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마침내 디펠은 자신의 삶을 오로지 하나님께만 바치고 더 이상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거나 현세적 이익을 얻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 것이며, 하나님께 헌신하기 위해 독신으로 살겠다.”라는 영적 결단을 내렸다.(238)

 

마침내 디펠은 자신의 삶을 오로지 구세주께만 바치고 더 이상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거나 현세적 이익을 얻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 것이며, 구세주께 헌신하기 위해 독신으로 살겠다.”라는 영적 결단을 내렸다.

 

독일어 원문: [...], so daß er endlich „dem Freund seiner Seele das Jawort gab, ihm allein zu sein und keinem Menschen um zeitlichen Nutzens willen mehr zu Gefallen zu leb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em Freund[=Heiland Jesus] seiner Seele das Jawort geben

 

= 자기 영혼의 친구[=구세주 예수]에게 결혼 동의를 하다

 

아래, 자료를 볼 것:

 

Wilhelm Bender, Johann Konrad Dippel: Der Freigeist aus dem Pietismus, Bonn 1882, 31, 45.

 

https://www.digitale-sammlungen.de/de/view/bsb11235597?page=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스트라스부르에서 정통주의 신학자인 요한 요아힘 젠트그라프(Johann Joachim Zentgraf)와 함께 첫 번째 회심 후 다시 옛 신앙으로 돌아간 사람들의 재회심에 관하여”(De Conversione secunda relapsorum) 토론한 디펠은 슈페너의 복음적인 믿음의 칭의(Evangelischer Glaubens-Gerechtigkeit, 1684)를 읽고 자신의 정통주의적 견해를 고수하지 못하게 되었다.(238)

 

스트라스부르에서 정통주의 신학자인 요한 요아힘 첸트그라프(Johann Joachim Zentgraf)의 주재(主宰) 첫 번째 회심 후 다시 옛 신앙으로 돌아간 사람들의 재회심에 관하여”(De Conversione secunda relapsorum) 토론한 디펠은 슈페너의 복음적인 믿음의 칭의(Die evangelische Glaubens-Gerechtigkeit, 1684)를 읽고 자신의 정통주의적 견해를 고수하지 못하게 되었다.

 

독일어 원문: In Straßburg, wo er unter dem orthodoxen Theologen J.J. Zentgraf „De Conversione secunda relapsorum“ disputierte, wurde er durch die Lektüre von Speners „Evangelischer Glaubens-Gerechtigkeit“ seiner orthodoxen Position unsicher.

 

인명과 번역,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아래, 자료를 볼 것:

 

Karl-Ludwig Voss, Christianus Democritus. Christianus Democritus: Das Menschenbild bei Johann Conrad Dippel, Leiden 1972, 12.

 

https://digital.slub-dresden.de/werkansicht/dlf/61400/5?tx_dlf_navigation%5Bcontroller%5D=Navigation&cHash=2b7eef6229ba85ff2b6ec7ffb9f4c2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놀[]에 따르면 참된 그리스도인은 금욕주의적이고 세상과 분리된 삶을 영위하는 은둔자들과 수도사들, 신비주의자들, “평안히 땅에 사는 자들”(Stillen im Lande, 35:20)이다.(233)

 

아놀[]에 따르면 참된 그리스도인은 금욕주의적이고 세상과 분리된 삶을 영위하는 은둔자들과 수도사들, 신비주의자들, “평안히 땅에 사는 자들”(die Stillen im Lande, 35:20)이다.

 

독일어 원문: Die wahren Christen sind nach Arnold die ein asketisches, von der Welt abgezogenes Leben führenden Einsiedler und Mönche, die Mystiker, die „Stillen im Lande“ (Ps 35,20).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놀[]가 재조명하는 이단’(Ketzer)에 대한 비당파적묘사, 그리고 그 특징을 1차자료로부터 정당화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은 상당한 역사적 성과이다.(232)

 

아놀[]가 재조명하는 이단’(Ketzer)에 대한 비당파적묘사, 그리고 그 특징을 1차자료로부터 공정하게 평가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은 상당한 역사적 성과이다.

 

독일어 원문: In der „unparteilichen“ Darstellung der Ketzer, deren Prozesse Arnold wieder aufrollt und deren Anliegen er aus den Quellen gerecht zu werden sucht, liegt eine erhebliche historische Leistung.

 

번역을 바로잡았다.

 

einem Dinge gerecht werden = 공정하게 평가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4세기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아래에서 확인된, 세계를 등진 신비주의적이고 금욕적인 원시 기독교의 타락은 16세기의 종교개혁 초기에 잠시 회복된 참된 기독교가 다시 한번 타락한 일과 맥을 같이한다.(232)

 

4세기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아래에서 확인된, 세계를 등진 신비주의적이고 금욕적인 원시 기독교로부터의 이탈은 종교개혁 초기에 잠시 회복된 참된 기독교로부터 16세기에 다시 한번 이탈 일과 맥을 같이한다.

 

독일어 원문: Dem unter Kaiser Konstantin im vierten Jahrhundert besiegelten Abfall vom weltabgekehrten, mystisch-asketischen Urchristentum entspricht im 16. Jahrhundert ein erneuter Abfall von dem in der Frühzeit der Reformation kurzfristig wiedergewonnenen wahren Christentum.

 

번역을 바로잡았다.

 

Abfall von A = A에서 이탈함

 

단어의 차이에 주의할 것:

 

Abfall = 이탈

 

Verfall = 타락

 

 

232쪽의 번역을 볼 것:

 

타락은 또한 교황교회에만 국한될 수 없다.

 

독일어 원문: Der Verfall ist auch nicht auf die Papstkirche beschränkt.

 

또한 아놀[]는 종교개혁기에 교회에서 떨어져 나간 재세례파적이고 영성주의적인 교회나 경건주의적 소그룹과 라바디의 교회 등 역사 속에 등장하는 어떤 공동체나 교회에서도 타락과 속박의 흔적이 발견될 뿐, 참된 기독교를 결코 발견할 수 없다고 말한다.

 

독일어 원문: Auch bei den von den reformatorischen Kirchen abgefallenen täuferischen und spiritualistischen Gemeinden, bei den pietistischen Konventikeln und der Gemeinde Labadies findet Arnold überall Spuren des Verfalls und der Unfreiheit, keineswegs das wahre Christent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