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바르트,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 김산덕 옮김, 새물결플러스, 2025(6).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역시 그분이 유일한 신적 존재라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은 즉시로 그것을 말씀에서 자신을 계시하는”(25, 94, 95, 107) 분으로 명시합니다.(113)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역시 그분이 유일한 신적 존재라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은 즉시로 그것을 말씀에서 자신을 계시하는”(25, 94, 95, 117) 분으로 명시합니다.

 

독일어 원문: Der Heidelberger Katechismus weiß auch um das «einige, göttliche Wesen», definiert es aber sofort als den, «der sich in seinem Wort geoffenbaret hat» (Fragen 25, 94, 95, 117), [...].

 

숫자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칼 바르트,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 김산덕 옮김, 새물결플러스, 2025(6).

 

3. 우리는 20문에서 다소 이기적이고 편협하며 답답한분위기를 느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는 그리스도인의 믿음을 세상을 향한 그들의 과제를 위한 준비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은 복음의 담지자로서 세상의 빛으로 파송된 복음의 사명자입니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와는 반대로 우리는 자칫하면 20문에 의해 아주 쉽게 이기적이고 편협한 곰팡이냄새에 시달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109)

 

3. 우리는 20문에서 다소 이기적이고 편협하며 답답한분위기를 느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는 그리스도인의 믿음을 세상을 향한 그들의 과제를 위한 준비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은 복음의 담지자로서 세상의 빛으로 파송된 복음의 사명자입니다.

 

독일어 원문: 3. Wir haben den Glauben dieses Volkes als Ausrüstung der Christen für ihren Auftrag in der Welt verstanden, für ihre Sendung als Träger der Botschaft, als Licht der Welt, im Gegensatz zu der etwas egoistischen, engen und «muffigen» Luft, unter der man in Frage 20 sonst leicht leiden könnte.

 

번역을 바로잡았다.

 

중복 번역문을 삭제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칼 바르트,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 김산덕 옮김, 새물결플러스, 2025(6).

 

그러니까 우리는 믿음을 단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교회론적으로 이해한 것입니다.(109)

 

그러니까 우리는 믿음을 단지 개인적일 뿐만 아니라 또한 교회론적으로 이해한 것입니다.

 

독일어 원문: Wir haben ihn also nicht nur individuell, sondern auch ekklesiologisch verstanden.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칼 바르트,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 김산덕 옮김, 새물결플러스, 2025(6).

 

또한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을 생기된(geschehenen) 구원의 첫 열매(아파르케)로 이해합니다.(108)

 

→ 또한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을 생기된(geschehen) 구원의 첫 열매(아파르케)로 이해합니다.

 

독일어 원문: [...] und wir haben das Volk Gottes doch nur als die erste Frucht (aparche) der geschehenen Erlösung verstanden.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칼 바르트,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 해설, 김산덕 옮김, 새물결플러스, 2025(6).

 

91, 각주 1

 

August Lang(1867-1945)[...]. 여기서 바르트가 언급한 신앙문답은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과 네 가지 유사 신앙문답(Der Heidelberger Katechismus und vier verwandte Katechismen[Deichert, Leipzig 1907], 89)을 지칭한다.

 

August Lang(1867-1945)[...]. 여기서 바르트가 언급한 신앙문답은 하이델베르크 신앙문답과 네 가지 유사 신앙문답(Der Heidelberger Katechismus und vier verwandte Katechismen[Leipzig: Deichert, 1907], LXXXIX.)을 지칭한다.

 

서지 정보를 바로잡았다.

 

 

아래, 해당 글과 쪽수를 볼 것:

 

LXXXIX89의 차이에 주의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