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루터교 신학에 접목한 게르하르트는 신학 주제(Loci theologici)에서 새로운 경건 죽은 정통주의에 반대하여 생겨나거나 심지어 그 뒤를 이은 반작용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통주의가 형성되기 시작했을 때 나타났으며 동시에 정통주의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음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었다.(52)

 

신학 주제(Loci theologici)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이 루터교 신학을 위해 열매 맺도록 했던 게르하르트에게서 새로운 경건 죽은 정통주의에 반대하여 생겨나거나 심지어 그 뒤를 이은 반작용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통주의가 형성되기 시작했을 때 나타났으며 동시에 정통주의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음을 가장 분명하게 읽어낼 수 있다.

 

독일어 원문: An Gerhard, der in seinen „Loci theologici“ die aristotelische Metaphysik für die lutherische Theologie fruchtbar machte, ist am deutlichsten abzulesen, daß die „neue Frömmigkeit“ nicht im Gegensatz zu einer „toten Orthodoxie“ oder auch als ihr zeitlich folgende Reaktion entstand, sondern gleichzeitig und komplementär zu der sich erst ausbildenden Orthodoxie.

 

번역을 바로잡았다.

 

an A ist abzulesen, daß B

 

= A에게서 B를 읽어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고대교회와 중세 신비주의에서 영감을 받아 쓴 거룩한 묵상(Meditationes sacrae, 1606)17세기 말까지 14개 언어로 100여 차례 인쇄되었고, 루터교 정통주의 시대에 가장 널리 보급된 신앙 경건 서적으로 자리 잡았다.(52)

 

고대교회와 중세 신비주의에서 자료를 모아 쓴 거룩한 묵상(Meditationes sacrae, 1606)17세기 말까지 14개 언어로 100여 차례 인쇄되었고, 루터교 정통주의 시대에 가장 널리 보급된 신앙 경건 서적으로 자리 잡았다.

 

독일어 원문: Seine aus der altkirchlichen und mittelalterlichen Mystik geschöpften „Meditationes sacrae“ (1606), bis zum Ende des 17. Jahrhunderts in über hundert Ausgaben in vierzehn verschiedenen Sprachen nachgedruckt, sind das verbreitetste religiöse Erbauungsbuch im Zeitalter der lutherischen Orthodoxie.

 

번역을 바로잡았다.

 

aus der altkirchlichen und mittelalterlichen Mystik geschöpft

 

= 고대교회와 중세 신비주의에서 길어낸

 

 

아래, 글을 볼 것:

 

E. Koch, Therapeutische Theologie. Die Meditationes sacrae von Johann Gerhard (1606), in: PuN 13, 1988, 25-46: 39.

 

Udo Sträter, Meditation und Kirchenreform in der lutherischen Kirche des 17. Jahrhunderts, Tübingen 1995, 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른트의 제자이자 친구이며 예나대학교의 신학 교수로서 루터교 정통주의를 이끈 요한 게르하르트(Johann Gerhardt, 1582-1637)17세기 초 새로운 경건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51)

 

아른트의 제자이자 친구이며 예나대학교의 신학 교수로서 루터교 정통주의를 이끈 요한 게르하르트(Johann Gerhard, 1582-1637)17세기 초 새로운 경건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

 

독일어 원문: Zu den Bahnbrechern der „neuen Frömmigkeit“ des frühen 17. Jahrhunderts gehört auch Johann Gerhard (1582-1637), Schüler und Freund Johann Arndts, als Professor der Theologie in Jena der führende Kopf der lutherischen Orthodoxie.

 

인명을 바로잡았다.

 

https://de.wikipedia.org/wiki/Johann_Gerhard_(Theolog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마도 그는 자신의 세대에서 가장 강력하게 고대교회와 중세 신비주의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며, 그들의 텍스트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아우구스티누스-베른하르트식 예수 신비주의(Jesusmystik), 즉 에로틱한 형태의 신부 신비주의(Brautmystik)와 수난 신비주의(Passonsmystik)17세기 개신교에 정착시킨 당대의 가장 탁월한 저술가였을 것이다.(51)

 

아마도 그는 자신의 세대에서 가장 강력하게 고대교회와 중세 신비주의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며, 그들의 텍스트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아우구스티누스-베르나르식 예수 신비주의(Jesusmystik)신부 신비주의(Brautmystik)의 에로틱한 형식과 수난 신비주의(Passonsmystik)의 묵상적인 형식으로17세기 개신교에 정착시켰다.

 

독일어 원문: Wohl am kräftigsten in seiner Generation hat Moller an die altkirchliche und mittelalterliche Mystik angeknüpft, ihre Texte verdeutscht und damit die augustinisch-bernhardinische Jesusmystik, sowohl in der erotischen Form der Brautmystik wie in der meditativen Form der Passonsmystik, im Protestantismus des 17. Jahrhunderts heimisch gemacht.

 

번역을 바로잡았다.

 

인명에 주의할 것:

 

bernhardinisch < Bernhard von Clairvaux = Bernard de Clairvaux

 

= 클레르보의 베르나르

 

https://de.wikipedia.org/wiki/Bernhard_von_Clairvau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42, 각주 12

 

H. Leumann, Pietismus und weltliche Ordnung in Württemberg vom 17. Bis zum 20. Jahrhundert, Stuttgart 1969.

 

H. Leumann, Pietismus und weltliche Ordnung in Württemberg vom 17. bis zum 20. Jahrhundert, Stuttgart 1969.

 

서지 정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