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26 : 지방 대도시 도서관 붐 괄목 성장 졌 지방 소도시 특히 주민 여전 문화 것 문화공간 부족
지방 대도시에서는 도서관 붐이라고 할 만큼 괄목할 만한 성장이 이어졌지만 지방 소도시, 특히 주민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여전히 책문화라고 할 만한 것도, 책 문화공간도 부족했다
→ 다른 큰고장은 책숲바람이라고 할 만큼 눈부시게 커졌지만 바깥쪽, 더욱이 사람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아직 책살림도 책터도 모자랐다
→ 고장 큰곳은 책숲바람이라고 할 만큼 부쩍 자랐지만 작은곳, 더구나 사람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아직 책살림도 책마당도 적었다
《작은 책방, 우리 책 쫌 팝니다!》(백창화·김병록, 남해의봄날, 2015) 25쪽
살림집이 모여 이루는 ‘마을’은 크기에 따라서 ‘고을’과 ‘고장’으로 가릅니다. 마을이 모이기에 고을이요, 고을이 모이기에 고장이에요. 큰곳이라면 아무래도 ‘고장’이라 할 테고, 작은곳이라면 ‘고을’일 테지요. 서울하고 먼 고을이나 고장은 그저 ‘고장·고을’이나 ‘큰곳·작은곳’이라 할 만합니다. 온나라에 책숲이 알맞게 퍼지기도 하고, 즐겁게 깃들기도 합니다. 아직 책터가 모자란 곳도 많습니다만, 차근차근 숲빛과 책빛이 자리잡으리라고 봅니다. ㅍㄹㄴ
지방(地方) : 1. 어느 방면의 땅 2. 서울 이외의 지역 ≒ 주현(州縣) 3.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대도시(大都市) : 지역이 넓고 인구가 많은 도시 ≒ 대도
도서관(圖書館) : 온갖 종류의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따위의 자료를 모아 두고 일반이 볼 수 있도록 한 시설
붐(boom) : 어떤 사회 현상이 갑작스레 유행하거나 번성하는 일. ‘대성황’, ‘대유행’, ‘성황’으로 순화
괄목(刮目) : 눈을 비비고 볼 정도로 매우 놀람
성장(成長) : 1. 사람이나 동식물 따위가 자라서 점점 커짐 2. 사물의 규모나 세력 따위가 점점 커짐 3. [생물] 생물체의 크기·무게·부피가 증가하는 일. 발육(發育)과는 구별되며, 형태의 변화가 따르지 않는 증량(增量)을 이른다
소도시(小都市) : 작은 규모의 도시
특히(特-) : 보통과 다르게
주민(住民) : 1. 일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 2. [법률] 30일 이상 거주할 목적으로 일정한 주소 또는 거주지를 가진 사람
여전(如前) : 전과 같다
문화(文化) : 1.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 2. 권력이나 형벌보다는 문덕(文德)으로 백성을 가르쳐 인도하는 일 3. 학문을 통하여 인지(人智)가 깨어 밝게 되는 것
공간(空間) : 1. 아무것도 없는 빈 곳 2.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 3. 영역이나 세계를 이르는 말
부족(不足) : 필요한 양이나 기준에 미치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