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트리히 본회퍼, 옥중서신저항과 복종, 김순현 옮김, 복 있는 사람, 2022(7).

 

브뢰겔Brueghel(235)

 

브뤼헐Brueghel

 

피터르 브뢰겔(Pieter Brueghel)(421, 미주 196)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hel)

 

인명을 바로잡았다.

 

국립국어원의 로마 인명 표기를 볼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칼 바르트, 기도, 오성현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10).

 

보십시오. 이것이 바로 이 몇 마디 단어 안에 담긴 그분과 관계된 의미입니다. 우리가 지금 그분께 향하는 것은 우리 자신의 동기에 의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렇게 하도록 초대받고 부르심을 받았기 때문입니다.(78)

 

보십시오. 이것이 바로 이 몇 마디 말에 담긴 그분과 관계된 의미입니다. 우리가 지금 그분께 향하는 것은 우리 자신의 동기에 의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렇게 하도록 초대받고 부르심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독일어 원문: Seht, das ist in einigen Worten der, an den wir uns wenden, nicht aus unserem eigenen Antrieb, sondern weil wir eingeladen und aufgerufen sind, es zu tun.

 

번역을 바로잡았다.

 

Wort 복수(複數)의 차이:

 

Wort Wörter = 단어

 

Wort Worte =

 

 

주기도의 구어성(口語性)에 주의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디트리히 본회퍼, 옥중서신저항과 복종, 김순현 옮김, 복 있는 사람, 2022(7).

 

로이스달Ruysdael(211)

 

라위스달Ruysdael

 

야콥 반 로이스달(419, 미주 170)

 

야코프 판 라위스달

 

인명을 바로잡았다.

 

국립국어원의 로마 인명 표기를 볼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디트리히 본회퍼, 옥중서신저항과 복종, 김순현 옮김, 복 있는 사람, 2022(7).

 

그건 그렇고, 나는 슈티프터 덕분에 순진함Einfalt단순함Einfachheit의 차이를 분명히 알게 되었네. (“시민적인 것단순한것처럼) 슈티프터도 순진하지 않고 단순하다네. “순진함(신학적 의미에서도) 미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네. (빙켈만Winckelmann이 고대 예술을 고귀한 순진함으로 정의한 것은 정당한가? [하지만 예컨대 라오콘과 관련해서는 전혀 그렇지 않네] “정적인 위대함이라는 그의 표현은 아주 좋더군.) “단순함은 윤리적 개념이네. “단순함은 되는 것werden이고, “순진함은 그냥 존재하는 것sein이라고 할 수 있네. [...] 반면에 순진함은 하나의 선물이네. [...] 그것은 순진함과 마찬가지로 전체성 개념이라고 할 수 있네.(210-211)

 

그건 그렇고, 나는 슈티프터 덕분에 단순함Einfalt소박함Einfachheit의 차이를 분명히 알게 되었네. (“시민적인 것소박한것처럼) 슈티프터도 단순하지 않고 소박하다네. “단순함(신학적 의미에서도) 미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네. (빙켈만Winckelmann이 고대 예술을 고귀한 단순함으로 정의한 것은 정당한가? [하지만 예컨대 라오콘과 관련해서는 전혀 그렇지 않네] “정적인 위대함이라는 그의 표현은 아주 좋더군.) “소박함은 윤리적 개념이네. “소박함은 되는 것werden이고, “단순함은 그냥 존재하는 것sein이라고 할 수 있네. [...] 반면에 단순함은 하나의 선물이네. [...] 그것은 단순함과 마찬가지로 전체성 개념이라고 할 수 있네.

 

독일어 원문: Übrigens ist mir an Stifter der Unterschied zwischen Einfalt und Einfachheit deutlich geworden. Stifter ist nicht einfältig, sondern einfach (ebenso wie das »Bürgerliche« »einfach« ist). »Einfalt« ist (auch im Theologischen) eher ein ästhetischer Begriff, (hatte Winckelmann eigentlich recht für die antike Kunst mit der Definition der »edlen Einfalt«? doch bestimmt nicht in bezug z.B. auf den Laokoon, »stille Größe« finde ich sehr gut) »Einfachheit« ist ein ethischer Begriff. »Einfach« kann man werden, »einfältig« kann man nur sein. [...] Einfalt ist ein Geschenk. [...] es ist wie »Einfalt« ein Ganzheitsbegriff; [...].

 

번역을 바로잡았다.

 

Einfalt = (빙켈만의 용어) 단순함

 

 

아래, 논문을 볼 것:

 

김대권, 빙켈만과 헤르더의 고대 그리스관, 한국괴테학회, <괴테연구>, 2005(17), 137-164: 1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디트리히 본회퍼, 옥중서신저항과 복종, 김순현 옮김, 복 있는 사람, 2022(7).

 

나는 이런 상상을 자주 하네. 이를테면 자연 속에서, 그것도 중간급 산악지대, 곧 프리드리히스브룬 근처의 숲 속 풀밭에서 살거나, 브로켄 산 위의 트레제 성이 건너다보이는 비탈에서 사는 것이지.(209)

 

나는 이런 상상을 자주 하네. 이를테면 자연 속에서, 그것도 중간급 산악지대, 곧 프리드리히스브룬 근처의 숲 속 풀밭에서 살거나, 트레제 성 너머로 브로켄 산이 보이는 비탈에서 사는 것이지.

 

독일어 원문: In meinen Phantasien lebe ich viel in der Natur, d.h. in den Waldwiesen bei Friedrichsbrunn oder auf den Hängen, von denen aus man über Treseburg auf den Brocken sieht.

 

번역을 바로잡았다.

 

von A aus über B auf C sehen

 

= A에서 B를 너머 C를 보다

 

von denen[=den Hängen] aus man über Treseburg auf den Brocken sieht

 

= 언덕들로부터 사람들은 트레제부르크 성() 너머로 브로켄 산을 바라본다.

 

 

아래, 지도를 볼 것:

 

두 지점의 거리:

 

트레제부르크 성 브로켄 산 = 13k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