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마티아스 플라키우스(Matthias Flacius)막데부르크 센추리언(Magdeburger Zenturien)(231)

 

마티아스 플라키우스(Matthias Flacius)막데부르크 세기별 교회사(Magdeburger Zenturien)

 

독일어 원문: Magdeburger Zenturien des Matthias Flacius

 

예를 들면 막데부르크 센추리언(233)

 

예를 들면 막데부르크 세기별 교회사


독일어 원문: z.B. den Magdeburger Zenturien

 

번역을 바로잡았다.

 

https://de.wikipedia.org/wiki/Magdeburger_Centuri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엘리아스 바이엘(Elias Veiel)(120, 139, 230)

 

엘리아스 파이엘(Elias Veiel)

 

인명을 바로잡았다.

 

https://forvo.com/word/veiel/#de

 

https://www.swr.de/video/sendungen-a-z/landesschau-bw/von-ulm-bis-in-die-usa-100.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놀드의 영적 산문시[신적 사랑의 불꽃(Göttliche Liebes-Funcken, 1698)에도 신비주의적 경건 정신이 깃들어 있다.(230)

 

아놀트의 영적 산문시[신적 사랑의 불꽃(Göttliche Liebesfunken, 1698)에도 신비주의적 경건 정신이 깃들어 있다.

 

독일어 원문: Vom Geist mystischer Frömmigkeit durchtränkt sind auch Arnolds geistliche Dichtungen („Göttliche Liebesfunken“, 1698).

 

인명과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신적 소피아의 비밀(Geheimnis der göttlichen Sophia, 1700)에서 아놀드는 고대교회의 수도사적인 신비주의를 뵈메의 사변적 지혜(Sophienspekulation)와 연결시켰다.(230)

 

신적 소피아의 비밀(Das Geheimnis der göttlichen Sophia, 1700)에서 아놀트는 고대교회의 수도사적인 신비주의를 뵈메의 사변적 지혜(Sophienspekulation)와 연결시켰다.

 

독일어 원문: In „Das Geheimnis der göttlichen Sophia“ (1700) sucht Arnold die altkirchlich-mönchische Mystik mit der Sophienspekulation Jakob Böhmes zu verbinden.

 

표제어와 인명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놀드는 기센에 교수로 부임하기 전에 이미 이집트의 사막교부 마카리오스가 남긴 50편의 영적 설교(Fünfzig Geistlichen Homilien, 1696)를 번역하고 편집하여 완전함을 향한 고대 교회 은둔자들의 금욕주의적 노력을 찬미했다.(229)

 

아놀트는 기센에 교수로 부임하기 전에 이미 이집트의 사막교부 마카리오스가 남긴 50편의 영적 설교(Fünfzig geistliche Homilien, 1696)를 번역하고 편집하여 완전함을 향한 고대 교회 은둔자들의 금욕주의적 노력을 찬미했다.

 

독일어 원문: Arnold hatte bereits vor seiner Gießener Professur mit der Übersetzung und Herausgabe der dem ägyptischen Wüstenvater Makarios zugeschriebenen Fünfzig Geistlichen Homilien (1696) das asketische Vollkommenbheitsstreben der altkirchlichen Einsiedler verherrlicht.

 

인명과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