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1521년 보름스 제국회의에 루터가 등장한 사건은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일이었으며, 보름스(Worms)를 종교개혁의 가장 중요한 도시로 만들었다.(618)

 

1521년 보름스 제국회의에 루터가 등장한 사건은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일이었으며, 보름스(Worms)를 종교개혁의 중요한 도시 만들었다.

 

독일어 원문: Luthers Auftritt auf dem Reichstag von Worms 1521 war von welthistorischer Bedeutung und Worms zu einer bedeutenden Stadt der Reformation gemacht.

 

zu einer bedeutenden Stadt der Reformation machen

 

= 종교개혁에서 중요한 한 도시로 만들다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60:

 

19991031일 성 안나 교회에서 개최된 칭의론에 대한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인쇄물 표지

 

19991031일 성 안나 교회에서 개최된 칭의론에 대한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표지판

 

독일어 원문: Gedenkplatte zur Erinnerung an die gemeinsame Erklärung zur Rechtfertigungslehre am 31. Oktober 1999 in St. Anna

 

Gedenkplatte = 기념표지판

 

 

 

그림을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 [=무스쿨루스]는 대성당의 설교자가 되었고, 1540년부터는 시의 신학 자문위원이 되었으며, 보름스와 레겐스부르크에서 개최된그러나 아무 성과 없이 끝난종교회의에 시를 대표해 참석했다. 무스쿨루스는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면서도 직스트 비르크(Sixt Birk)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웠으며, 아랍어도 익혔다.

그는 1536년부터 김나지움의 책임자로 일했다. 또한 주요 그리스 교부들의 저서를 라틴어로 번역했으며, 수많은 성서주석을 남겼고, 조직신학을 저술하기도 했다.(58-59)

 

[...] [=무스쿨루스]는 대성당의 설교자가 되었고, 1540년부터는 시의 신학 자문위원이 되었으며, 보름스와 레겐스부르크에서 개최된그러나 아무 성과 없이 끝난종교회의에 시를 대표해 참석했다. 무스쿨루스는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면서도 직스트 비르크(Sixt Birk)1536년부터 김나지움 교장이었던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웠으며, 아랍어도 익혔다.

또한 주요 그리스 교부들의 저서를 라틴어로 번역했으며, 수많은 성서주석을 남겼고, 조직신학을 저술하기도 했다.

 

독일어 원문: [...] wurde er Prediger am Dom. Ab 1540 war er theologischer Vertrauensmann des Rates und vertrat die Stadt bei den ergebnislosen Religionsgesprächen in Worms und Regensburg. Neben diesen Aufgaben hatte Musculus Griechisch bei Sixt Birk, seit 1536 Rektor des Gymnasiums, und Arabisch gelernt. Wichtige griechische Kirchenväter übersetzte er ins Lateinische, kommentierte zahlreiche Bücher der Bibel und schrieb eine systematische Theologie.

 

hatte Musculus Griechisch bei Sixt Birk, seit 1536 Rektor des Gymnasiums, und Arabisch gelernt

 

= 무스쿨루스는 직스트 비르크1536년부터 김나지움 교장이었던에게 그리스어와 아랍어를 배웠다.

 

문장을 바로잡았다.

 

 

직스트 비르크의 이력은 다음 사이트를 참고할 것:

 

http://www.stadtlexikon-augsburg.de/index.php?id=114&type=1000&tx_ttnews[tt_news]=3344&tx_ttnews[backPid]=113&cHash=f62998168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시 당국은 1531년 그[=볼프강 모이슬린]를 성 십자가 교회의 설교자로 임명했다. 그곳에서 그는 1537년까지 설교했다. 이 시기는 시 개혁의 시기, 즉 신학자들과 평신도, 그리고 조합과 시 당국의 투쟁 속에서 교회를 바로 세우는 시기였다.(58)

 

시 당국은 1531년 그[=볼프강 모이슬린]를 성 십자가 교회의 설교자로 임명했다. 그곳에서 그는 1537년까지 설교했다. 이 시기는 () 주도 종교개혁 시기, 즉 신학자들과 평신도, 그리고 길드와 시 당국의 투쟁 속에서 교회를 바로 세우는 시기였다.

 

독일어 원문: Der Rat berief ihn 1531 nach Hl. Kreuz, wo er bis 1537 predigte. Es war die Zeit der Ratsreformation: Aufbau des evangelischen Kirchenwesens im Ringen von Theologen und Laien, den Zünften und dem Rat.

 

Ratsreformation = 결의(決議) 종교개혁, 관료 종교개혁

 

= 대의(代議) 기관의 결의에 의해 시행되는 관료 주도의 위로부터의종교개혁.

 

이와 대립되는 개념 = Volksreformation

 

= 아래로부터의 일반 백성이 주도하는 종교개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볼프강 뮈슬린(Wolfgang Mäuslin, 무스쿨루스는 뮈슬린의 라틴어 이름이다.)은 평민 출신으로 일찍이 엘사스(Elsass) 지방의 인문주의에 공감했으며, 락스하임(Lixheim) 수도원에서 베네딕트회의 수도사로 살았다.(1512-27) [...] 그는 수도사 생활을 청산하면서 직공(職工)으로 일했다. 부처와 카피토는 무스쿨루스를 엘사스 지방의 도들리스하임(Dorlisheim)의 설교자로, 1528년에는 스트라스부르크 대성당의 부제(副祭, Diakon)로 세웠다.(57)

 

볼프강 모이슬린(Wolfgang Mäuslin, 무스쿨루스는 모이슬린의 라틴어 이름이다.)은 평민 출신으로 일찍이 알자스(Alsace) 지방의 인문주의에 공감했으며, 락스하임(Lixheim) 수도원에서 베네딕트회의 수도사로 살았다.(1512-27) [...] 그는 수도사 생활을 청산하면서 직공(織工)으로 일했다. 부처와 카피토는 무스쿨루스를 알자스 지방의 도들리스하임(Dorlisheim)의 설교자로, 1528년에는 스트라스부르 대성당의 부목사(Diakon)로 세웠다.

 

독일어 원문: Wolfgang Mäuslin (lat. Musculus) kam aus einfachen Verhältnissen. Geprägt war er vom elsässischen Humanismus, vom benediktinischen Leben im Kloster Lixheim (1512-1527), [...]. Dorthin war er nach dem Klosterleben gezogen, hatte geheiratet und als Weber gearbeitet. Bucer und Capito machten ihn zum Prediger für Dorlisheim im Elsass, 1528 zum Diakon am Straßburger Münster.

 

Wolfgang Mäuslin = 볼프강 모이슬린

 

Elsass = Alsace = 알자스

 

Weber = 직공(織工)

 

한자에 주의할 것.

 

Diakon = 부목사

 

가톨릭이 아닌 종교개혁 시행 이후의 용어를 쓸 것.

 

 

 

볼프강 무스쿨루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