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80 : -들 부족함


물소들은 부족함 없이 지냈어

→ 물소는 아쉽지 않게 지냈어

→ 물소는 근심없이 지냈어

→ 물소는 걱정없이 지냈어

《사자와 세 마리 물소》(몽세프 두이브·메 앙젤리/성미경 옮김, 분홍고래, 2014) 2쪽


어느 갈래나 쪽이나 자리를 따로 다룰 적에는 ‘새는’이나 ‘나무는’이나 ‘물소는’이나 ‘구름은’이나 ‘송사리는’처럼 씁니다. 이때에는 굳이 ‘-들’을 안 붙여요. “부족함 없이”는 옮김말씨예요. “안 모자라게”로 손볼 수 있고, “아쉽지 않게”나 ‘걱정없이’로 손볼 만합니다. ㅍㄹㄴ


부족(不足) : 필요한 양이나 기준에 미치지 못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81 : 다양 요구 충족시키기 역부족 것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것이다

→ 여러 가지를 채우기에는 힘이 모자라다

→ 이모저모 바라기에는 힘이 부친다

→ 온갖 목소리를 받아들일 힘은 달린다

《참 교육의 돛을 달고》(찌까즈 께이시/김성원 옮김, 가서원, 1990) 33쪽


여러 가지를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힘이 부치거나 모자라서 이모저모 못 바랄 만합니다. 아직 힘이 달리기에 온갖 목소리를 듣거나 받기에 버거울 수 있어요. 이때에는 하나씩 받아들이면 됩니다. 한꺼번에 몽땅 받으려 하지 않으면 되어요. 차근차근 맞이하고 추스르면서 북돋울 일입니다. ㅍㄹㄴ


다양하다(多樣-) : 모양, 빛깔, 형태, 양식 따위가 여러 가지로 많다

요구(要求) : 1. 받아야 할 것을 필요에 의하여 달라고 청함. 또는 그 청 2. [법률] 어떤 행위를 할 것을 청함 3. [심리] 유기체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생활체의 내부 원인

충족(充足) : 1. 넉넉하여 모자람이 없음 2. 일정한 분량을 채워 모자람이 없게 함

역부족(力不足) : 힘이나 기량 따위가 모자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86 : 해안 지방 고난의 조짐 있었


해안 지방에 사는 모든 개들에게 고난의 조짐이 보이고 있었다

→ 바닷가에 사는 모든 개한테 가시밭길이 닥치려 한다

→ 바닷마을에 사는 모든 개는 곧 가싯길을 맞을 듯하다

→ 바닷마을 모든 개는 이윽고 바람서리를 맞을 듯하다

《야성의 부름》(잭 런던/햇살과나무꾼 옮김, 시공주니어, 2015) 9쪽


바다하고 닿은 곳은 ‘바닷가’입니다. 바닷가에 이룬 마을은 ‘바닷마을’입니다. “고난의 조짐이 보이고 있었다”는 일본말씨예요. “가시밭길이 보인다”로 손볼 만하고, 앞말을 헤아려 “가시밭길이 닥치려 한다”로 더 손볼 만합니다. ㅍㄹㄴ


해안(海岸) : 바다와 육지가 맞닿은 부분 ≒ 연해안·해서(海?)

지방(地方) : 1. 어느 방면의 땅 2. 서울 이외의 지역 ≒ 주현(州縣) 3.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고난(苦難) : 괴로움과 어려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고초·난고

조짐(兆朕) : 좋거나 나쁜 일이 생길 기미가 보이는 현상 ≒ 조상(兆祥)·늧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87 : 신중 것 -의 특징이었


신중한 것은 벅의 특징이었다

→ 벅은 꼼꼼하다

→ 벅은 빈틈이 없다

→ 벅은 차분하다

《야성의 부름》(잭 런던/햇살과나무꾼 옮김, 시공주니어, 2015) 53쪽


차분히 짚으면 옮김말씨나 일본말씨가 끼어들지 않습니다. 서두르거나 바쁜 탓에, 멋을 부르거나 잘 보이려고 하면서 얄궂게 마련입니다. “신중한 것은 + 벅의 특징이었다”를 보면, 임자말하고 풀이말이 어긋납니다. 우리말씨로는 임자말을 “벅은”으로 놓고, 풀이말을 “꼼꼼하다·차분하다(←신중)”로 놓습니다. “벅의 특징”하고 “신중한 것”은 일본말씨예요. “벅은 차분하다”라든지 “벅은 꼼꼼하다”라든지 “벅은 가만히 짚는다”라든지 “벅은 곰곰이 본다”로 손볼 만합니다. ㅍㄹㄴ


신중(愼重) : 매우 조심스러움

특징(特徵) : 1. 다른 것에 비하여 특별히 눈에 뜨이는 점 2. [역사] 임금이 벼슬을 시키려고 특별히 부르던 일 3. [음악] = 토리 4. [북한어] [논리] ‘필요충분조건’의 북한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88 : 자비 통하는 -었


자비는 따뜻한 땅에서나 통하는 말이었다

→ 사랑은 따뜻한 땅에서나 하는 말이다

→ 따뜻한 땅에서나 너그러울 뿐이다

→ 따뜻한 땅에서나 따사로울 뿐이다

《야성의 부름》(잭 런던/햇살과나무꾼 옮김, 시공주니어, 2015) 78쪽


따뜻한 땅에서 따뜻할 테지요. 날씨가 따뜻하니 마음도 말도 따뜻하다고 여기곤 합니다. 그러나 어떤 날씨이건 누구나 스스로 따뜻하거나 포근할 만합니다. 날씨는 따뜻한 고장인데, 사람들 마음은 오히려 차갑거나 메마르기도 합니다. 하루하루 어떤 말씨로 스스로 다스리면서 나누는 마음인지 돌아볼 일입니다.


자비(慈悲) : 1. 남을 깊이 사랑하고 가엾게 여김 2. [불교]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고 괴로움을 없게 함

통하다(通-) : 2. 말이나 문장 따위의 논리가 이상하지 아니하고 의미의 흐름이 적절하게 이어져 나가다 5. 어떤 행위가 받아들여지다 9. 마음 또는 의사나 말 따위가 다른 사람과 소통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