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고향 안할트로 돌아온 아른트는 처음에는 학교 교사로 활동했고, 1583년 발렌슈테트(Ballenstedt)에서 부목사가 되었으며, 바데보른(Badeborn)에서 목사로 임직했다. 칼뱅주의에 경도된 요한 게오르크 폰 안할트(Johann Georg von Anhalt, 1586-1618)가 세레식에서 행하던 구마 의식(Taufexorzismus)폐지하라고 요구했는데, 아른트만 유일하게 이 요구를 거부했다.(58)

 

고향 안할트로 돌아온 아른트는 처음에는 학교 교사로 활동했고, 1583년 발렌슈테트(Ballenstedt)에서 부목사가 되었으며, 1584 바데보른(Badeborn)에서 목사로 임직했다. 칼뱅주의에 경도된 군주 요한 게오르크 폰 안할트(Johann Georg von Anhalt, 1586-1618)가 세례식에서 행하던 구마 의식(Taufexorzismus)폐지하라고 자신의 목사들에게 요구했는데, 아른트만 유일하게 이 요구를 거부했다.

 

독일어 원문: In seine anhaltische Heimat zurückgekehrt, wurde Arndt wohl zuerst Schullehrer, 1583 Diakon in Ballenstedt und 1584 Pfarrer in Badeborn. Als der dem Calvinismus zuneigende Johann Georg von Anhalt (1586-1618) von seinen Pfarrern die Abschaffung des Taufexorzismus verlangte, verweigerte Arndt als einziger den Gehorsam und mußte Amt und Heimat verlassen.

 

빠진 번역을 보완하고, 도움말을 추가했다.

 

https://de.wikipedia.org/wiki/Johann_Arndt

 

https://de.wikipedia.org/wiki/Johann_Georg_I._(Anhalt-Dessau)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마르틴 켐니츠(Martin Chemnitz)저서에 따르면 그는 루터교 정통주의 신학을 배운 것으로 보인다.(58)

 

마르틴 켐니츠(Martin Chemnitz)저서를 보고 그는 루터교 정통주의 신학을 혼자서 습득한 것으로 보인다.

 

독일어 원문: Die Theologie der lutherischen Orthodoxie scheint er sich durch die Schriften des Martin Chemnitz angeeignet zu haben.

 

번역을 바로잡았다.

 

sich durch die Schriften des Martin Chemnitz aneignen

 

= 마르틴 켐니츠의 저작들을 통해 스스로 습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뷔르템베르크 경건주의에서는 1800년경에 환호의 기독교(Juchhe-Christentum)로 알려진 프레기저 추종자들[19세기 뷔르템베르크의 급진적 경건주의 공동체의 창시자 크리스티안 고트로프 프레기저(Christian Gottlob Pregizer, 1751-1824)를 따르는 무리를 일컫는다.옮긴이 주]영적 보물창고에서 힘을 얻었다.(53-54)

 

뷔르템베르크 경건주의에서는 1800년경에 환호의 기독교(Juchhe-Christentum)로 알려진 프레기처 추종자들[19세기 뷔르템베르크의 급진적 경건주의 공동체의 창시자 크리스티안 고트로프 프레기처(Christian Gottlob Pregizer, 1751-1824)를 따르는 무리를 일컫는다.옮긴이 주]영적 보물창고에서 힘을 얻었다.

 

독일어 원문: Im württembergischen Pietismus hat noch um 1800 das „Juchhe-Christentum“ der Pregizerianer seine Kraft aus der „Geistlichen Schatzkammer“ gezogen.

 

문장부호와 인명을 바로잡았다.

 

Pregizer = [ˈpreːɡɪtsɐ] = 프레기처

 

https://de.wikipedia.org/wiki/Christian_Gottlob_Pregizer

 

 

아래, ‘프레기저프레기저주의자도 바로잡을 것:

 

슈바르츠발트에 거주하고 있는 크리스티안 프레기저의 추종자들인 프레기저주의자들’(Pregizerianern)에 이르기까지(343)

 

슈바르츠발트에 거주하고 있는 크리스티안 프레기처의 추종자들인 프레기처주의자들’(Pregizerianer)에 이르기까지

 

독일어 원문: bis hin zu den im Schwarzwald ansässigen Anhängern von Christian Gottlob Pregizer (1751-1824), den „Pregizerianer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게르하르트의 경건주의적 경건 추구와 루터교 정통주의와의 관계는 마치 중세 신비주의와 중세 스콜라주의와의 관계와 같다.(52)

 

경건주의적 경건 추구와 루터교 정통주의와의 관계는 마치 중세 신비주의와 중세 스콜라주의와의 관계와 같다.

 

독일어 원문: Pietistisches Frömmigkeitsstreben verhält sich zur lutherischen Orthodoxie wie die mittelalterliche Mystik zur mittelalterlichen Scholastik.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루터교 신학에 접목한 게르하르트는 신학 주제(Loci theologici)에서 새로운 경건 죽은 정통주의에 반대하여 생겨나거나 심지어 그 뒤를 이은 반작용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통주의가 형성되기 시작했을 때 나타났으며 동시에 정통주의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음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었다.(52)

 

신학 주제(Loci theologici)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이 루터교 신학을 위해 열매 맺도록 했던 게르하르트에게서 새로운 경건 죽은 정통주의에 반대하여 생겨나거나 심지어 그 뒤를 이은 반작용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통주의가 형성되기 시작했을 때 나타났으며 동시에 정통주의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음을 가장 분명하게 읽어낼 수 있다.

 

독일어 원문: An Gerhard, der in seinen „Loci theologici“ die aristotelische Metaphysik für die lutherische Theologie fruchtbar machte, ist am deutlichsten abzulesen, daß die „neue Frömmigkeit“ nicht im Gegensatz zu einer „toten Orthodoxie“ oder auch als ihr zeitlich folgende Reaktion entstand, sondern gleichzeitig und komplementär zu der sich erst ausbildenden Orthodoxie.

 

번역을 바로잡았다.

 

an A ist abzulesen, daß B

 

= A에게서 B를 읽어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