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텔링크는 청교도에 영향을 받아 신학을 공부한 사람으로서 영국식 모델에 기초하여 엄격한 주일성수, 가정생활의 신앙 형태 구성, 교리문답식 신앙 모임을 도입한 미델부르크(Middelburg)의 설교자이다.(79)

 

텔링크는 영국에서 청교도에 영향을 받아 신학을 공부한 사람으로서 영국식 모델에 기초하여 엄격한 주일성수, 가정생활의 신앙 형태 구성, 교리문답식 신앙 모임을 도입한 미델뷔르흐(Middelburg)의 설교자이다.

 

독일어 원문: [...] bei Willem Teellinck (1579-1629), Prediger in Middelburg, der in England unter puritanischem Einfluß zum Theologiestudium gekommen war und in Anlehnung an englische Vorbilder für strenge Sonntagsheiligung, religiöse Gestaltung des Familienlebens und katechetische Erbauungsversammlungen eintrat.

 

빠진 번역을 보완하고, 지명을 바로잡았다.

 

Middelburg = [ˈmɪdəlbʏr(ə)x] = 미델뷔르흐

 

https://en.wikipedia.org/wiki/Middelburg,_Zeeland

 

 

아래, ‘미델부르크미델뷔르흐로 모두 수정할 것:

 

1669년 제란트(Zeeland)미델부르크(Middelburg)에서(90)

 

마침내 제란트의 미델부르크에서(90-91)

 

주요 무역 도시 중 하나이던 미델부르크에서(91)



최종 편집: 2025. 7. 5. 17: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그는 급진적 뵈메 추종자인 요한 게오르크 기히텔(Johann Georg Gichtel, 1638-1710), 묵시적인 호소문을 출판한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기프트하(Ludwig Friedrich Gifftheil, 1595-1661), 종교적 [황홀]주의자인 퀴리누스 쿨만(Quirinus Kuhlmann)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75)

 

그는 급진적 뵈메 추종자인 요한 게오르크 기히텔(Johann Georg Gichtel, 1638-1710), 루트비히 프리드리히 기프트하일(Ludwig Friedrich Gifftheil, 1595-1661)[기프트하일의 묵시적인 호소문을 그가 출판했다.], 종교적 [황홀]주의자인 퀴리누스 쿨만(Quirinus Kuhlmann)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독일어 원문: Er stand in enger Verbindung mit den radikalen Böhmeanhängern Johann Georg Gichtel, Ludwig Friedrich Gifftheil, von dem er apokalyptische Appelle publizierte, und dem Ekstatiker Quirinus Kuhlmann, [...].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그가 플렌스부르크에 제출한 탄원서는 루디아의 거울 또는 목자들의 돌(Speculum seu Lapis Lydius Pastorum, 1660)이라는 제목으로 확장되어 출판되었다.(74)

 

그가 플렌스부르크에 제출한 탄원서는 목사들의 거울 또는 시금석(Speculum seu Lapis Lydius Pastorum, 1660)이라는 제목으로 확장되어 출판되었다.

 

독일어 원문: Seine Flensburger Anklageschrift erschien erweitert unter dem Titel „Speculum seu Lapis Lydius Pastorum“ (Amsterdam 1660).

 

번역을 바로잡았다.

 

아래, 글을 볼 것:

 

Da dieser nicht reagierte, richtete er die Schrift an den König Friedrich III. und ließ sie 1660 in Amsterdam drucken, der Titel im Stil der damaligen Zeit: "Speculum seu Lapis lydius Pastorum (d.h. Spiegel oder Prüfstein für die Pastoren), darinnen alle Prediger und Lehrer dieser letzten Welt sich beschauen und nach dem Gewissen als für Gottes alles sehenden und richtenden Augen, ohne Heuchelei ihrer selbst, ernstlich prüfen und examinieren sollen, ob sie rechte von Gott gesandte und erkannte Prediger, Lehrer, Bischöfe und Superintendenten seyen oder nicht; ob sie den rechten oder falschen Propheten gleich; ob sie Christi oder das Antichrists Bild an sich haben; ob sie mit der rechten oder falschen Apostel Kennzeichen und Eigenschaften bezeichnet: denen frommen, und die sich vom Geist Gottes lehren und strafen lassen zu Christbrüderlicher Erinnerung, Aufweckung, Prüfung und Besserung; den Gottlosen, Heuchlern, Halsstarrigen und Widersprechenden aber zum Zeugniß aufgesetzet und auf ihr Gewissen nach der Regel des Wortes Gottes vor Augen gestellt."

 

http://matrikel.uni-rostock.de/id/100019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브레클링은 베트케를 자신의 영적 아버지로 여겼으며(73)

 

브레클링은 베트케를 자신의 정신적 아버지로 여겼으며

 

독일어 원문: [...], der[=Breckling] in Betke seinen „geistigen Vater“ sah, [...].

 

번역을 바로잡았다.

 

 

단어의 차이에 주의할 것:

 

geistig = 정신적

 

geistlich = 영적

 

 

73쪽의 번역을 볼 것:

 

호부르크의 한 세대 후배이자 친구이며 정신적 후계자이던 프리드리히 브레클링(Friedrich Breckling)은 홋날 호부르크와 결별했지만 [...].

 

독일어 원문: Der eine Generation jüngere Friedrich Breckling, Freund und geistiger Erbe Hoburgs, später mit ihm überworfen,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브레클링은 한데비트/홀슈타인()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부모를 통해 아른트의 경건을 배웠다. 그의 할아버지 프리드리히 다메(Friedrich Dame)와 아버지 요한 브레클링(Johann Breckling)은 아른트를 옹호하는 글을 썼다.(73)

 

브레클링은 한데비트/홀슈타인()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부모를 통해 아른트의 경건을 배웠다. 그의 외할아버지 프리드리히 다메(Friedrich Dame)와 아버지 요한 브레클링(Johann Breckling)은 아른트를 옹호하는 글을 썼다.

 

독일어 원문: Friedrich Breckling (1629-1711), geboren als Pfarrerssohn in Handewitt/ Holstein, war vom Elternhaus her von der Frömmigkeit Arndts geprägt. Der Großvater Friedrich Dame und der Vater Johann Breckling hatten sich literarisch für Arndt eingesetzt.

 

번역을 바로잡았다.

 

https://www.deutsche-biographie.de/gnd11643998X.html#ndbconten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