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그리스도교 신학의 진술들은 계시에 근거해 있기 때문에 인간적인 환상일 수 없다는 확언으로 포이어바흐의 자극적인 도전에 대응해야 하는가? 하지만 그런 대응은 바르트에게는 즉각 불가능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포이어바흐의 불붙는 공격적 주장이 가장 먼저 행했던 것이 바로 계시라는 신학적 공통자산이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바르트는 자유주의 노선을 택했던 초기 시절에 <계시에 대한 권태감>(Offenbarungsmüdigkeit)(/1, 78)까지 말하면서 계시 개념의 사용에 적극 동참했었고, 심지어 괴테나 베토벤 같은 인물들까지도 하나님의 계시라고 말했다.”(117-118쪽, 문장부호 수정인용)

 

그리스도교 신학의 진술들은 계시에 근거해 있기 때문에 인간적인 환상일 수 없다는 확언으로 포이어바흐의 자극적인 도전에 대응해야 하는가? 하지만 그런 대응은 바르트에게는 즉각 불가능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포이어바흐의 불붙는 공격적 주장이 가장 먼저 행했던 것이 바로 그 신학의 공통자산이 계시 개념이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바르트는 자유주의 노선을 택했던 초기 시절에 <계시에 대한 권태감>(Offenbarungsmüdigkeit)(/1, 78)까지 말하면서 계시 개념의 사용에 적극 동참했었고, 심지어 괴테나 베토벤 같은 인물들까지도 하나님의 계시라고 말했다.”

 

독일어 원문: [...] Das ging für Barth darum so ohne weiteres nicht, weil der Offenbarungsbegriff Gemeingut genau der Theologie war, an der sich Feuerbachs These zunäch[s]t entzündete. [...]

 

an der[=der Theologie] sich Feuerbachs These zunäch[s]t entzündete.

 

= 포이어바흐의 불붙는 공격적 주장이 가장 먼저 행했던 것은 그 신학

 

포이어바흐가 공격했던 것은 신학이지 계시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누락(11)

 

마우트너(F. Mauthner)의 주장, 곧 신학에 대한 그와 같은 해석을 불러일으킨 근대의 <무신성><실제로는 지난 모든 세기의 그리스도교를 통해 유럽의 정신적 지층 속에 계속 은폐되어 있다가이제 강력하게 활기를 띠게 된 바로 그 사상의 발현일 뿐(KD /1, 681)이라는 주장이 옳다면, 일은 어떻게 되겠는가?”(117, 문장부호 수정인용)

 

마우트너(F. Mauthner)의 주장, 곧 신학에 대한 그와 같은 해석을 불러일으킨 근대의 <무신성><실제로는 지난 모든 세기의 명의상의 그리스도교를 통해 유럽의 정신적 지층 속에 계속 은폐된 채강력하게 활기를 띠었던 바로 그 사상의 발현일 뿐(KD /1, 681)이라는 주장이 옳다면, 일은 어떻게 되겠는가?”

 

독일어 원문: Was, wenn F. Mauthners These recht hat, daß die neuzeitliche »Gottlosigkeit« mit jener Deutung der Theologie »doch nur das Aufbrechen desseben Denkens war, das in einer verborgeneren Schicht des europäischen Geistes schon durch alle die vorangegangenen angeblich christlichen Jahrhunderte ... kräftig genug gelebt hatte« (/1, 681)?

 

시제의 차이에 주의할 것:

 

과거 = daß die neuzeitliche »Gottlosigkeit« [...] war

 

과거완료 = das [...] gelebt hatte [...] 이제 강력하게 활기를 띠게 된 그 사상

 

과거완료 시제에 속한 사상의 서술을 이제라고 하는 것은 부적절.

 

빠진 단어 angeblich명의상의, 표면상의, 자칭하는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김용언,문학소녀, 반비, 2017(6).

 

117, 각주 15.

 

첨언하자면,데미안1965년 초 전혜린의 사망 이후 출간된 유고집에 실린두 개의 세계를 읽은 독자들이 구입하기 시작하면서 폭발적인 호응을 얻게 된다. “당시 신생이었던 문예출판사그 원고를 사들여 1966년에데미안을 출간하였고, 5천부 넘으면 베스트셀러가 되던 그 시절에 1년에 5만부나 팔리는 진기록을 남겼다.”고 한다. 서은주, 앞의 글, 36. 2017년 현재까지도 전혜린 번역버전의데미안생의 한가운데는 계속 판을 거듭하며 서점에 나오고 있다.

