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 옐레,편안한 침묵보다는 불편한 외침을, 이용주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6(3).

 

“[...] 바르트의 왕성한 활동력은 마지막 순간까지 사그라지지 않았다. 사망하기 바로 전날 저녁까지도 그는 1969 그리스도교 일치를 위한 에큐메니칼 기도주간 기념 연설문을 작성하고 있었다.”(32)

 

“[...] 바르트의 왕성한 활동력은 마지막 순간까지 사그라지지 않았다. 사망하기 바로 전날 저녁까지도 그는 1969 1그리스도교 일치를 위한 에큐메니칼 기도주간 기념 연설문을 작성하고 있었다.”

 

독일어 원문: [...] Am Vorabend seines Todes arbeitete er am Manuskript für einen Vortrag, den er anlässlich der ökumenischen Gebetswoche für die Einheit der Christen im Januar 1969 vor evangelischen und katholischen Mitchristen halten wollte.

 

칼 바르트는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동시대인들에 비해 장수했고, 마지막 순간까지도 활동적으로 일했다. 사망하기 하루 전날 저녁까지도 바르트는 1969 취리히에서 열릴 에큐메니칼 교회일치 기도주간에 발표할 강연원고인 <일어서기-돌이키기-고백하기>를 다듬고 있었다.”(171)

 

칼 바르트는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동시대인들에 비해 장수했고, 마지막 순간까지도 활동적으로 일했다. 사망하기 하루 전날 저녁까지도 바르트는 19691 취리히에서 열릴 에큐메니칼 교회일치 기도주간에 발표할 강연원고인 <일어서기-돌이키기-고백하기>를 다듬고 있었다.”

 

독일어 원문: [...] Noch am Abend vor seinem Tod arbeitete er an einem Vortrag, den er im Januar 1969 in Zürich aus Anlass der ökumenischen Gebetswoche für die Einheit der Christen halten wollte: «Aufbreechen Umkehren Bekennen.»

 

빠진 단어Januar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랑크 옐레,편안한 침묵보다는 불편한 외침을, 이용주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6(3).

 

바르트는 젊은 시절 노동조합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등 라가츠의 노선에 근접해 있었지만 후에는 정당 활동보다 선포행위를 우선시하는 쿠터에 가까워졌다. 그러나 30년대의 투쟁들을 거치며 그는 다시금 라가츠의 사상에 한발 다가갔다. 당시 바르트는 국가사회주의를 매우 단호하게 거부하였다.”(23-24)

 

바르트는 젊은 시절 노동조합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등 라가츠의 노선에 근접해 있었지만 후에는 정당 활동보다 선포행위를 우선시하는 쿠터에 가까워졌다. 그러나 30년대의 투쟁들을 거치며 그는 다시금 라가츠의 사상에 한발 다가갔다. 당시 라가츠는 국가사회주의를 매우 단호하게 거부하였다.”

 

독일어 원문: Ganz praktisch betätigte sich der junge Pfarrer in der Gewerkschaftsbewegung. Später näherte er sich Kutter und dessen Beharren auf dem Primat der Verkündigung gegenüber der konkreten Parteiarbeit an. In den Kämpfen der dreissiger Jahre fand dann wieder eine Annäherung (nicht persönlich, aber in der Sache) an Ragaz statt, dessen Beurteilung des Nationalsozialismus sich durch ihre besondere Entschiedenheit (und zwar im ablehnenden Sinn) hervortat.

 

마지막 문장의 주어를 바로잡았다.

 

관계대명사 dessen이 가리키는 것은 바로 앞의 Ragaz.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랑크 옐레,편안한 침묵보다는 불편한 외침을, 이용주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6(3).

