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아마도 그는 자신의 세대에서 가장 강력하게 고대교회와 중세 신비주의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며, 그들의 텍스트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아우구스티누스-베른하르트식 예수 신비주의(Jesusmystik), 즉 에로틱한 형태의 신부 신비주의(Brautmystik)와 수난 신비주의(Passonsmystik)를 17세기 개신교에 정착시킨 당대의 가장 탁월한 저술가였을 것이다.(51쪽)
→ 아마도 그는 자신의 세대에서 가장 강력하게 고대교회와 중세 신비주의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며, 그들의 텍스트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아우구스티누스-베르나르식 예수 신비주의(Jesusmystik)−신부 신비주의(Brautmystik)의 에로틱한 형식과 수난 신비주의(Passonsmystik)의 묵상적인 형식으로−를 17세기 개신교에 정착시켰다.
독일어 원문: Wohl am kräftigsten in seiner Generation hat Moller an die altkirchliche und mittelalterliche Mystik angeknüpft, ihre Texte verdeutscht und damit die augustinisch-bernhardinische Jesusmystik, sowohl in der erotischen Form der Brautmystik wie in der meditativen Form der Passonsmystik, im Protestantismus des 17. Jahrhunderts heimisch gemacht.
• 번역을 바로잡았다.
• 인명에 주의할 것:
bernhardinisch < Bernhard von Clairvaux = Bernard de Clairvaux
= 클레르보의 베르나르
https://de.wikipedia.org/wiki/Bernhard_von_Clairvau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