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브레클링은 베트케를 자신의 영적 아버지로 여겼으며(73쪽)
→ 브레클링은 베트케를 자신의 정신적 아버지로 여겼으며
독일어 원문: [...], der[=Breckling] in Betke seinen „geistigen Vater“ sah, [...].
• 번역을 바로잡았다.
• 단어의 차이에 주의할 것:
geistig = 정신적
geistlich = 영적
• 73쪽의 번역을 볼 것:
호부르크의 한 세대 후배이자 친구이며 정신적 후계자이던 프리드리히 브레클링(Friedrich Breckling)은 홋날 호부르크와 결별했지만 [...].
독일어 원문: Der eine Generation jüngere Friedrich Breckling, Freund und geistiger Erbe Hoburgs, später mit ihm überworf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