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이 규정으로 특히 개신교는 1526년 슈파이어 제국의회에서부터 추구했던 잠정적인 평화를 얻게 되었다.(179)

 

이 규정으로 특히 개신교는 1526년 슈파이어 제국의회에서부터 추구했던 무기한의 평화를 얻게 되었다.

 

독일어 원문: Hiermit hatten vor allem die Protestanten das erreicht, was sie seit dem ersten Speyrer Reichstag von 1526 erstrebt hatten, nämlich einen zeitlich unbefristeten Frieden.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프랑스 왕은 모리츠의 도움으로 메츠(Metz), (Toul), 베르댕(Verdun), 캉브레(Cambrai)를 획득했다.(175)

 

프랑스 왕은 모리츠의 도움으로 메스(Metz), (Toul), 베르됭(Verdun), 캉브레(Cambrai)를 획득했다.

 

독일어 원문: Der französische König erhielt als Lohn für seine Hilfe die Reichsstädte Metz, Toul, Verdun und Cambrai.

 

지명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마인츠의 보좌주교 미카엘 헬딩(Michael Helding)(172)

 

마인츠의 보좌주교 미하엘 헬딩(Michael Helding)

 

독일어 원문: der Mainzer Weihbischof Michael Helding

 

인명을 바로잡았다.

 

 

Michael Helding = 미하엘 헬딩

 

https://de.wikipedia.org/wiki/Michael_Helding

 

아래, 독일어 발음사전을 볼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5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이런 목적에서 카를 5세는 스웨덴 동맹이나 슈말칼덴 동맹처럼 제국 내의 모든 왕국을 제국 동맹으로 통합시키려 했다.(171-172)

 

이런 목적에서 카를 5세는 슈바벤 동맹이나 슈말칼덴 동맹처럼 제국 내의 모든 왕국을 제국 동맹으로 통합시키려 했다.

 

독일어 원문: Zu diesem Zweck wollte der Kaiser alle Reichsstände in einem Reichsbund zusammenfassen nach Art des Schwäbischen oder Schmalkaldischen Bundes.

 

번역을 바로잡았다.

 

https://de.wikipedia.org/wiki/Schw%C3%A4bischer_Bu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롤프 데콧, 간추린 독일 종교개혁사, 김영식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5).

 

이 개신교 제후가 황제와 동맹을 맺은 이유는 아주 단순했다. 작센 선제후령(에르네스트 가문)과 작센 대공국(알브레히트 가문) 사이에 오랫동안 경쟁 관계가 이어졌기 때문이었다.(170)

 

이 개신교 제후가 황제와 동맹을 맺은 이유는 아주 단순했다. 작센 선제후령(에른스트 가문)과 작센 대공국(알브레히트 가문) 사이에 오랫동안 경쟁 관계가 이어졌기 때문이었다.

 

독일어 원문: Dass dieser protestantische Fürst sich mit dem Kaiser verbündete, hatte seinen Grund in der seit langem schwelenden Rivalität zwischen Kursachsen (Ernestinische Linie) und dem Herzogtum Sachsen (Albertinische Linie).

 

번역을 바로잡았다.

 

 

독일어 인명과 그 형용사의 차이에 주의할 것:

 

에른스트 가문 = Kurfürst Ernst von Sachsen = Ernestinische Linie

 

알브레히트 가문 = Herzog Albrecht dem Beherzten = Albertinische Linie

 

https://de.wikipedia.org/wiki/Ernestiner

 

https://de.wikipedia.org/wiki/Albertiner

 

아래, 번역도 바로잡을 것:

 

선제후의 지위는 이제 알베르트 가문의 모리츠 공작에게 넘어갔다.(171)

 

선제후의 지위는 이제 알브레히트 가문의 모리츠 공작에게 넘어갔다.

 

독일어 원문: [...], die[=Kurwürde] an Herzog Moritz und die albertinische Linie übertragen wurd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