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프랑케는 철학부 교수로 임명되었지만 학문적인 학위가 없어서 신학부 교수는 아니었다. 1698년 학위를 취득한 후에야 비로소 신학부 교수직을 맡게 되었다.(184)

 

프랑케는 철학부 교수로 임명되었지만 학문적인 학위가 없어서 신학부 교수는 아니었다. 1698년에야 비로소 신학부 교수직을 맡게 되었다.

 

독일어 원문: Francke war auf eine Professur in der Philosophischen Fakultät berufen worden, mangels eines akademischen Grades nicht auf eine theologische Professur, die er erst 1698 erhielt.

 

번역을 바로잡았다.

 

프랑케의 최종 학위 = 철학 석사학위(1685년)

 

https://de.wikipedia.org/wiki/August_Hermann_Francke

 

 

163쪽과 169쪽의 번역을 볼 것:

 

히브리어 문법에 관한 논문으로 1685에 철학 석사학위를 받았는데 이는 그[=프랑케]가 받은 유일한 학위였다.

 

독일어 원문: Mit einer Dissertation über die Hebräische Grammatik erwarb er 1685 den philosophischen Magistergrad den einzigen akademischen Grad, den er je erworben hat.

 

이제 그[=프랑케]는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려는 노력을 포기했다.

 

독일어 원문: Nun gab er das Streben nach Erwerb des theologischen Doktorgrades auf.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할레 기관의 성장과 번영은 [...], 그리고 무엇보다도 프랑케보다 불과 몇 살 아래인 많은 직원들의 사심 없는 헌신 덕분에 가능했다. 이들은 대부분 프랑케의 사역에 헌신한 동료들로서 종종 결혼과 가정생활을 희생하면서 할레의 예루살렘건설에 전념한 사람들이었다.(183)

 

할레 기관의 성장과 번영은 [...], 그리고 무엇보다도 프랑케보다 불과 몇 살 아래인 많은 직원들의 사심 없는 헌신 덕분에 가능했다. 이들은 프랑케가 자신의 사역을 위해 등용한 동료들로서 종종 결혼과 가정생활을 희생하면서 할레의 예루살렘건설에 전념했다.

 

독일어 원문: Wachstum und Gedeihen der hallischen Anstalten verdankten sich [...], nicht zuletzt dem selbstlosen Einsatz vieler, meist nur um wenige Jahre jüngerer Mitarbeiter, die Francke für sein Werk gewann und die oft unter Verzicht auf Ehe und Familienleben sich ganz dem Aufbau des hallischen „Jerusalem“ hingaben.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프랑케의 의학 친구 중에는 리히터의 스승이자 고아원 최초의 의사인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Georg Ernst Stahl, 1659-1734)도 있었는데, 그는 경건주의 정신을 특징으로 하는 의과대학의 설립자였다.(183)

 

프랑케의 의학 친구 중에는 리히터의 스승이자 고아원 최초의 의사인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Georg Ernst Stahl, 1659-1734)도 있었는데, 그는 경건주의 정신을 특징으로 하는 의학적 학파의 설립자였다.

 

독일어 원문: Zu Franckes medizinischen Freunden gehörte auch Richters Lehrer, Georg Ernst Stahl (1659-1734), erster Arzt am Waisenhaus, Begründer einer von pietistischem Geist geprägten medizinischen Schulrichtung, [...].

 

번역을 바로잡았다.

 

Schulrichtung = 학파(學派)

 

https://www.dwds.de/?q=Schulrichtung&from=wb

 

https://de.wikipedia.org/wiki/Georg_Ernst_Stah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그는 <내적 삶의 그리스도인들이 빛난다> 등의 찬양을 작사한 찬송가 작사자로도 유명했으며, 여러 약을 발명했다.(182)

 

그는 <내적 삶의 그리스도인들이 빛난다> 등의 찬송가 작사자로도 유명했으며, 여러 약을 발명했다.

 

독일어 원문: Der durch seine Liederdichtungen bekannte Waisenhausapotheker („Es glänzet der Christen inwendiges Leben“) erfand zahlreiche Arzneien, [...].

 

문장을 바로잡았다.

 

es glänzet der Christen inwendiges Leben

 

= 그리스도인들의 내적 삶이 빛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조판에 필요한 대량의 활자를 구매하는 데 필요한 자본은 베를린 궁정에까지 뻗어 있던 프랑케의 광범위한 인맥과 영향력을 활용했는데, 그의 가장 중요한 협력자이던 칼 힐데브란트 폰 칸슈타인 남작의 도움으로 자금을 조달했다.(181-182)

 

조판에 필요한 대량의 활자를 구매하는 데 필요한 자본은 칼 힐데브란트 폰 칸슈타인 남작이 조달했다. 칸슈타인 남작은 광범위한 인맥과 영향력 때문에 베를린 궁정에서 가장 중요한 프랑케의 협력자였다.

 

독일어 원문: Das zum Erwerb der beim Stehsatz benötigten großen Menge von Lettern notwendige Kapital beschaffte der Freiherr Carl Hildebrand von Canstein (1667-1719), der wegen seiner weiten Beziehungen und seines Einflusses am Berliner Hof bedeutendste Mitarbeiter Franckes, [...].

 

번역을 바로잡았다.

 

der Freiherr Carl Hildebrand von Canstein (1667-1719), der wegen seiner weiten Beziehungen und seines Einflusses am Berliner Hof bedeutendste Mitarbeiter Franckes,

 

= 칼 힐데브란트 폰 칸슈타인(1667-1719) 남작, 즉 폭넓은 인맥과 영향 때문에 베를린 궁정에서 가장 중요했던 프랑케의 동역자

 

 

칼 힐데브란트 폰 칸슈타인(1667-1719) 남작 = 궁정 관료

 

https://de.wikipedia.org/wiki/Carl_Hildebrand_von_Canstei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