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바르트는 당시에 <의도적으로 갈라져 나간 교회(Sonderkirche)교회가 아닌 것(Unkirchliche)>으로 보았고(/2, 925), 이후에 그는 다음과 같이 더욱 분명히 밝혔다. 신학의 교회성은 <교회일치적(에큐메니칼) 교회> 안의 책임성을 의미한다(/2, 6).”(66, 문장부호 수정인용)

 

바르트는 당시에 <의도적으로 갈라져 나간 교회(das Sonderkirchliche)교회가 아닌 것(das Unkirchliche)>으로 보았고(/2, 925), 이후에 그는 다음과 같이 더욱 분명히 밝혔다. 신학의 교회성은 <교회일치적(에큐메니칼) 교회> 안의 책임성을 의미한다(/2, 6).

 

독일어 원문: Aber was er[=Barth] auch damals sah daß »das bewußt Sonderkirchliche ... das Unkirchliche« ist (/2, 925) , wurde ihm dann zunehmend klarer daß die Kirchlichkeit der Theologie die Verantwortung in der »ökumenischen Kirche« bedeutet (/2, 6).

 

독일어 철자를 바로잡았다.

 

참고로, 표제어는 문법에 맞는 온전한 형태를 사용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이와 같이 생각한다면 자신의 중심 저작을 집필하기 시작했을 때, 바르트는 많이 준비한 사전작업에 근거한 탐구 과정을 통해 이미 발견한 것을 그저 늘려서 확대하기만 하면 되는 행복한 종점에 도달했던 것이 아니었다.”(65)

 

그렇다고, 자신의 중심 저작을 집필하기 시작했을 때, 바르트는 많이 준비한 사전작업에 근거한 탐구 과정을 통해 이미 발견한 것을 그저 늘려서 확대하기만 하면 되는 행복한 종점에 도달했던 것이 아니었다.”

 

독일어 원문: So war Barth, als er mit seinem Hauptwerk begann, aufgrund seiner Vorarbeiten nicht mit seinem Suchen an ein glückliches Ende gelangt, um nun das Gefundene nur noch auszuwalzen.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그렇기 때문에 교의학은 자신의 대상을 항상 새로운 관점에서 고찰해야 한다. 단지 <시간은 변화하고 우리는 그 시간 안에 있다는 이유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대상이 매우 운동력이 있기 때문에, 교의학의 대상은 그 대상을 추구하는 교의학을 지속적인 운동 상태에 놓는다. 그 운동은 끝이 없고 어떤 <결과>에 도달하지 않으며, 어떤 체계가 되는 법이 없고, 오히려 언제나 또 다시 개방된 곳으로 접어든다(/2, 860).”(65, 문장부호 수정인용)

 

그렇기 때문에 교의학은 자신의 대상을 항상 새로운 관점에서 고찰해야 한다. 단지 <시간은 변화하고 우리는 그 시간 안에 있다는 이유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대상이 매우 운동력이 있기 때문에, 교의학은 그 대상을 추구하는 교의학을 지속적인 운동 상태에 놓는다. 그 운동은 끝이 없고 어떤 <결과>에 도달하지 않으며, 어떤 체계가 되는 법이 없고, 오히려 언제나 또 다시 개방된 곳으로 접어든다(/2, 860).”

 

독일어 원문: Deshalb und nicht etwa, weil »sich die Zeiten ändern und wir uns in ihnen«, muß sie[=die Dogmatik] ihren Gegenstand unter immer wieder neuen Gesichtspunkten anvisieren. Weil ihr Gegenstand so bewegend ist, darum hält sie[1] die ihm nachgehende Dogmatik so in Bewegung, daß sie[2] eigentlich an kein Ende, nicht zu einem »Resultat« kommen, nicht zu einem System werden, sondern immer wieder nur ins Offene münden kann (/2, 860).

 

sie[=die Dogmatik] = sie[1] =sie[2] = 교의학

 

주어가 교의학의 대상이 되려면 = er = ihr Gegensta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바르트는 이렇게 말했다. <다른 모든 것보다 내게 중요했던 것은>, 그것들은 사정이 허락했다면 다루어졌을 것이지만, <내가여기서 수행해야 하는 바로 이 운동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바르트를 <골방 안의 히에로니무스>라고 불렀다(비교. /1, ). 그것은 뒤러(Dürer)의 그림 제목이었는데, 사자가 발 앞에 앉아 있고, 눈앞에는 해골이, 뒤에는 모래시계가 있는 어떤 학자를 그린 그림이었다.”(64, 문장부호 수정인용)

 

바르트는 이렇게 말했다. <다른 모든 것>, 즉 그밖에 착수했던 것<보다 내게 중요했던 것은> <내가여기서 수행해야 하는 바로 이 운동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바르트를 <골방 안의 히에로니무스>라고 불렀다(비교. /1, ). 그것은 뒤러(Dürer)의 그림 제목이었는데, 사자가 발 앞에 앉아 있고, 눈앞에는 해골이, 뒤에는 모래시계가 있는 그 학자를 그린 그림이었다.”

 

독일어 원문: Er konnte sagen: »Wichtiger als alles andere«, sonst Angefaßte, »war mir die Bewegung, die ich ... hier zu vollziehen hatte.« »Hieronymus im Gehäuse« nannte man ihn deswegen (vgl. /1, ), nach dem Bild von Dürer, das den Gelehrten zeigt ein Löwe zu seinen Füßen, ein Totenschädel vor Augen, die Sanduhr im Rücken.

 

alles andere«, sonst Angefaßte, = 다른 모든 것, 즉 그밖에 착수했던 것

 

Hieronymus = den Gelehrt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인식은 결코 그와 같은 대상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그 대상을 증명할 수도 없고 그 대상을 스스로 설정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그 대상이 인식에게 자신을 전제하고, 스스로를 증명하며, 그 인식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식은 믿음이 승인한 개방된-진리를 뒤따를 수 있을 뿐이며, 그 진리를 <확인>하고 그 진리와 일치되려고 시도할 수 있을 뿐이다. 물론 이때 인식이 제기할 수 있는 물음은 그러한지 아닌지에 관한 것이 아니라, 오직 <어떤 한도에서 그러한지>, 그리고 <사실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우리가 어떻게 그리스도교적으로 믿을 것인지의 물음이다.”(62-63, 문장부호 수정인용)

 

인식은 결코 그와 같은 대상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그 대상을 증명할 수도 없고 그 대상을 스스로 설정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그 대상이 인식에게 자신을 전제하고, 스스로를 증명하며, 그 인식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식은 믿음이 승인한 개방된-진리를 뒤따를 수 있을 뿐이며, 그 진리를 <확인>하고 그 진리와 일치되려고 시도할 수 있을 뿐이다. 물론 이때 인식이 제기할 수 있는 물음은 그러한지 아닌지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사실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우리가 그리스도교적으로 믿는 것이 오직 <어떤 한도에서 그러한지>에 관한 물음이다.”

 

독일어 원문: [...] Eben darum kann die Erkenntnis der im Glauben anerkannten Wahrheits-Eröffnung nur nachfolgen, sie »verifizieren«, ihr zu entsprechen suchen mit der Frage nicht ob, sondern nur, »inwiefern es so ist«, wie wir christlich glauben, »daß es so ist«.

 

»inwiefern es so ist«, wie A

 

= A가 오직 <어떤 한도에서 그러한지>

 

wie A [= wir christlich glauben, »daß es so ist«]

 

= <사실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우리가 그리스도교적으로 믿는 것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