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4세기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아래에서 확인된, 세계를 등진 신비주의적이고 금욕적인 원시 기독교의 타락은 16세기의 종교개혁 초기에 잠시 회복된 참된 기독교가 다시 한번 타락한 일과 맥을 같이한다.(232쪽)
→ 4세기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아래에서 확인된, 세계를 등진 신비주의적이고 금욕적인 원시 기독교로부터의 이탈은 종교개혁 초기에 잠시 회복된 참된 기독교로부터 16세기에 다시 한번 이탈한 일과 맥을 같이한다.
독일어 원문: Dem unter Kaiser Konstantin im vierten Jahrhundert besiegelten Abfall vom weltabgekehrten, mystisch-asketischen Urchristentum entspricht im 16. Jahrhundert ein erneuter Abfall von dem in der Frühzeit der Reformation kurzfristig wiedergewonnenen wahren Christentum.
• 번역을 바로잡았다.
• Abfall von A = A에서 이탈함
• 단어의 차이에 주의할 것:
Abfall = 이탈
Verfall = 타락
• 232쪽의 번역을 볼 것:
① 타락은 또한 교황교회에만 국한될 수 없다.
독일어 원문: Der Verfall ist auch nicht auf die Papstkirche beschränkt.
② 또한 아놀[트]는 종교개혁기에 교회에서 떨어져 나간 재세례파적이고 영성주의적인 교회나 경건주의적 소그룹과 라바디의 교회 등 역사 속에 등장하는 어떤 공동체나 교회에서도 타락과 속박의 흔적이 발견될 뿐, 참된 기독교를 결코 발견할 수 없다고 말한다.
독일어 원문: Auch bei den von den reformatorischen Kirchen abgefallenen täuferischen und spiritualistischen Gemeinden, bei den pietistischen Konventikeln und der Gemeinde Labadies findet Arnold überall Spuren des Verfalls und der Unfreiheit, keineswegs das wahre Christent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