 

누락(1)

 

“[...] 그리스도교에 대해 하르낙만큼 박식한 사람은 없었다. 주저인그리스도교의 본질(Das Wesen des Christentums, 1899/1900년 겨울학기에 모든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16개의 강연)에서 하르낙은 그리스도교의 장대한 상을 제시하였다. 하르낙은 그리스도교를 <오직 역사적 의미에서>, <역사학 및 역사학으로부터 획득된 삶의 경험만을 통해> 묘사하고자 했다.”(20, 문장부호 수정 및 부분삭제 인용)

 

“[...] 그리스도교에 대해 하르낙만큼 박식한 사람은 없었다. 주저인그리스도교의 본질(Das Wesen des Christentums, 1899/1900베를린 대학교의 겨울학기에 모든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16개의 강연)에서 하르낙은 그리스도교의 장대한 상을 제시하였다. 하르낙은 그리스도교를 <오직 역사적 의미에서>, <역사학 적용해서, 그리고 체험한 역사로부터 획득된 삶의 경험만을 통해> 묘사하고자 했다.”

 

독일어 원문: [...] In seinem Buch «Das Wesen des Christentums Sechzehn Vorlesungen vor Studierenden aller Facultäten im Wintersemester 1899/1900 an der Unversität Berlin gehalten» entwarf er ein gewaltiges Panorama des Christentums. Wie er sich selbst ausdrückte, wollte er das Christentum darstellen «lediglich im historischen Sinn», das heisst «mit den Mitteln der geschichtlichen Wissenschaft und mit der Lebenserfahrung, die aus erlebter Geschichte erworben» worden sei.

 

빠진 부분을 보완하고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랑크 옐레,편안한 침묵보다는 불편한 외침을, 이용주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6(3).

 

오늘날 스위스에서는 스위스 역사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스위스에 대한 전통적인 이미지가 정확치 않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스위스 역사에 대한 책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다.”(13)

 

오늘날 스위스에서는 스위스 역사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스위스에 대한 전통적인 이미지가 정확치 않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스위스 역사 새롭게 보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독일어 원문: Schweizergeschichte ist heute von einer besonderen Aktualität. Man geht neu über die Bücher, weil vielen bewusst geworden ist, dass das traditionelle Bild der Schweiz nicht differenziert genug war.

 

über die Bücher gehen = 상황을 재고하다(die Lage überdenken)

 

스위스에서 주로 쓰는 표현.

 

<Duden 11>을 참고할 것:

 

Redewendungen: Wörterbuch der deutschen Idiomatik, 2013, 140.

 

예문 몇 개를 병기한다:

 

Bevor man voreilig einen Entschluss fällt, sollte man «noch einmal über die Bücher gehen».

 

Ich fordere die zuständigen Behörden auf, nochmals über die Bücher zu gehen!

 

Bührer appellierte an die Stromgesellschaften, Mass zu halten. Die Unternehmen sollten "noch einmal über die Bücher gehen und nicht auf sämtliche Erhöhungen pochen". Da Kantone und Gemeinden mit rund 85 Prozent die Eigentümer der Versorgungsunternehmen seien, erwarte er "politische Sensibilität".

 

Überstunden müssen betrieblich notwendig sein und dürfen nicht zur Regel werden. Verlangt ein Unternehmen ständig einen verlängerten Einsatz der Mitarbeitenden, dann muss es über die Bücher gehen: Vielleicht stimmt etwas nicht in der Organisation. Überdies sind die Angestellten nur zu Überstunden verpflichtet, solange diese zumutbar sind. So können Familienaufgaben ein Grund sein, die Mehrarbeit zu verweiger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랑크 옐레,편안한 침묵보다는 불편한 외침을, 이용주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6(3).

 

이미 1948에 바르트는 바드 고데스베르크에서 열렸던 저녁 식사 자리에서 콘라드 아데나우어(Konrad Adenauer)<다툼을 벌였다>.”(12-13, 문장부호 수정인용)

 

이미 1946에 바르트는 바트 고데스베르크에서 열렸던 저녁 식사 자리에서 콘라트 아데나워(Konrad Adenauer)<다툼을 벌였다>.”

 

독일어 원문: Bereits 1946 war Barth anlässlich eines Nachtessens in Bad Godesberg «in Streit» mit Konrad Adenauer geraten.

 

연도를 바로잡았다.

 

아울러, 지명과 인명도 수정했다: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을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