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안드레[]30년 전쟁 이후 제네바 모델을 기반으로 뷔르템베르크교회에 도입한 교회권징 제도는 경건한 사람들의 모임으로 차별화된 슈페너 경건주의의 일반적인 개선’(allgemeinen Besserung) 사상과는 결정적으로 다르다.(67)

 

안드레[]30년 전쟁 이후 제네바 모델을 기반으로 뷔르템베르크교회에 도입한 교회권징 제도는 일반적인 개선’(allgemeine Besserung) 사상에 의해 규정되었다. 이 사상과 경건한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이념으로 차별화된 슈페너 경건주의는 결정적으로 다르다.

 

독일어 원문: Die von Andreae nach dem Dreißigjährigen Krieg in die württembergische Kirche nach Genfer Vorbild eingeführte Kirchenzuchtordnung ist von jenem Gedanken der „allgemeinen Besserung“ bestimmt, von dem sich der Spenersche Pietismus mit seiner Idee der Sammlung der Frommen entscheidend abgesetzt hat.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특히 17세기 독일 루터교에서 가장 지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작가이자 경건주의 이전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교회 개혁가이던 요한 발렌틴 안드레애(Johann Valentin Andreae, 1586-1654)가 여기에 포함된다.(67)

 

특히 17세기 독일 루터교에서 가장 지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작가이자 경건주의 이전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교회 개혁가이던 요한 발렌틴 안드레에(Johann Valentin Andreae, 1586-1654)가 여기에 포함된다.

 

독일어 원문: Hierher gehört vor allem Johann Valentin Andreae (1586-1654), der geistvollste und ideenreichste Schriftsteller des lutherischen Deutschland im 17. Jahrhundert, zugleich der bedeutendste Kirchenreformer in vorpietistischer Zeit.

 

인명을 바로잡았다.

 

아래, 독일어 발음 사전을 볼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155.

 

 

이 책 전체의 안드래애를 모두 수정할 것:

 

67-67, 74, 112, 140, 206, 232, 3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이 논쟁은 1622튀빙겐의 신학자 루카스 오[]안더 2(Lukas Osiander II)신학적 고찰(Theologischen Bedenken)에서 절정에 달했다.(65)

 

이 논쟁은 1623 튀빙겐의 신학자 루카스 오[]안더 2(Lukas Osiander II)신학적 고찰(Theologisches Bedenken)에서 절정에 달했다.

 

독일어 원문: [...]. die[=Streitigkeiten] ihren Höhepunkt fanden in dem „Theologischen Bedenken“ (1622) des Tübinger Theologen Lukas Osiander II.

 

저자의 발행연도 오류를 바로잡고, 표제어를 수정했다.

 

 

301쪽 각주 1을 볼 것: 발행연도 = 1623

 

Theologisches Bedencken vnd christliche Treuhertzige Erinnerung, welcher Gestalt Johann Arndten genandtes Wahres Christenthumb nach Anleitung deß H. Worts Gottes vnd der reinen Evangelischen Lehr vnd Bekendtnüsse anzusehen, Tübingen 1623.

 

 

아래, 독일어 원본의 책 제목과 발행연도: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775494?page=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이 과정에서 그는 참된 기독교에서 다룬 신비주의적 텍스트(독일 신학, 그리스도를 본받아)와 인물(앙겔라 데 폴리노, 특히 제3권에서는 요한 타울러) 루터교 신앙고백의 기준에 따라 편집하고, 중세적인 인간적 상승 작용의 흔적을 모두 제거해버렸다. 이로써 그는 칭의 신앙을 전제로 하면서도 그것을 뛰어넘는 성화의 경건을 통해 하나님을 아는 신비주의의 길을 보여주었다.(63)

 

이 과정에서 그는 참된 기독교에서 다룬 신비주의적 텍스트(독일 신학, 그리스도를 본받아, 폴리뇨의 안젤라, 특히 제3권에서는 요한 타울러) 루터교 신앙고백의 기준에 따라 편집하고, 중세적인 인간적 협력설의 흔적을 모두 제거해버렸다. 이로써 그는 하나님을 아는 신비주의의 길을 칭의 신앙을 전제로 하면서도 그것을 뛰어넘는 성화의 경건이 되게 했다.

 

독일어 원문: Dabei hat er die in sein Wahres Christentum eingearbeiteten mystischen Texte (Theologia deutsch, Nachfolge Christi, Angela da Foligno, im dritten Buch besonders Johann Tauler) nach dem Maßstab der lutherischen Bekenntnisschriften so bearbeitet, daß jeder Anschein menschlichen Synergismus getilgt ist und aus dem mystischen Weg zur Gotteserkenntnis eine den Rechtfertigungsglauben voraussetzende, ihn aber überbietende Heiligungsfrömmigkeit wird.

 

번역을 바로잡았다.

 

 

59쪽의 번역을 볼 것:

 

원죄 교리를 부정하는 것처럼 보이는 문구와 신인협력설을 따르는 것처럼 보이는 일부 문구

 

독일어 원문: [e]inige nach Synergismus und Leugnung der Erbsündenlehre klingende Wendung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른트는 신비주의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사상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자기부인, 겸손, 침착, 은혜의 달콤함을 맛봄, 하나님과의 영혼의 합일)(63)

 

아른트는 신비주의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사상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자기부인, 아집을 죽임, 세상을 사랑하는 마음의 정화, 겸손, 침착, 은혜의 달콤함을 맛봄, 하나님과의 영혼의 합일)

 

독일어 원문: Arndt verwendet in reichem Maße Begriffe und Vorstellungen der Mystik (Selbstverleugnung, Absterben des Eigenwillens, Reinigung des Herzens von der Weltliebe, Demut, Gelassenheit, Schmecken der Süßigkeit der Gnade, Vereinigung der Seele mit Gott)

 

빠진 번역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