 

첨언하자면,데미안1965년 초 전혜린의 사망 이후 출간된 유고집에 실린두 개의 세계를 읽은 독자들이 구입하기 시작하면서 폭발적인 호응을 얻게 된다. “당시 신생이었던 문예출판사아동문학가 김요섭의 번역 원고를 사들여 1966년에데미안을 출간하였고, 5천부 넘으면 베스트셀러가 되던 그 시절에 1년에 5만부나 팔리는 진기록을 남겼다.”고 한다. 서은주, 앞의 글, 35. 2017년 현재까지도 전혜린 번역버전의데미안생의 한가운데는 계속 판을 거듭하며 서점에 나오고 있다.

 

 

서은주의 원문각주 1을 참고할 것:

 

데미안1955년 아동문학가인 김요섭에 의해젊은 날의 수기라는 제목으로 한국에서 최초로 번역되었다. 전혜린이 죽고 난 후 유고집의 영향으로 데미안을 찾는 독자들의 요구가 빗발치자 당시 신생이었던 문예출판사가 그 원고를 사들여 1966년에데미안을 출간하였고, 5천부 넘으면 베스트셀러가 되던 그 시절에 1년에 5만부나 팔리는 진기록을 남겼다.우리 출판사 첫 책: 문예출판사데미안(1966),중앙일보, 2003. 6. 28.

서은주,경계 밖의 문학인,여성문학연구(2004, 11), 33-56.

 

 

아울러 서은주의 오류도 바로잡는다.

 

젊은 날의 수기』 → 젊은 날의 고뇌

 

이 책의 부제 =싱클레어의 젊은 날의 手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여기서 하나님이 초월적 존재인지 아니면 인간 안에 현존하는 존재인지의 문제는 어떻게 생각되든 무관하다. <신학은 오래 전에 이미 인간학이 되었다.> 이렇게 선언했던 사람은 바르트가 태어나기 한 세기 전에 사망한 포이어바흐(L. Feuerbach)였다.”(116-117, 문장부호 수정인용)

 

여기서 하나님이 압도적 존재인지 아니면 인간 안에 현존하는 존재인지의 문제는 어떻게 생각되든 무관하다. <신학은 오래 전에 이미 인간학이 되었다.> 이렇게 선언했던 사람은 바르트가 태어나기 약 십 년 전에 사망한 포이어바흐(L. Feuerbach)였다.”

 

독일어 원문: [...], und zwar gleich, ob Gott dabei als der überlegene oder als der im Menschen gegenwärtige gedacht ist. »Die Theologie ist längst zur Anthropologie geworden«, erklärte der ein Jahrzehnt vor Barths Geburt gestorbene L. Feuerbach.

 

Jahrzehnt = 10

 

포이어바흐와 바르트의 생몰연도를 참고할 것:

 

Ludwig Feuerbach(1804-1872)

 

Karl Barth(1886-19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누락(10)

 

어떤 의미에서 그 단어[=‘하나님’]는 심각하게 병들었는가? 현대의 많은 다양한 신학들이 다음과 같은 의혹의 그림자에 빠져들었다는 점에서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즉 그 신학들은 하나님에 관하여 말할 때심지어 대단히 열정적으로 말하면서도실제로는 하나님에 관하여 말하지 않고 인간에 관하여 말한다.”(116)

 

어떤 의미에서 그 단어[=‘하나님’]는 심각하게 병들었는가? 바르트에 따르면, 현대의 많은 다양한 신학들이 다음과 같은 의혹의 그림자에 빠져들었다는 점에서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즉 그 신학들은 하나님에 관하여 말할 때심지어 대단히 열정적으로 말하면서도실제로는 하나님에 관하여 말하지 않고 인간에 관하여 말한다.”

 

독일어 원문: Inwiefern ist es[=das Wort Gott] schwerkarnk? Nach Barth insofern, als in der Moderne die vielerlei Theologien in den Schatten des Verdachts geraten sind, daß sie, gerade wenn sie von Gott reden und sei es noch so eifrig -, nicht von Gott, sondern Menschen reden,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