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42, 각주 12

 

H. Leumann, Pietismus und weltliche Ordnung in Württemberg vom 17. Bis zum 20. Jahrhundert, Stuttgart 1969.

 

H. Leumann, Pietismus und weltliche Ordnung in Württemberg vom 17. bis zum 20. Jahrhundert, Stuttgart 1969.

 

서지 정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경건한 열망신학적 초안’(theologischen Entwurf)으로 해석하며(43)

 

경건한 열망신학적 초안’(theologischer Entwurf)으로 해석하며

 

독일어 원문: die als „theologischen Entwurf“ interpretierten Pia Desideria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누구보다도 알브레히트 리츨(Albrecht Ritsch, 1882-1889)(40)

 

누구보다도 알브레히트 리츨(Albrecht Ritschl, 1882-1889)

 

독일어 원문: vor allem Albrecht Ritschl

 

인명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세상 속에서의 금욕생활’(innerweltlichen Askese)이라는 개념으로(41)

 

세상 속에서의 금욕생활’(innerweltliche Askese)이라는 개념으로

 

독일어 원문: mit dem Begriff der „innerweltlichen Askese“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영어권에서 경건주의 역사[에른스트 스퇴플러(F. Ernst Stoeffler)]에 관해 가장 널리 알려진 최근의 서술(41)

 

영어권에서 경건주의 역사[어니스트 스퇴플러(F. Ernest Stoeffler)]에 관해 가장 널리 알려진 최근의 서술

 

독일어 원문: Die im englischsprachigen Raum verbreitetste neuere Darstellung der Geschichte des Pietismus (F.E. Stoeffler) [...].

 

번역자가 추가한 인명을 바로잡았다.

 

Fred Ernest Stoeffler = 독일계 미국 신학자

 

https://de.wikipedia.org/wiki/Ernest_Stoeffler

 

 

23쪽의 참고문헌을 볼 것:

 

Stoeffler, F. Ernest: The Rise of Evangelical Pietism, Leiden(1965), 219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