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콘첼만, 신약성서신학, 김철손·박창환·안병무 옮김, 한국신학연구소, 1982.

 

예수생애의 마지막 주간에 관한 서술이 전체 공생애의 서술과 거의 같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을 전기적으로 판단하면 잘못이다.(168)

 

예수생애의 마지막 주간에 관한 서술이 전체 공생애의 서술과 거의 같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을 전기적으로 판단하면 균형이 맞지 않는다.

 

독일어 원문: Biographisch beurteilt ist es ein Mißverhältnis, wenn die Darstellung der letzten Wochen des Lebens Jesu fast soviel Raum beansprucht wie die des ganzen öffentlichen Auftretens.

 

번역을 바로잡았다.

 

Mißverhältnis = 불균형

 

https://www.dwds.de/wb/Missverh%C3%A4ltnis?o=Mi%C3%9Fverh%C3%A4ltni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르틴 슈미트, 경건주의, 구영철 옮김, 성광문화사, 1992.

 

확실히 이 경우에 있어서 신비적-신령주의의 성서 번역의 본보기가 눈에 띄었는데, 하인리히 호르헤의 마[]부르크 성경(1712)과 요한 하인리히 하우게베르부르크 성경 그리고 카[]미르 폰 자[]-[]트겐슈타인-베를레부르크 백작의 성경과 의사 칼 박사와 크리스토프 제박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성경 등이 그러하였다.(146)

 

확실히 이 경우에 있어서 신비적-신령주의의 성서 번역의 본보기가 눈에 띄었는데, 하인리히 호르히의 마[]부르크 성경(1712)과 요한 하인리히 하우크베를레부르크 성경[]미르 폰 자[]-[]트겐슈타인-베를레부르크 백작과 의사 칼 박사, 크리스토프 제바흐와 다른 사람들도 관여했던이 그러하였다.

 

독일어 원문: Sicherlich war dabei das Vorbild der mystisch-spiritualistischen Bibelbemühung gegenwärtig, der Marburger Bibel Heinrich Horches (1712) und der Berleburger Bibel Johann Heinrich Haugs, des Grafen Kasimir von Sayn-Wittgenstein-Berleburg, des Arztes Dr. Carl, Christoph Seebachs und anderer.

 

번역을 바로잡았다.

 

https://de.wikipedia.org/wiki/Heinrich_Horch

 

https://de.wikipedia.org/wiki/Berleburger_Bibe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르틴 슈미트, 경건주의, 구영철 옮김, 성광문화사, 1992.

 

그곳 []센에서 그는 전래된 아리스토렐레스-스토아적인, 이에 반하여 하나님 개념에 있어서 플라톤-신플라톤적인 교수방식을 반대하는 가운데, 명백하게 신비적-신령주의적 흐름에 의존하지 않았던 단순의 무지한 마음의 신학에 열중하였다.(145)

 

그곳 []센에서 그는 전래된 아리스토렐레스-스토아적인, 이에 반하여 하나님 개념에 있어서 플라톤-신플라톤적인 교수방식을 반대하는 가운데, 명백하게 신비적-신령주의적 흐름에 의존했던 단순의 무지한 마음의 신학에 열중하였다.

 

독일어 원문: Dort in Hessen wandte er sich im Gegensatz gegen die überlieferte aristotelisch-scholastische, im Gottesbegriff dagegen platonisch-neuplatonische Lehrweise einer ungelehrten Herzenstheologie der Einfalt zu, die in deutlicher Abhängigkeit von der mystisch-spiritualistischen Strömung stand.

 

번역을 바로잡았다.

 

in deutlicher Abhängigkeit von A stehen

 

= A에 명백하게 종속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르틴 슈미트, 경건주의, 구영철 옮김, 성광문화사, 1992.

 

그의 주도 명제 중의 하나는 다음과 같았다: “보이는 그리스도의 교회는 결속된 구성원들을 통하여 보일 수 있다.”(144)

 

→ 그의 주도 명제 중의 하나는 다음과 같았다: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의 교회는 결속된 구성원들을 통하여 보일 수 있다.”

 

독일어 원문: Einer seiner Leitsätze lautete: »Die Kirche Christi, die unsichtbar ist, kann sichtbar werden durch verbundene Glieder«, [...].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르틴 슈미트, 경건주의, 구영철 옮김, 성광문화사, 1992.

 

세계적인 무역 항구와 종교의 중심지인 암스[테르]담에서 그는 루터교, 개혁파, 영국 국교회, 메노파와 정통-아르메니아 형식의 예배에 참여하였는데, 이것이 그의 초교파적인 의식을 가장 강하게 자극하였던 것이다.(137)

 

세계적인 무역 항구 로테르담 종교의 중심지인 암스[테르]담에서 그는 루터교, 개혁파, 영국 국교회, 메노파와 정통-아르메니아 형식의 예배에 참여하였는데, 이것이 그의 초교파적인 의식을 가장 강하게 자극하였던 것이다.

 

독일어 원문: Im Welthandelshafen Rotterdam und im Religionszentrum Amsterdam besuchte er Gottesdienste lutherischer, reformierter, anglikanischer, mennonitischer und orthodox-armenischer Prägung, was sein ökumenisches Bewußtsein aufs stärkste anregte.

 

빠진 지명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