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바르트는 독일 고백교회와도 여전히 관계를 유지하면서 스위스에 고백교회를 위한 <협력기구>를 창설했고, 협력기구<인종 차별>의 억압을 받던 피난민들을 점점 더 많이 수용하도록 도왔다.”(74, 문장부호 수정인용)

 

바르트는 독일 고백교회와도 여전히 관계를 유지하면서 스위스에 고백교회를 위한 <구호단체>를 창설했고, 구호단체<인종 차별>의 억압을 받던 피난민들을 점점 더 많이 수용하도록 도왔다.”

 

독일어 원문: Auch mit der deutschen Bekenntniskirche behielt er[=Barth] Fühlung und half, in der Schweiz ein »Hilfswerk« für sie zu gründen, das sich zunehmend »rassisch« verfolgter Flüchtlinge annahm.

 

Hilfswerk = 구호단체

 

이 구호단체의 정식 명칭 = Schweizerisches Evangelisches Hilfswerk für die bekennende Kirche

 

이 구호단체의 설립과 활동은 다음 책, 501-502쪽을 볼 것.

 

에버하르트 부쉬,칼 바르트, 손성현 옮김, 복 있는 사람, 201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바르트의 이와 같은 행동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교회 중심부에 대한 그의 비판을 보아야 한다. 바르트는 1933년에 독일 그리스도인 연맹에 대항해서 교회 중심부와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었지만, 그곳을 향해 상당히 고독하게 진행되었던 의 투쟁은 그곳에 대한 <적지 않게 날카로운> 비판을 동반했다. 당시 교회 중심부는 국가가 교회의 존립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방어적인 자세를 취했지만, 정치적인 영역에서 국민적인 영도자가 통치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단연코 환영의 자세를 취했다.”(72, 문장부호 및 띄어쓰기 수정인용)

 

바르트의 이와 같은 행동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교회 중심부에 대한 그의 비판을 보아야 한다. 교회 중심부는 1933년에 독일 그리스도인 연맹에 대항해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두었지만, 교회 중심부를 향해 상당히 고독하게 진행되었던 바르트의 투쟁은 <적지 않게 날카로운> 비판을 동반했다. 당시 교회 중심부는 국가가 교회의 존립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방어적인 자세를 취했지만, 정치적인 영역에서 국민적인 영도자가 통치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단연코 환영의 자세를 취했다.”

 

독일어 원문: Seine Haltung wird aber erst recht verständlich, wenn man sieht, daß sich sein ziemlich einsam geführter Kampf »nicht minder scharf« gegen die kirchliche Mitte richtete, die sich 1933 zwar auch gegen die Deutschen Christen abgrenzte. Die verwahrte sich wohl gegen staatliche Eingriffe in den kirchlichen Bestand, bejahte jedoch im politischen Bereich ebenso entschieden den völkischen Führerstaat.

 

die[=die kirchliche Mitte] sich [...] gegen die Deutschen Christen abgrenzte

 

= 교회 중심부는 독일 그리스도인 연맹과 구분되었다

 

이 문장의 주어는 교회 중심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누락(5)

 

교회교의학에서 이전보다 더 분명해진 다른 한 가지는 신학의 <대상>, 즉 바르트가 <말씀> 또는 <계시>라고 부르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동일시된다는 사실이다.”(67, 문장부호 수정인용)

 

교회교의학에서 이전보다 더 분명해진 다른 한 가지는 신학의 <대상>, 즉 바르트가 하나님의 <말씀> 또는 <계시>라고 부르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동일시된다는 사실이다.”

 

독일어 원문: Klarer als zuvor ist in der Kirchlichen Dogmatik auch, daß der »Gestand« der Theologie, das, was, Barth »Wort« oder »Offenbarung« Gottes nennt, identisch ist mit der Person Jesu Christi : [...]

 

»Wort« oder »Offenbarung« Gottes = 하나님의 <말씀> 또는 <계시>

 

빠진 단어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바르트는 당시에 <의도적으로 갈라져 나간 교회(Sonderkirche)교회가 아닌 것(Unkirchliche)>으로 보았고(/2, 925), 이후에 그는 다음과 같이 더욱 분명히 밝혔다. 신학의 교회성은 <교회일치적(에큐메니칼) 교회> 안의 책임성을 의미한다(/2, 6).”(66, 문장부호 수정인용)

 

바르트는 당시에 <의도적으로 갈라져 나간 교회(das Sonderkirchliche)교회가 아닌 것(das Unkirchliche)>으로 보았고(/2, 925), 이후에 그는 다음과 같이 더욱 분명히 밝혔다. 신학의 교회성은 <교회일치적(에큐메니칼) 교회> 안의 책임성을 의미한다(/2, 6).

 

독일어 원문: Aber was er[=Barth] auch damals sah daß »das bewußt Sonderkirchliche ... das Unkirchliche« ist (/2, 925) , wurde ihm dann zunehmend klarer daß die Kirchlichkeit der Theologie die Verantwortung in der »ökumenischen Kirche« bedeutet (/2, 6).

 

독일어 철자를 바로잡았다.

 

참고로, 표제어는 문법에 맞는 온전한 형태를 사용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이와 같이 생각한다면 자신의 중심 저작을 집필하기 시작했을 때, 바르트는 많이 준비한 사전작업에 근거한 탐구 과정을 통해 이미 발견한 것을 그저 늘려서 확대하기만 하면 되는 행복한 종점에 도달했던 것이 아니었다.”(65)

 

그렇다고, 자신의 중심 저작을 집필하기 시작했을 때, 바르트는 많이 준비한 사전작업에 근거한 탐구 과정을 통해 이미 발견한 것을 그저 늘려서 확대하기만 하면 되는 행복한 종점에 도달했던 것이 아니었다.”

 

독일어 원문: So war Barth, als er mit seinem Hauptwerk begann, aufgrund seiner Vorarbeiten nicht mit seinem Suchen an ein glückliches Ende gelangt, um nun das Gefundene nur noch auszuwalzen.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