내들이 좋아한다
5쪽
넌더리가 날 정도의 열량이었다고 한다
→ 넌더리가 날 만한 볕살이었다고 한다
→ 넌더리가 날 듯한 불살이었다고 한다
74쪽
난 타고난 재능이라는 어드밴티지를 갖고도 자신의 한계를 아는 것으로부터 도망치고
→ 난 남보다 타고난 재주가 있어도 내 바닥을 알면서 내빼고
→ 난 타고난 솜씨가 더 있지만 내 담벼락을 알면서 달아나고
112쪽
성실하게 생긴 외모를 갖고 있지만
→ 참하게 생긴 얼굴이지만
→ 반듯하게 생겼지만
121쪽
벌써 이렇게나 팀을 통솔하고 있다니
→ 벌써 이렇게나 모두를 이끌다니
→ 벌써 이렇게나 모임을 꾸리다니
158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